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항암제 신약개발을 위해 한국과 미국이 손을 잡았다.
이진수 원장(오른쪽 세번째)와 해롤드 바무스 소장(왼쪽 세번째)의 양해각서 체결 후 기념촬영 모습.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는 8일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암유전체 지도구축사업 참여와 중개연구 협업 등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진수 원장은 지난달 31일 미국 국립암연구소를 방문해 노벨상 수상자인 해롤드 바무스 소장과 만나 양 기관간 암 연구 인력 및 학술분야, 연구분야 교류 등에 합의했다.
국립암센터는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암유전체 지도구축사업(TCGA)은 최대 규모의 관련 분야 연구로 위암 및 췌장암 암유전체에 참여하게 된다.
이진수 원장은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을 방문해 글로벌 항암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연구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암센터측은 “이번 미국 방문으로 한국의 항암제 신약개발이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