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방문해서 배웠는데 이젠 아니다. 중국조차 오지 않는 상황으로, 향후 10년을 생각하면 답답하다."
최근 한국 의약계가 세계적인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지만, 새로운 장비와 기술 도입에 대한 어려움으로 연구에 뒤처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즉 신의료기술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한국의 의약계가 뒤처지고 있다는 비판이다.
지난달 제9차 아시아·태평양 부정맥학회 학술대회(The 9th Asia Pacific Heart Rhythm Society Scientific Session, APHRS) 대회장을 맡은 고대안암병원 김영훈 교수(심장내과)는 메디칼타임즈와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우선 김 교수는 이번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면서, 성공적인 개최에 따른 즐거움 보단 의료기술이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에 뒤쳐질 수 있다는 긴장감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즉 새로운 의료장비와 신 의료기술의 높은 장벽으로 인해 일본이나 중국에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인 것이다.
지금까지 의료기기는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 후 신의료기술평가를 순차적으로 거쳐야 해 총 1년이 걸렸다. 그나마 최근 의료기기 허가와 신의료기술평가를 동시에 심의하는 시스템이 본격 시행돼 시장 진입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기존보다 3~9개월 단축됐다.
하지만 김 교수는 "부정맥 분야를 예로 들자면 우리나라는 새로운 의료장비를 쓸 수 있는 여건이 안 된다. 7~8년 전에 일본이 그랬다"며 "당시 일본에서 우리나라에 의료기술 및 장비 사용을 위해 견학을 하고 했지만, 최근에는 방문하지 않는다. 심지어 중국조차 방문하지 않는데, 견학을 올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최근 새로운 의료장비나 신 의료기술을 도입하려면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의료장비를 도입하려면 자금도 필요하지만 그에 대한 수가 산정도 해야 하고, 비급여로 한다면 환자부담이 너무 크다. 이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교수는 '원격의료'의 도입 필요성을 작심한 듯 주장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원격이란 말만 해도 아무것도 못 한다"며 "예를 들어 환자가 제주도에 거주하는데, 심장에 장비를 부착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최근 가능하다. 심부전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료진에 알려주는 기능이 있는 장비가 개발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장비를 도입해 환자에게 처방을 내리고 할 수 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수 없다. 원격의료라는 이유로"라고 쓴 소리를 했다.
이 때문인지 최근 세계적인 의료기기 회사들이 한국에 의료장비 도입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김 교수의 설명.
김 교수는 "카테터를 예로 든다면 일본이나 홍콩은 4세대 카테타를 사용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도 2세대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해당 의료기기 회사도 수출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 수출해도 식약처 허가 등을 통해 제대로 된 가격을 쳐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정맥 분야에서 이러한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는 장비를 말한다면 7~8가지가 될 것"이라며 "이 상태로라면 세계적으로 의약계에서 우리나라가 이끌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김 교수는 하루 빨리 이러한 신 의료장비 도입 시스템이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부정맥 분야에서 현재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뒤처지고 태국 수준"이라며 "답답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든 보건복지부든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의료기기 도입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의료기기 회사 편을 든다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합리적으로라도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