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최선기자 의약 학술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중심으로 의학회 및 의학·학술 분야를 취재 보도하고 있습니다.
메디칼타임즈는 여러분의 제보에 응답합니다.
medic@medicaltimes.com

※ 사실관계 확인 후 기사화된 제보는 원고료(5만원)를 지급해드립니다.

"외과의 완성은 초음파…영상+수술 융합 전문가로 진화"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최근 초음파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외과의사도 영상과 수술 융합 전문가로 진화하고 있습니다."초음파를 이용한 외과적 진단과 치료 등 정밀의학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한 임상 기술·AI·로봇 수술 시대의 새 표준을 확인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외과 분야에서 초음파는 단순한 참고 도구가 아니라 수술의 정확성, 안전성, 술기 완성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지식의 습득은 '완성형 외과의사'를 위한 필수 요소라는 것.20일 대한외과초음파학회는 간담회를 갖고 제8회 아시아외과초음파학회(ASUS 2025)가 오는 22~23일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열린다고 밝혔다.올해 학회는 한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대만,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10여 개국에서 약 600명이 참여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 외과 초음파 행사로, 외국인 등록자가 한국인 등록자(175명)를 압도한다는 점에서 ASUS의 국제적 확장이 가속화됐다는 평가다.외과초음파학회는 외과의사들에게 초음파 관련 술기가 진단은 물론, 수술의 정확성, 예후의 개선을 위한 필수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박일영 대회장(가톨릭대 외과), 박해린 사무총장(강남차병원 외과).박일영 대회장(가톨릭대 외과)은 "한국의 외과 초음파 교육 인프라는 아시아 최고 수준이며, ASUS 2025는 외과 초음파 표준화를 이끌 전환점"이라며 "외과의사들에게 초음파는 진단은 물론, 수술의 정확성, 예후의 개선을 위한 필수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강조했다.유방암·갑상선암 수술에서 병변 위치를 찾거나, 혈관 수술에서 카테터 삽입 위치를 정하거나, 복부·간담도 질환에서 절제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실제 손으로 만져도 확인할 수 없는 미세 구조를 즉시 보여주는 초음파가 있어야만 안전하게 진행된다.그는 "외과는 병변을 직접 제거·치료하는 분야라서, 영상 정확도가 조금만 떨어져도 출혈, 신경 손상, 잔존 종양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며 "초음파는 이와 같은 위험을 줄이는 기술이자, 외과의사가 스스로 영상을 읽고 즉시 수술 전략을 수정할 수 있는 능동적 수술 도구"라고 강조했다.진단과 수술을 잇는 매개 기술로서 초음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ASUS 2025는 이런 흐름에 맞춰 유방, 갑상선·경부, 혈관, 복부·간담도, 응급·외상 초음파 등 외과 전 분야를 아우르는 17개 세션을 구성했다.RFA(고주파 열치료술), 표적 액와절제술, 수술 중 초음파(Intraoperative USG) 등 실제 술기에 필요한 최신 기술을 중심으로 세션이 편성됐고, 임상·교육·연구가 모두 연결되는 구조가 특징이다.몽골 Bat Ireedui 교수의 RFA의 다장기 적용, 홍콩 Michael Co 교수의 표적 액와절제술, 싱가포르 Yah Yuen Tan 교수의 VABB 진단·치료 전략, 싱가포르 Sonia Lee 교수의 유방수술 후 초음파 평가, 카자흐스탄 Agilan Ozyerman 교수의 초음파 유도 간 조직검사 합병증 관리, 대만 Heng Fu Lin 교수의 초음파 술기 인증 제도 등 해외 연자 강연도 올해 핵심 콘텐츠다.중앙아시아외과초음파학회(CASUS) 설립 논의까지 더해지면서 ASUS는 외과 초음파 국제 표준을 논의하는 아시아 공동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ASUS의 대표 프로그램인 핸즈온 워크샵은 난이도 조정, 실시간 피드백, 멘토 1인-학생 5인 구조를 강화해 교육 효율을 높였다.실습 항목은 VABB(진공보조유방생검), RFA, FNA, CVC, PICC, FAST, 정맥류·경동맥·대동맥 초음파 등 실제 진료에 즉시 투입되는 술기로 구성됐다.단순 기기 사용법이 아니라 병변 탐색· 접근 각도·바늘 진입·출혈 관리 등 "술기 중심 교육"이 특징으로, 젊은 외과의사 중심의 실전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박해린 사무총장(강남차병원 외과)은 "최근 초음파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이 급속히 발전하며 외과의사는 단순한 시술자가 아니라 영상과 수술을 융합하는 전문가로 진화하고 있다"며 "초음파는 외과의사의 감각을 확장하는 필수 술기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그에 맞춘 실전형 교육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학회의 교육적 의미도 크다.