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은 건강관리서비스의 적정 가격을 1만 5천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관익 책임연구원은 7일 오후 보건복지부 주최로 열리는 제5차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포럼에 앞서 배포된 ‘건강관리서비스 수요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8년 전국 성인 남녀 1000명(남 494명, 여 506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태도조사를 전화조사한 결과이다.
뇌졸중과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유무에 대한 질문에 18.4%가 ‘진단을 받았거나 현재 치료중’이라고 답했다.
정부의 건강관리서비스의 이용 의향을 묻는 물음에는 ‘이용 의향이 있다’는 답변이 67.4%로 ‘이용 의향이 없다’(32.6%)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만성질환자의 경우도 ‘이용 의향이 있다’가 68.5%로 일반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적정 이용가격에 대한 물음에는 ‘1만원대’가 40.3%로 가장 많고 ‘1만원 이하’(25.2%), ‘2만원대’(17.2%), ‘3만원대’(10.5%) 등으로 평균 1만 5643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건강관리서비스를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내 건강은 내가 더 잘 관리할 수 있다(42.5%) ▲서비스를 받을 만한 시간이 부족하다(37.7%) ▲건강증진에 별 효과가 없을 것 같다(9.2%) ▲건강증진에 별 관심이 없다(8.3%) 등을 보였다.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의향기관을 묻는 질문에는 ▲보건소 등 보건기관(36.4%) ▲건강관리서비스 전문업체(26.9%) ▲가까운 의원 부설기관(25.8%) ▲병원부설기관(10.8%) 순을 보였다.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부담을 묻은 질문에는 ‘국가와 개인이 절반씩 부담’이 39.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액 국가 부담’(30.1%), ‘90% 국가 부담’(28.0%) 순으로 나타났다.
이관익 연구원은 “수요조사 결과 저렴한 가격의 보급형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면서 “직장인 복지 지원모델과 보건소형 모델, 기금지원 방안 등 국가 및 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