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수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준 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삭감도 한몫했다. 개원가를 무조건 나쁘다고 모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으로 척추수술은 피하고, 비수술적 치료가 성행하는 분위기가 조성된 데에는 정부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말이다.
지난 9월부터 1년의 임기를 시작한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조용은 회장(강남세브란스 신경외과)은 19일 메디칼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척추수술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학회의 방향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했다. 그의 1년 계획은 근거 만들기, 자정, 교육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조용은 회장은 집행부를 꾸리며 보험이사로 윌스기념병원 박춘근 원장을 발탁했다.
조 회장은 "1600여명의 회원 중 상당수가 개원가"라며 "심평원은 척추수술을 집중심사하는 상황이고 실제 높은 삭감률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대학교수보다 개원가 현실을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개원가가 중심을 잡아야 척추수술 오남용을 막을 수 있고, 척추수술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척추수술은 최후의 보루'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근거가 필요하다는 게 조 회장의 생각.
그 일환으로 척추신경외과학회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요통의 척추수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서울대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등 5개 병원이 참여한다. 연구기간은 3년이다.
조 회장은 "너무 아파서 빨리 수술을 해달라는 환자도 있고, 발가락 마비 증상이 보이는 환자도 있고 환자마다 상황이 다른데 심평원은 오로지 보존치료 기간만 보고 삭감을 하는 경직된 심사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척추 질환 관련 수술이나 시술의 효과에 대해 평가된 게 없다"며 "내시경 수술도 잘만 받으면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심평원은 6주, 8주 같은 보존치료 기간에만 의존해 삭감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삭감률이 지역마다 다른 것도 정부가 정확한 실정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수술은 가급적 안 하는 게 좋은데 불가피하게 해야 할 때도 있다. 이때는 제대로 해야 한다. 정부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외적으로 정부의 유연한 급여기준 설정이 필요하다면 내부적으로는 자정이 필요한 상황. 그래서 그동안 기능을 상실했던 윤리위원회를 다시 꾸렸다.
그는 "삭감률이 과하게 높은 병원 등에 대해서는 윤리위원회에 회부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 중"이라며 "학회가 강력한 징계를 내릴 수는 없지만 경각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부 교육과 자체 캠페인 등도 기획할 예정"이라며 "개원가는 수익창출이 주된 목표인데 학회에서 누구나 용인할 수 있는 테두리를 만드는 작업을 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내부 자정에서 더 나아가 국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서도 학회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했다. 방법은 '교육'.
조 회장은 "보통 학회들은 연구에만 집중하고 학술대회 개최에 집중한다"며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의 척추건강이다. 허리가 아픈 국민과의 호흡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척추환자들이 소속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의사-환자가 쌍방향 소통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노인 척추환자 무료진료, 대국민 캠페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제대로 교육을 받으면 엉뚱한 길로도 빠지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