대한외과초음파학회가 운영 중인 인증제도는 12년간 460여 명의 인증의를 배출했으며, ASUS 2025 참석자에게는 최대 150점의 인증평점이 부여된다. 대만, 중앙아시아 등 여러 국가가 한국의 인증 시스템을 모델로 삼아 자체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상황에서 ASUS 2025는 '아시아 통합 술기 인증 시스템' 논의를 본격화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Global Network Session에서는 CASUS 창립, 아시아 공통 Hands-on 커리큘럼 개발, 국제 술기 인증제 공동 추진, 동남아 교육센터 설립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는 ASUS가 단순 학술 교류를 넘어 아시아 외과 술기 교육의 허브로 기능하겠다는 학회의 장기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ASUS 2025는 AI 기반 자동 병변 탐지, 로봇 수술과 초음파의 융합, 수술 네비게이션 기술 등 정밀수술 시대의 차세대 초음파 전략도 제시할 예정이다. 외과 초음파가 단순 영상에서 '정밀 수술의 언어'로 확장된다는 점에서, 올해 학회는 향후 아시아 수술 기술 지형을 바꾸는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5-11-21 12:04:46학술대회
인터뷰

"건강강좌 대상은 환자만? 폐고혈압, 의료진들도 몰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보통의 건강 강좌는 환자나 가족 같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대한폐고혈압학회가 11월 한 달간 전국에서 진행하는 ‘폐미리 희망 캠페인’은 성격이 좀 다르다. 강좌를 통한 인식 개선, 인지도 향상 대상에 의료진까지 포함한 것. 의료진조차 잘 모르는 병, 폐고혈압의 조기 인지율을 높이겠다는 목적 때문이다.그런 까닭에 학회가 건강강좌를 개최하고자 하는 기관에 신청서를 받아 강연료부터 인쇄, 대관료, 배너 제작비 등을 지원키로 했다. 건강강좌 결과 보고서를 기반으로 '캠페인 우수 진행 기관'에 시상한다는 점 역시 강좌의 성격이 특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전국 강좌를 기획한 폐고혈압학회 정욱진 회장을 만나 강좌 진행의 배경과 기대 효과 등에 대해 물었다.■"의료진들조차 모른다…진단까지 평균 3년"폐고혈압은 폐동맥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초기에 숨참, 피로감 같은 비특이적 증상만 나타난다. 감기, 천식, 심장질환 등으로 오인되기 쉽고 이는 진단 지연으로 이어진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심초음파나 우심도자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한데, 이런 검사까지 연결되지 못해 진단은 수년씩 늦어져 '골든타임'을 허무하게 날려버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일부 환자는 계단을 오르기 어려울 정도의 호흡곤란을 겪으면서도 심장검사·폐기능검사에서 정상이라는 말만 반복해 들으며 1~2년을 허비하는 경우도 흔하다.정욱진 대한폐고혈압학회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정욱진 대한폐고혈압학회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은 이번 캠페인의 출발점을 '인지도 부족'으로 꼽았다.그는 "폐동맥고혈압 환자는 증상 발생 후 진단까지 평균 3년이 걸리고 병원을 찾아간 뒤에도 1년 반 이상 지나서야 제대로 진단된다는 미국의 보고가 있다"며 "국내 상황도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그는 "가장 큰 문제는 환자뿐 아니라 의료진도 폐고혈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라며 "증상은 있는데 진단이 이뤄지지 않는 구조적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폐고혈압은 진단 과정 자체가 까다롭다. 흉부 X-ray나 폐기능검사 같은 기본 검사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혈액검사만으로도 단서를 찾기 어렵다.