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혈액투석 10곳 중 2곳 비 전문의…적정성평가 왜 했나

발행날짜: 2015-04-08 12:10:11

심평원, 제4차 적정성결과 발표…응급장비 보유 항목 크게 개선

인공신장실을 운영하는 전국 의료기관 10곳 중 2곳에는 투석 전문의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지난 5년 동안 적정성평가를 통해 혈액투석 전문의 비율을 관리해왔음에도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8일 인공신장실을 운영하는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4차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결과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4차 평가는 2013년 10월에서 12월까지 외래로 혈액투석을 청구한 725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주요평가 항목은 ▲혈액투석실 내 응급장비 보유 여부 ▲투석 위한 혈관통로(동정맥루) 관리 여부 ▲혈액검사 등 정기검사의 주기적 시행여부 ▲적절도 검사 등 총 13개 지표였다.

평가 결과, 혈액투석실 내 응급장비 5종(산소공급장치, 흡인기, 심전도기, 기관내삽관장비, 제세동기)을 모두 보유한 기관은 2013년 89.0%로, 2009년 대비 25.6%p 향상됐다.

투석용 혈관통로 관리(동정맥루 협착증 모니터링)는 2013년 96.6%로, 2009년에 비해 15.5%p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성평가를 통해 10% 이상 개선이 이뤄진 것과 달리 혈액투석에 사용되는 용액(투석액)의 수질검사 관리, 혈액투석 전문 의사비율은 개선이 미미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혈액투석에 사용되는 용액(투석액)의 수질검사 적정 실시율(실시주기 충족률)은 88%로 2009년 대비 2.2% 상승하는데 그쳤다.

혈액투석기 필터를 통해 환자의 혈액과 투석액이 만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혈액속의 노폐물이 제거된 후 환자의 몸속으로 다시 들어가므로 투석액이 오염되면 전신 감염을 초래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항목이다.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 비율은 평균 76.3%로, 2009년 대비 0.2%p 증가해 큰 변화가 없었다.

혈액투석 전문의의 경우 관련 학회에서 교육을 이수한 의사를 뜻하는 것으로, 현재 전국 혈액투석 병·의원 5곳 중 1곳은 혈액투석 비전문의가 하고 있는 것이다.

2년 이상 혈액투석 경력을 가진 간호사 비율 역시 평균 76.8%로 2009년에 비해 2.8%p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3년 종합점수 평균은 87.3점으로, 2009년 대비 5.4점 증가했다. 그러나 1등급 평균은 96.5점, 5등급 평균은 60.7점으로, 기관 간 수준은 여전히 큰 격차를 보였다.

혈액투석 평가결과는 다섯 등급으로 나누고 있으며 그 중 잘하는 1, 2등급 기관은 68.6%(468기관)였다.

심평원 관계자는 "혈액투석 환자는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치료와 교육이 필요하고, 투석 중 저혈압 등의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의사, 간호사 등 전문 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적정성평가와 더불어 자발적인 질 향상 활동을 통해 치료환경 및 의료서비스의 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나, 기관 간 차이가 여전히 존재한다"며 "혈액투석기관의 자율적 개선을 위해 등급 하위기관 및 신규 개설기관 등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인인구의 증가로 말기 신장질환의 주요 원인질환인 당뇨병, 고혈압이 늘어나면서 2013년 혈액투석 환자수는 6만 9837명으로 2009년 대비 22.7% 증가했으며, 진료비는 1조 6405억원으로 32.2% 증가했다.

혈액투석기는 2013년 1만 9527대로 2009년 대비 42.5% 증가했고, 혈액투석기 보유기관수도 833기관으로 24.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