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보건(지)소 10곳 중 6곳에서는 흉부 X선 검사 판독을 공중보건의사가 1차적으로 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보건소에서 흉부 X선 검사 판독을 공보의가 하는 게 뭐가 문제가 될까.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14일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보건(지)소는 결핵 관리 및 흉부 X선 촬영 판독 업무를 맡고 있는데 결핵 특성상 오판독시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며 "외부 판독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대공협은 지난 8월 전국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흉부 X선 검사 및 판독 현황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49개 시군구에서 X선 촬영 판독 업무를 하고 있었으며 이를 수행하는 보건(지)소 총 수는 196개였다. 흉부 X선 촬영 판독 기관의 판독 업무는 보건증 발급, 결핵유무판독, 외국인근로자 결핵판독, 결핵환자 추적관찰, 채용 신체검사, 건강진단서, 진료를 위한 정상판독 등이었다.
판독 업무를 위해 채용된 의사가 있거나 외부판독기관에 의뢰하는 보건(지)소는 79곳으로 40.3%를 차지했다. 공보의가 판독업무에 참여하는 보건(지)소는 117개(59.7%)로 207명의 공보의가 판독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 중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7명에 불과하다.
공보의의 평균 판독량은 하루 46.6장이었으며 최대 250장을 판독할 때도 있었다.
117곳 중 공보의가 모든 판독을 전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은 45곳이었고 공보의와 외부판독기관과 함께 수행하는 기관은 72곳이었다.
공보의가 1차 판독 후 필요시 2차 판독을 의뢰하는 과정에서 2차 의뢰를 지양하도록 압력행사를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이 있었다. 또 총 판독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했고 해당 기관 내부적으로 공보의 판독을 권고하고 결핵에 한해서만 의뢰가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환경도 있었다.
대공협 김재림 회장은 "2차 의뢰는 따로 예산이 들어가다 보니까 지양하는 분위기"라며 "해당 의료기관의 총 비용과 의뢰 건수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대공협은 판독의 전문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근거로 연구결과 및 대한흉부영상의학회 의견, 건강검진 실시기준 등을 제시했다.
흉부 X선 사진으로 결핵 외에도 폐암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판독하는 게 더 낫다는 내용이었다.
대공협은 "결핵 진단에서 흉부 X선 검사는 전문가끼리 같은 사진을 볼 때 판독소견의 차이가 비교적 크고 같은 사진을 같은 전문가가 수개월 후 다시 판독했을 때 차이가 높아 판독시 전문적인 의학지식과 풍부한 판독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흉부 X선 판독을 전문 판독기관에 의뢰하지 않고 공보의에게 판독업무를 단순 위임하고 있다"며 "흉부 X선 판독 관련 지침의 보완과 예산 배정 등으로 현실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공협의 주장은 비전문의의 영상 판독 보다는 외부 전문기관의 판독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공협에 따르면 보건(지)소 한 곳당 한 달에 이뤄지는 영상 판독 건수는 약 1200~1300건. 장당 약 1000원이라고 했을 때 한 달에 120만~130만원이 들어간다.
김재림 회장은 "보건소는 X선 촬영을 반드시 할 수 밖에 없고 판독도 필연"이라며 "보건기관은 감염병 관리 중심이 돼야 하고 공신력 있는 증명서 발급이 필요한 만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전문기관의 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 지자체별로 영상판독에 대한 예산만 있으면 충분히 외부 판독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며 "결핵협회, 결핵연구원, 질병관리본부 운영 기관들에서 이미 전문 판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영상 중 정상도 많기 때문에 굳이 예산을 써야 하는 의견이 있는 것 같다"며 "심각성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공감한 후 외부 판독 중심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