결국 심초음파나 우심도자처럼 보다 고난도의 심폐 순환 평가까지 이어져야 진단이 가능한데, 1·2차 의료기관에서는 이러한 정밀검사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이 초기 단계에서 질환을 떠올리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정욱진 회장은 "환자가 계속 숨이 찬다고 해도 심장도 괜찮고 폐도 괜찮아 보이면 의사가 폐고혈압을 떠올리지 못한다"며 "이유 없이 숨이 차는 환자를 보면 심장질환, 폐질환, 빈혈 등이 아니면 폐고혈압을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의료진들의 진단 프로세스에 폐고혈압 가능성을 추가하기 위한 기제가 이번 전국 건강강좌"라며 "일반 강좌가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면 이번 강좌는 의료진 주도의 강좌를 통해 의사들의 인식 개선을 촉구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했다.의료진의 인식 변화가 곧 조기 발견으로 연결되고, 조기 발견이 난치성 질환의 예후를 바꾸는 핵심이라는 것.■질환 인지율 개선→조기 진단·치료→예후 개선 선순환 폐동맥고혈압은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최근 치료 옵션이 늘며 생존율이 크게 개선돼 왔다. 한국 등록 연구에서는 PAH 환자의 1년 생존율이 약 93%, 3년 생존율은 80%대, 5년 생존율은 약 71% 수준으로 유럽 대규모 레지스트리(COMPERA)의 5년 생존율(약 71%)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일본(95%)와는 격차를 보인다.정 회장은 "폐고혈압은 조기진단과 환자 아형 평가, 적절한 초기 치료 전략 선택이 예후를 좌우하는 대표적 질환"이라며 "의료진의 인식 개선과 이를 통한 조기 진단, 초기 적절한 치료가 이어진다면 생존율 제고는 어렵지 않다"고 자신했다.그는 "이번 캠페인을 대학병원 중심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전국 주요 의료기관으로부터 건강강좌 신청을 받아 15개 기관을 선정했다"며 "선정 기관에는 강의 자료와 함께 강연료 및 실비를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그는 "강좌가 끝난 뒤에는 결과 보고서를 기반으로 우수 기관을 선정해 시상해 의료진들의 참여 열기를 고조시킬 계획"이라며 "11월은 세계 폐고혈압의 달로 지정돼 있어 이번 한 달을 집중 강좌 진행의 달로 기획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폐고혈압 조기 진단이 환자의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는 최근 학계에서도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진단이 지연된 환자 집단은 진단이 빠른 환자에 비해 이벤트 발생율(event-free survival)이 유의하게 낮았고,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에도 진단 지연이 불리한 예후와 독립적으로 연관된다는 연구에 이어 조기 치료의 타당성을 뒷받치는 유럽 및 기타 레지스트리 데이터도 존재한다. 비침습적 진단 및 선별을 기반으로 한 조기 개입이 장기 생존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내용이 여러 문헌에서 반복된다. 조기 기능 상태(WHO 기능 등급 I/II)의 환자들은 후기 등급(III/IV)에 비해 장기 생존율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 프랑스과학자들이 참여한 레지스트리 코호트 역시 WHO 기능 등급 I 또는 II 환자의 사망률이 더 낮았음을 보여, 이는 조기 발견 후 적절한 치료가 생존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든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국내 폐고혈압 진단 지연을 평균 3년에서 단축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목적을 둔 사실상 '조기진단 개입 프로젝트'에 가깝다는 게 그의 판단.정 회장은 "폐고혈압을 미리 찾고 제대로 치료하면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행복을 지킬 수 있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의료진과 대중 모두의 인식 수준을 끌어올리고, 그 결과로 더 많은 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진단 받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2025-11-21 05:30:00연구・저널

독감백신 판도 흔들까? mRNA 방식, 기존 대비 예방효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변형 뉴클레오사이드 기반 mRNA 독감백신이 성인 대상 3상 임상에서 기존의 불활화 사가백신보다 34.5%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내며 우월성을 입증했다. 면역반응은 A형 두 주요 계통에서 더 강했지만 B형은 기존 백신에 미치지 못했고, 이상반응은 더 잦은 것으로 확인됐다.호놀룰루 이스트-웨스턴 메디컬연구소 데이비드 피츠패트릭 박사 등이 진행한 mRNA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 면역원성 및 안전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19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416779).