상당수 의학전문대학원들이 속속 의대 복귀를 준비하면서 이에 대한 비용계산으로 분주한 모습이다.
중단되는 BK21 사업비를 비롯, 등록금 손실 등을 비교하며 쉴새없이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는 것.
하지만 대학들은 당초 우려했던 것보다는 타격이 크지 않다는 점에 안도하며 다소 느긋한 표정을 짓고 있다.
31일 의전원들에 따르면 의대 복귀를 추진중인 대학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는 부분은 BK21 사업비다. 교과부가 의대로 돌아가는 대학에 대해 더이상 당근을 주지 않겠다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의전원의 경우 이 사업비에 매료돼 체제전환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해 걱정하는 대학도 있다.
A의전원 보직자는 "의대로 복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변수는 돈"이라면서 "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정부로부터 상당한 예산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재정이 열악한 대학일수록 이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대다수 의전원들은 생각보다 큰 금액이 아니라며 다소 느긋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의대로 돌아가도 큰 손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B의전원 보직자는 "사실 교과부가 그동안 의전원으로 전환해 받아온 BK21사업비를 모두 토해내라 할까 가장 걱정스러웠다"며 "그러한 의도가 없는 것이 확인된 이상 크게 걱정할 것이 없다"고 전했다.
그동안 받아온 지원금이 아쉽기는 하지만 그 금액이 없어도 의대가 굴러가는데 전혀 타격이 없다는 것.
교과부는 현재 의전원 전환대학들에게 전문대학원 체제정착사업비(총 사업비 40억)와 학술학위 지원금, 전문학위 과정 지원금을 BK21 사업비로 지급하고 있다.
이에 대한 B대학의 계산은 이렇다. 만약 의사양성학제 개편이 완료돼 4~5곳이 의전원으로 남는다고 하면 총 40억원의 예산을 나눠 각각 10억원의 체제정착금을 받을 수 있다. 만약 의전원이 더 늘어나면 이 금액도 줄어든다.
또한 교과부에서 MD-PhD 육성금액으로 지원자 1인당 1년에 2500만원씩을 지원하고 있지만 참여자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1억원도 채 되지 않는다. 아울러 학술학위 지원금에 대한 차액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2억원선에 불과하다.
따라서 의대로 복귀할 경우 손해보는 금액을 다 더해도 많아봐야 1년에 13억원선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대로 돌아가면 의예과가 부활한다는 점에서 2년치의 등록금을 더 받을 수 있기에 13억원이 상충이 된다는 설명.
이 관계자는 "한명당 1천만원씩 등록금을 잡아도 현재 정원이 100명이 넘으니 의예과에서만 20억원의 등록금 수입이 들어온다"며 "BK21사업비를 충당하고 남는 금액"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물론 학생수가 늘어나는 만큼 기자재 등이 더 필요하겠지만 과거 의대시절 사용하던 것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는 점에서 추가비용은 극히 적을 것"이라며 "일부 신설의대들이나 재정이 열악한 대학들은 타격이 있을지 몰라도 대다수 대학들은 의대 복귀로 큰 손해를 보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BK21사업비를 중단하는 것은 의대 복귀에 따른 페널티가 아니다"며 "의전원 정착금으로 지원되는 금액이니만큼 의전원에서 의대로 복귀하는데 따른 당연한 행정적 절차일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