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전공의 정원이 아니다. 핵심은 다른 데 있다."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기피과 전공의 쏠림현상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탄력운영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
복지부가 전공의 탄력운영제를 통해 지원자가 있을 경우 허수 정원(별도 정원)을 책정해 선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나섰지만 이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
13일 산부인과, 외과, 흉부외과의 전공의 지원은 늘어나지 않았다.
가려운 곳은 따로있는데 엉뚱한 곳만 긁고 있는 격이라는 게 기피과 교수들의 생각이다.
산부인과학회 김선행 이사장은 "전공의 정원만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어차피 현재 가지고 있는 정원도 다 못채우는 상황에서 정원을 늘리는 게 무슨 의미냐"고 되물었다.
그는 또 이런 식으로 무작정 정원을 늘려놓는 것은 미래를 생각할 때 좋은 대안이 아니라고 했다.
지금은 산부인과가 기피과이지만 10년후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작정 정원만 늘리는 게 능사는 아니라는 얘기다.
김 이사장은 "차라리 수가를 인상해주는 게 더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외과 의료진들도 탄력운영제가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한외과학회 김광호 기획이사는 "지방병원에선 일단 TO가 없으면 지원할 의사가 있어도 못할 수 있으니 무조건 받게 해달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사실 이것이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고 했다.
탄력운영제가 효과가 있으려면 수도권에 위치한 병원에서 외과를 지원하던 학생들이 지원자가 넘칠 경우 지방으로 가야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기획이사는 "가령 서울에 있는 대학병원 외과를 지원한 전공의는 TO가 없으면 지원 과를 바꾸는 것을 선택하지 지방병원을 선택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경북도 A대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이번 전공의 하반기 모집에서도 흉부외과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라면서 "의미 없는 제도"라고 했다.
그는 "일단 흉부외과라면 기피하고, 여기에 지방병원이라면 쳐다보지도 않는데 정원만 늘려놓으면 뭐하겠느냐"라면서 "답이 없어 답답할 뿐"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