독감은 매년 반복적으로 부담을 주는 대표적 호흡기 감염병이지만 기존 불활화 백신은 계절 변화 속 바이러스 항원성과 항체 반응의 변동성, 면역반응의 제한성 등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mRNA 독감백신이 성인 대상 3상 임상에서 기존의 불활화 사가백신보다 34.5%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mRNA는 항원을 세포 내에서 직접 만들어내기 때문에 항원량이 많고 면역반응이 강하게 유도되고, 생산량·생산 속도에 이점이 있어 mRNA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성공 이후 타 감염 영역으로 확장이 시도되고 있는 상황.modRNA 독감백신은 초기 1·2상에서 우수한 면역원성과 수용 가능한 안전성을 보이며 3상 진입의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이번 3상 연구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에서 18~64세 성인 1만 8,476명을 무작위 배정해 modRNA 사가백신과 기존 허가된 불활화 사가백신을 비교했다.1차 평가변수는 접종 14일 이후 발생한 인플루엔자 유사질환(ILI) 중 실험실 확진 사례의 상대적 발생률 차이를 비열등성과 우월성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방식이었다.면역원성은 HAI(혈구응집억제) 분석으로 평가했고, 안전성은 접종 7일 이내 반응원성, 1개월 이내 이상반응, 6개월 이내 중대한 이상반응을 추적해 분석했다.전체 1만 8,476명 중 modRNA군 9225명, 대조군 9251명이 접종을 완료했다.ILI 확진 사례는 modRNA군 57건, 대조군 87건으로, modRNA 백신의 상대적 효능은 34.5% 증가로 계산됐으며 이는 비열등성과 우월성 기준 모두 충족했다.확인된 독감 사례는 A/H3N2, A/H1N1이 대부분이었고 B형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HAI 분석에서는 A형 두 계통 모두에서 비열등성을 충족하고 기존 백신 대비 더 높은 항체가를 보였지만, B형에서는 비열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점이 명확히 제시됐다.이상반응은 두 군 모두 대체로 경증 또는 중등도였으나 modRNA군에서 더 흔했다.국소 반응은 70.1% vs 43.1%, 전신반응은 65.8% vs 48.7%였으며 발열 또한 5.6% vs 1.7%로 modRNA군이 더 높았다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두 군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modRNA 백신이 기존 백신보다 실제 임상 예방효과와 A형 면역반응 모두에서 개선된 성적표를 내놨고, 매년 우세종으로 부상하고 변이가 잦아 예측이 어려운 A/H3N2에서 강한 면역성을 확인한 점은 플랫폼의 잠재력을 뒷받침한 것으로 평가된다.연구진은 "modRNA 백신은 대조군 백신에 비해 통계적으로 우수한 효능을 보였으며, A/H3N2 및 A/H1N1에 대한 면역 반응이 더 높았다"며 "다만 더 많은 반응성 이벤트와 관련이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2025-11-20 12:10:21연구・저널

"사망 2위인데 지원 전무…심장질환, 구조적으로 차별받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9일 대한심장학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심장질환 법 제도 공백 해소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2016년 제정된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했다."붕어빵에 붕어가 없고 심뇌법에는 심장병이 없습니다."심장질환이 구조적으로 배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암에 이어 사망률 2위에 달하지만 암, 말기 신장병 등에서 적용되는 산정특례, 전문질환군에 배제돼 사망 시까지 별다른 보장을 받지 못한다는 것.특히 해외 주요 선진국들은 심장질환을 독립된 법 체계로 관리하며 초기부터 적극적인 예방-치료-재활-돌봄이 이어지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한국의 법 체계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19일 대한심장학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심장질환 법 제도 공백 해소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2016년 제정된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했다.WHO에 따르면 심장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 추세에서 암에 이어 높은 사망 원인으로 자리할 뿐더러 심부전, 심방세동, 판막질환, 폐동맥고혈압 등 순환계통 질환자의 증가세도 두드러지고 있다.문제는 심부전, 부정맥, 판막질환, 폐고혈압 등은 지속적인 관리와 다학제 협력이 필수적이지만 건강보험 보장과 산정 특례 적용치 충분치 않다는 점. 