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중심의 전문의약품 사업이 약가인하와 정부규제, 과다경쟁 등으로 성장의 한계에 봉착, 다양한 해외시장 진출 시도가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각 제약사별 강점이 있는 만큼 신약 개발과 신흥시장 진출, 원료의약품 수출 등 제약사별 먹거리 특화 분야가 세분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13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국내 바이오 및 제약업체의 2017년 경영전략'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업체들의 연구개발강화 및 글로벌 진출 등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경영 전략 내용을 정리했다.
먼저 2017년 바이오 및 제약업체 경영 키워드는 '해외진출·신약개발'로 초점이 모아진다.
연구소는 "지난해 한미약품의 미공개 정보유출 사태와 기술수출 취소, 불법 리베이트 파동 등 각종 악재가 있었다"며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2017년 국내 바이오 및 제약업체들은 해외시장 진출과 신약개발로 성장을 모색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한미약품은 신뢰경영과 신약강국을, 유한양행은 신약개발, 녹십자는 혈액 제제와 백신을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 의지를 신년사를 통해 발표했다.
종근당은 조직문화와 신약개발, 대웅제약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동아쏘시오 그룹은 글로벌 시장 진출, 보령제약은 100년 기업으로의 도약을 우선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연구소는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통해 북미 ·유럽 시장 안착을 목표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내수 중심의 전문의약품 사업이 약가인하와 정부규제, 과다경쟁 등으로 성장의 한계에 봉착했다"고 지적했다.
내수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외시장 진출 시도가 활발해지는 한편 특히 각 제약사별 먹거리 특화 분야가 세분화된다는 것이 연구소 측 판단.
연구소는 "한미약품과 녹십자 등 상위 제약사는 시장이 큰 선진국에 진출하기 위해 글로벌 신약개발에 투자 집중하고 있다"며 "대웅제약과 종근당, 보령제약 등의 제약사는 파머징 시장 진출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에스티팜, 유한화학, 유한양행 등과 같은 제약사는 다국적 제약기업에 원료의약품을 수출해 선진국 시장에 진출을 노린다"며 "정부의 신약개발 지원과 제약사의 신약개발 의지는 지속될 전망이다"고 강조했다.
임상단계 신약후보물질 및 기술수출 증가 등으로 신약개발은 여전히 청신호라는 분석도 나왔다.
연구소는 "2015∼2016년 9월 사이 한국 제약기업이 해외로 기술수출을 한 건수는 총 33건, 계약 규모는 약 7.4조원 정도"라며 "정부 및 제약사의 지속적인 R&D투자 증가로 임상단계의 신약후보물질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제약사들은 자체적으로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거나 외부에서 개발 중인 후보물질을 도입해 공동 개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며 "한미약품 당뇨신약의 임상 3상 여부 및 녹십자 혈액제제 IVIG-SN의 미국 FDA 허가 여부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