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특별법 등으로 전국 대학병원들이 잇따라 전임의(펠로우) 모집 규모를 늘렸지만 지원은 이에 못미치면서 속속 미달 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흔히 말하는 빅3, 즉 대형병원은 대부분 정원을 채운 것으로 나타나 극심한 양극화가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의 A대학병원은 최근 100여명 가량의 전임의를 모집했지만 지원자는 70여명에 불과했다.
A대병원 관계자는 17일 "일부 과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예상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며 "조만간 추가 모집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위권 대학병원인 B대학병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병원 또한 1차 모집에서 정원을 절반밖에 채우지 못해 최근 추가 모집을 발표했다.
B대학병원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오히려 지원자가 줄어든 것 같다"며 "각 과목별로 교수들이 지원자를 찾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그러나 흔히 말하는 빅5병원, 특히 빅3병원은 300여명에 달하는 정원을 모두 채운 것으로 조사됐다. 정원이 2~3배에 달하지만 무리없이 전형을 마친 셈이다.
대형병원들은 수련 프로그램의 차이와 향후 진로 등에서 이러한 차이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C대형병원 관계자는 "아무래도 더 다양하고 많은 케이스를 접할 수 있다는 것과 타 대학에 비해 전임교원 모집에 제한이 덜하다는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본다"며 "전공의 모집과 비슷한 경향 아니겠냐"고 풀이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뒤틀린 수련제도의 단면이 여실히 나타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전임의 과정을 수련제도의 일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간판 취득 등에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또한 일부 대학병원의 잘못된 운영 방침을 문제 삼기도 한다.
B대학병원 보직자는 "어짜피 전임 교수가 되지 못할 거라면 '00병원 임상교수 출신'이라는 간판을 따려는 것 아니겠냐"며 "개원이나 취업시 유리한 조건을 갖기 위해 그러한 선택을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D대형병원 관계자는 "아직도 많은 대학병원에서 전임의를 값싼 일회용 노동력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제대로 된 수련프로그램이 없고 전임교수 채용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이 떨어지는 병원일수록 지원을 기피하는 현상이 강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