급성기 중심으로 설계된 현재의 체계는 장기적, 복합적 관리의 필요성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해 심뇌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이해영 심부전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심뇌법 개정, 왜 바뀌어야 하나?'를 발표한 이해영 심부전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는 2020년 개정 과정에서 대상 질환의 범위와 수행 주체에 대한 법 해석의 모호성이 발생, 이에 따라 현장의 적용고 정책 실행에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이해영 이사는 "심뇌법의 2020년 개정 과정에서 법안 수행 주체가 보건복지부 장관 단독에서 질병관리청이 포함되며 문제가 발생했다"며 "특히 심부전, 부정맥, 뇌동맥류를 규정한 제2조 '그 밖에 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이 이원화 과정에서 삭제됐다"고 지적했다.그는 "개정 이후 심뇌혈관질환연구 사업은 복지부 장관, 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은 질병관리청장으로 분담됐다"며 "통계사업의 중요 기관인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는 복지부 소속으로 어그러졌다"고 했다.2022년 개정도 심뇌법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결과는 낳았다. '심부전, 부정맥, 뇌동맥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질환을 말한다'는 항목이 삭제되면서 사실상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고 심뇌법에는 심장병이 없는 기형적 상황이 초래됐다는 것이 그의 판단.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부전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두배 높은 8%에 이르고, 퇴원 이후 심부전 발생 유무에 따른 사망률 격차는 더 커져 초기부터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이 이사는 "표준 치료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경우 사망, 재입원율을 60% 줄일 수 있다"며 "심부전 환자의 45%가 매년 한번 이상 입원하는데 입원하지 않고 외래에서 치료받으면 의료비의 96%가 절감된다"고 법적 테두리에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한편 심뇌법 제정 이후 신설 조직 및 당면 과제에 대한 보완 필요성도 제기됐다.2023년 12월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2024년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새로 지정돼 이의 역할 규정이 필요하게 됐다. 중앙 권역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간의 업무 협조 체계 내에서 권역 및 지역센터에서 진료가 어려운 중증 심뇌혈관질환 및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환자 전원, 진료 지원 수요가 제기된다.심뇌법 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임상 현장의 필요를 반영한 대상 질환 명시 및 확장 가능성 복구 ▲복지부-질병청 이원화 역할 분담으로 발생한 혼선 해소 ▲심뇌혈관질환센터, 119구급대의 유기적 협업 등 관리 과정의 지자체 참여 의무 규정 신설과 예산 확충 근거 확보가 제시됐다.해외 주요 제도 사례 비교를 통해 개선 방향 모색도 이뤄졌다.'국내외 심장질환 법제 대응체계 비교'를 발표한 정욱진 심장학회 정책이사(가천대 의과대학장)는 "심장질환은 국내 사망률 2위 질환임에도 암, 말기 신장, 응급, 외상 질환에 비해 보장 제도에서 격차를 보인다"며 "중증 심부전, 난치성 부정맥, 중증 판막질환, 난치성 폐고혈압 질환자는 산정특례, 전문질환군에 배제돼 사망시까지 별다른 보장을 받지 못한다"고 지적했다.암, 자살, 치매는 개별법과 지원 체계가 존재하지만 사망 원인 2위인 심장질환은 개별법이 없고 보장성도 후순위로 밀려있어, 법적·정책적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것.배장환 좋은삼성병원 심혈관중재시술연구소장정 이사는 "21대에서 심장질환 단독 법률은 0건, 관련 개정안 1건을 제외하면 심장질환에 대한 국회의 입법은 부재했다"며 "22대 역시 현재까지 단독 법안이 전문해 정책 이행력과 보장성 제도의 불균형을 초래, 지속시키고 있다"고 판단했다.2025년 기준 국민건강증진기금 예산은 3조 2517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심혈관질환에 대한 투자 비중은 0.6%에 불과하고 심혈관질환이 포함된 만성질환 분야 사업비 역시 3.6%에 그친다. 기금 사용도 구조상 소외돼 있지만 해외 상황은 다르다.