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병상, 5개병원 197개 불과…전염병 관리 비상

고신정
발행날짜: 2009-05-21 12:30:20
  • 손숙미 의원 "음압 격리병실은 전국 15개 그쳐‥대책 시급"

신종인플루엔자A(H1N1)가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감염자들을 격리·치료할 수 있는 격리병상이 턱 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손숙미 의원(한나라당)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격리병상 확충사업 진행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6년부터 올해까지 확충된 격리병상 중 실제 운영병상수가 전국에 197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2006~2009년 격리병상 운영현황
실제 현재 격리병상은 운영중인 병원은 전국에 딱 5곳.

서울의 국립의료원에서 68병상이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 국군수도병원에 28병상, 전남 국립목포병원에 50병상, 인천시의료원에 25병상, 전북대병원에 26병상의 격리병상이 운영 중이다.

특히 이 가운데 신종플루와 같은 호흡기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상은 39개에 그쳤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격리병상으로 지정된 병원 중 신종플루와 같은 호흡기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음압 격리병실은 국립의료원에 15개, 국군수도병원에 4개 등만 보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격리병상 수가 부족한 걸까?

이에 대해 손 의원측은 절대적인 예산 자체가 부족한데다, 격리병상 수가 늘어나는 만큼 시설유지비도 증가하기 때문에 운영이 쉽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격리병상 연도별 예산(단위: 억원)
실제 질병관리본부가 제출한 자료에서도 이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06년 이후 지정병원 추가로 병상수가 늘어나면서 매년 시설유지비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 격리병상 시설유지비는 2007년 2억7000만원 수준이었으나 올해에는 4억4500만원까지 올라갔다.

손숙미 의원은 "올해에만 격리병상 지정병원이 4곳이 선정되어 해매다 지원되는 예산은 늘어나지만 아직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히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시설을 갖춘다 해도 늘어나는 격리병상수 만큼 유지비도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손 의원은 "격리병상의 점차적인 확대와 함께, 상대적으로 유지비가 적게 드는 격리텐트의 효율적인 사용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도 감염환자의 이동경로 차단 및 대량환자의 확산을 조기에 방지하는 대책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