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의 전체 기능 중 진료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도 안 된다. 개원가를 위협할 정도가 아니다."
'보건소의 진료기능을 축소해야 한다'는 개원가의 끊임없는 문제 제기에 대한공공의학회 김혜경 이사장(경기도 수원시 장안구보건소)은 29일 서울의대에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서울 같은 경우 보건소에 근무하는 의사들이 하루에 200명씩 본다고 하더라"라며 "1차 진료가 활성화돼 있으니 개원가 타격이 불가피한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지방으로 가면 의사의 숫자도 한 명 수준일 뿐만 아니라 30~40명 정도 진료를 보는 데다 노인이나 취약계층 진료에 국한된다"며 "의원이 드문 농어촌으로 가면 보건소가 큰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김 이사장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보건소의 진료기능이란 뭘까. 개원가에서 생각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김 이사장은 "민간과 중복되는 진료는 지양해야 하지만 취약계층에 대한 진료기능은 최소한으로 갖고 있어야 한다"며 "만성질환관리, 예방사업을 보완해줄 수 있는 임상 기능은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올해부터 공공의학회 7대 이사장으로서의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임기 동안 회원 확대에 힘을 쏟을 예정이다. 그 일환으로 국립대병원 교수들을 적극 영입할 계획.
보건복지부 통계연보와 공공의료과 내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공공보건의료기관은 3708곳, 공공보건의료기관 의사 수는 1만3963명이다. 이 중 공공의학회 회원 수는 950여명.
김 이사장은 "공직의사는 전체 의사 중 공직의사 비중은 15%에 달한다"며 "공공의학회는 공직 의사를 대표하는 학회인데 회원 숫자가 너무 적다. 국립대병원은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립대병원 교수도 공직의사인 만큼 이들의 학회 참여를 이끌어 내려고 한다"며 "국립대에 설치하고 있는 공공의료사업단을 중심으로 학회의 취지를 설명하고 합류를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원 확대를 통해 앞으로 공공의학회가 공공의료 사업의 컨트롤 타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드러냈다.
김 이사장은 "지난해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전 국민적 차원에서 공공보건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도 제1차 공공보건의료 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공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은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건소, 공공병원, 국립대 등을 관할하는 정부 부처가 지방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 교육부 등으로 주체가 전부 달라 컨트롤 타워가 없어 복지부도 공공의료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각 직역에 있는 공직의가 모두 모일 수 있는 곳이 공공의학회인 만큼 네트워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