정 이사는 "미국은 Affordable Care Act에 기반한 밀리언 하트 전략을 사용한다"며 "호주는 Medical Research Future Fund Act에 기반한 Cardiovascular Health Mission 전략으로 총 10년간 2.2억 호주달러가 지원되는 등 독립 기금 기반의 전략적 연구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일본의 경우 순환기병 대책 기본법에 기반해 2020년 순환기병 대책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 예방-치료-재활-돌봄이 이어지는 전주기 관리 모델을 운영한다"며 "국가법, 지방 계획, 의료 인프라가 연계된 다층 정책 구조를 갖췄다는 점을 참고할만 하다"고 강조했다.그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심뇌법에 심부전, 부정맥, 심장판막증, 폐고혈압 등 중증난치성 심장질환 범위를 명시하고 정책 수립, 자원 배분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보장성 사각지대 해소 및 산정특례, 전문질환군 지정 확대도 필요하다"고 했다.이외에도 중증도에 기반한 심뇌혈관센터 이원화, 2차 전문병원까지 지정 대상 확대, 심장중환자실 법적 근거 마련, 병상·인력 확보 지원 체계 구축, 특정 질환에 편중된 기금 배분, 심장질환 예방·연구 등 사용처 명시가 해법으로 제시됐다.이와 관련 배장환 좋은삼성병원 심혈관중재시술연구소장은 "2000년 들어 심근경색증, 뇌졸중의 치명률과 사망률이 높자 정부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설립해 지원했다"며 "이제는 심근경색증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환자군의 일부가 심부전으로 이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전에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환자가 90% 이상이던 심장계중환자실이 중증 심부전이나 구조심질환자가 30% 정도로 상승했지만 중증-경증심부전을 구분하지 않는 지불 체계 때문에 심부전 전체가 일반질환군으로 묶여있다"며 "정부가 심근경색증에 적절히 대응한 것처럼 지금은 심부전의 파도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할 때"라고 법 개정을 촉구했다.
2025-11-20 05:30:00연구・저널

심장재활 지침 개정 들어간 재활의학회…DTx 마중물 될까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재활의학회가 심장재활 진료 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현재 국내의 심장재활 참여율은 6% 안팎에 그쳐 미국의 50%, 유럽의 30~40%와 격차가 벌어진 상황.외국은 디지털 기반의 가정 재활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달성한 만큼 디지털 치료기기(DTx) 처방에 대한 근거 제시 및 가정 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반영이 이뤄질지 관심사로 떠오른다.19일 재활의학회에 따르면 최근 학회는 심장학회,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심장호흡재활의학회를 포함한 유관 학회와 함께 심장재활 임상진료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18일 재활의학회에 따르면 최근 학회는 심장학회,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심장호흡재활의학회를 포함한 유관 학회와 함께 심장재활 임상진료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지침은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으로 입원해 급성기 치료를 받고 생존한 환자를 위한 심장재활 및 이차예방에 대한 것으로 문헌적 근거에 바탕을 두고 있다.학회 관계자는 "2019년 국내 심장재활 진료지침은 최초로 개발돼 발간된 바 있다"며 "6년이 지나면서 디지털 기술, ICT, 디지털 치료제 등의 다양한 변화가 있어 이를 반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초판 지침은 심장재활의 개념과 기반이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 이의 활성화를 위해 개발됐지만 여전히 해외 상황과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국내 심장재활 참여율은 5.8%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50% 참여율을 기록하는 미국은 참여율 목표를 70%로 상향하는 등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질 조짐이다.학회 관계자는 "유럽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가정 재활이 널리 활성화 돼 있고 이를 기반으로 30~40%에 달하는 높은 참여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아무래도 개정 작업에서 ICT 기반의 DTx에 대한 근거 반영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해외에선 심장재활 분야에서 DTx 사용에 대한 근거가 축적돼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가정 재활도 널리 활성화돼 있다. 