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면역거부반응 없는 인공심장판막…심장수술 새창 여나

발행날짜: 2016-03-14 11:18:39

서울대병원 연구팀, 폐동맥판막 분야 세계 첫 개발 성공

국내 의료진이 면역거부반응 없는 인공심장판막 개발에 성공함에 따라 심장판막술 분야에 획기적인 변화가 기대된다.

서울대병원은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한 인공조직심장판막을 개발, 이를 인체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이례적인 것으로 해외 학회도 그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특히 가슴을 여는 수술이 아닌, 간단한 스텐트 시술로 이식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왼쪽부터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교수, 흉부외과 김용진 ∙ 임홍국 교수.
이 주인공은 서울대병원 김기범 교수(소아청소년과), 김용진·임홍국 교수(흉부외과)팀.

이들은 돼지의 심낭 조직을 이용한 인공심장판막에 특수 면역 및 화학 고정처리 기법을 적용, 이종이식의 문제점이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했다.

그 결과 '차세대 인공조직심장판막(이하 차세대판막)'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것.

이후 2011년부터 이 판막을 양에게 이식한 결과, 판막은 6개월 이상의 관찰기간 동안 정상적인 모양과 기능을 유지했다.

이 연구결과는 2014년 국제 저명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에 소개돼 큰 주목을 받기도했다.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교수가 스텐트 시술로 차세대판막을 이식하고 있다.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아 지난달 25일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인해 수차례 수술을 받았던 환자(여·22세)의 폐동맥판막 부위에 차세대판막을 이식했다.

수술을 받은 환자는 어릴 때 복합 심장기형의 일종인 팔로사징을 진단받아 폐동맥의 좁은 부분을 넓혀주는 수술을 받았다.

이후 폐동맥판막의 기능이 없어 혈액이 우심실로 역류, 우심실의 운동능력이 매우 떨어져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차세대판막이 이식된 즉시 혈액의 역류는 사라졌으며, 시술 4일째 합병증 없이 건강한 상태로 퇴원했다.

최근 인공심장판막 이식은 가슴을 여는 수술 대신, 사타구니 혈관에 도관을 삽입하고 도관을 따라 판막을 감싼 스텐트를 판막 부위에 위치시킨 후 스텐트를 이식하는 시술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차세대 인공심장판막 스텐트. 돼지의 심낭조직을 여러 단계에 걸쳐 특수 면역 및 화학 고정 처리하여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 한 후, 인체 심장 판막과 똑같은 3가닥의 판막 조직으로 가공했다. 판막을 감싼 니티놀 스텐트는 자가확장형으로 큰 직경까지 제조가 가능해 폐동맥이 큰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현재 고령층의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등 선진국에서 개발된 스텐트-인공판막이 상용화돼 이식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텐트-인공판막은 폐동맥판막 질환에 특화된 것으로 특히 폐동맥판막 질환에서 스텐트-인공판막 시술은 국내 첫 시도다.

이에 대해 김기범 교수는 "폐동맥판막 질환에 특화된 스텐트-인공판막은 세계적으로 아직 개발단계에 있다. 국내 기술로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한 판막을 개발하고, 이를 스텐트 시술로 이식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시술이 본격화 되면 폐동맥 판막질환 환자는 간단한 시술로 면역거부반응이 없고 내구성이 좋은 판막을 이식 받을 수 있어, 인공판막의 수술 및 재수술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차세대판막과 스텐트를 개발하기 위해 10년 가까이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보건복지부 지원, 서울대병원 주관)과 연구를 지속했다.

한편, 연구팀은 판막의 국산화를 위해 세계 최대 규모 판막회사의 러브콜을 뿌리치고 이번 연구 성과에 관한 모든 원천 기술과 특허는 국내 업체인 ㈜태웅메디칼에 이전했다.

김용진 교수(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심혈관 이종이식개발 과제 책임연구자)는 "이번 차세대판막은 유럽 등 선진국이 독점하고 있는 인공조직판막 시장을 뒤흔들고, 한국 의료기술의 수출 시대를 본격 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