현재 허가받은 국내 DTx 품목은 주로 불면증, 시야 장애, 호흡재활, 경도인지장애로 심장재활은 없지만 지침이 선제적으로 심장재활 DTx 활용의 근거를 반영하면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것.그는 "임상 진료 지침은 먼저 임상 현장에서 풀어야 할 핵심 의사결정 지점을 정의하는 핵심 질문을 설정하고 그에 알맞는 근거 문헌을 체계적으로 찾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며 "현재 2019년 이후 나온 논문들을 리뷰해서 반영할 연구를 선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해당 질문에 맞춘 체계적 문헌 검색 전략 수립 이후 문헌 선정과 질 평가, 근거 요약과 권고안 초안 작성, 합의 과정 등을 거쳐 빠르면 내년 중순에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침에서 DTx, 가정 재활에 대한 근거를 반영하면 국내의 심장재활 참여율도 숨통이 틔일 것으로 본다"고 했다.ICT 기반으로 환자가 집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의료진이 운동 횟수부터 운동 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적절한 재활 습관을 만들면 이는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돼 향후 수가 신설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그는 "DTx 중 호흡재활만 허가를 받았는데 현재 의료진들이 심장재활 관련 제품을 연구하고 있고 내년 봄쯤 식약처 허가가 기대된다"며 "의료진이 DTx를 처방하고 수가를 받을 수 있다면 국내 심장재활 참여율도 상승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11-19 12:00:54연구・저널

SGLT2i, 당뇨·알부민뇨 무관…신장·입원·사망 감소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SGLT2 억제제가 당뇨 유무와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줄이고, 입원과 사망 위험까지 낮춘다는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가 제시됐다.특히 알부민뇨가 높은 환자일수록 절대적인 신장 보호효과가 더 컸고, 알부민뇨가 낮은 환자군에서도 입원 감소와 같은 임상적 이득이 명확하게 나타나 임상적 적용 범위를 확장시킬 전망이다.영국 옥스퍼드대 나탈리 스테이플린 등 연구진이 진행한 당뇨병 상태와 알부민뇨 수준에 따른 SGLT2 억제제의 효과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 Network에 7일 게재됐다(doi: 10.1001/jama.2025.20835).그동안 SGLT2 억제제는 당뇨병성 만성콩팥병(CKD) 환자 중심으로 근거가 축적돼 왔고, 알부민뇨가 높은 환자에서 효과가 두드러진다는 인식이 강했다.SGLT2 억제제가 당뇨 유무와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줄이고, 입원과 사망 위험까지 낮춘다는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가 제시됐다.반면 당뇨가 없는 CKD 환자나 UACR 200 mg/g 미만의 저알부민뇨 환자에서는 효과 추정이 제한적이었다.실제로 임상진료지침마다 권고의 강도가 일관되지 않은 이유도 이 때문으로 연구진은 이 같은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SGLT2 억제제의 '상대적 효과'와 '절대적 임상이득'을 환자 아형별로 재정리했다.연구는 신장질환을 대상으로 적응증을 가진 SGLT2 억제제 8개 무작위 임상시험을 통합 분석한 메타분석 설계로 이뤄졌다.총 5만 8816명이 포함됐으며, 이 중 4만8946명이 당뇨병 환자였고 9870명은 당뇨병이 없었다.연구진은 사전 정의한 주요 신장·안전성 결과에 대해 통합 분석을 진행했으며, 각 하위군의 절대효과는 위약군 사건률에 해당 HR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분석 결과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유무에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당뇨병 환자에서 신장질환 진행은 연간 환자 1000명당 33명으로, 위약군의 48명 대비 HR 0.65로 감소했다.당뇨가 없는 환자에서도 32명 대 46명으로 HR 0.74를 보였다. 급성 신손상 위험 역시 당뇨병 환자 HR 0.77, 비당뇨군 HR 0.72로 일관된 보호효과를 보였다.입원 감소 효과는 특히 두드러져, 당뇨병 환자 HR 0.90, 비당뇨군 HR 0.89로 확인됐고, 사망 위험 역시 각각 HR 0.86, HR 0.91 수준으로 감소했다.UACR에 따른 하위 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HR 자체는 고알부민뇨군과 저알부민뇨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UACR 200 mg/g 이상 고위험군은 기저 사건률이 높아 절대이득이 더 크게 나타났다.반면 UACR 200 mg/g 미만 환자는 신장질환 진행 사건률 자체가 낮은 대신 입원 감소, 전체적 임상이득 측면에서 뚜렷한 이점을 보였다.특히 연구진은 심부전 병력이 없는 환자군에서도 순이득이 유지됐고, eGFR 60 mL/min/1.73m² 미만의 중등도 신기능 저하군에서도 효과가 일관됐다고 해석했다.즉 SGLT2 억제제의 적용 기준을 당뇨병 중심 혹은 고알부민뇨 중심으로 제한할 이유가 약해졌다는 것.연구진은 "참가자들의 당뇨병 상태와 UACR 수치에 관계없이 SGLT2 억제제가 신장, 입원, 사망률 결과에 미치는 절대적인 이점이 분명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9 11:59:23연구・저널

약물용출스텐트 시술 AF 환자, NOAC 단독이 더 안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1년 이상 지난 심방세동(AF) 환자에서 NOAC 단독요법이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요법보다 임상적 위해 사건을 유의하게 줄인다는 국내 대규모 무작위 임상 결과가 나왔다.주요 복합 사건 발생 위험이 약 절반으로 단독요법이 우월성을 입증했고, 출혈 발생 또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세브란스심장혈관병원 이승준 교수 등인 진행한 약물 용출 스텐트 환자의 심방세동 치료법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8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512091).심방세동 환자에서 경구 항응고요법은 표준 치료이지만,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 병력이 있을 경우 항혈소판 치료 여부가 오랫동안 논쟁이 돼왔다.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1년 이상 지난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NOAC 단독요법이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요법보다  더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존 연구들은 표본 규모가 작거나 단일 기관 중심이었고, NOAC 단독전략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명확히 검증하지 못했고 특히 스텐트 삽입 후 1년이 지났을 때 항혈소판제를 지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는 제한적이었다.이번 연구는 국내 여러 기관이 참여, 무작위·개방형·비열등성 임상으로 진행됐다.약물용출스텐트를 삽입한 지 최소 1년이 지난 심방세동 환자를 NOAC 단독군(n=482)과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군(n=478)으로 1:1 배정했다.주요 평가변수는 12개월 시점의 순불리 사건으로,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전신 색전증·주요출혈·임상적 의미가 있는 비주요출혈을 모두 포함한 복합지표로 설정했고, 비열등성 마진은 3.0%p였다.총 960명에서 12개월 시점 주요 복합 사건은 단독군 46명(9.6%), 병용군 82명(17.2%)으로 나타났고(절대 차이 –7.6%p), HR은 0.54로 비열등성을 넘어 우월성까지 확보됐다.출혈 역시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주요 또는 임상적 비주요출혈은 단독군 5.2%, 병용군 13.2%로 절반 이하 수준(HR 0.38)으로 낮았다.즉 이번 결과는 스텐트 삽입 후 1년이 지난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소판제를 지속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하게 뒷받침한 것. 병용요법은 출혈 위험 증가뿐 아니라 오히려 전체 임상 위해사건 발생을 높여, 장기 관리에서 불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연구진은 "약물 용출 스텐트를 최소 1년 전에 이식한 심방세동 환자 중 NOAC 단독 요법은 순 임상 부작용에 대해서 병용 요법보다 열등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2025-11-18 12:03:16연구・저널

"내시경 전 GLP-1 투약 신중해야…검사 중단률 8.4% 달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4일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정 등 연구진이 진행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내시경 검사에서 GLP-1RA 영향 연구 결과가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된 소화기내시경학회 국제학술대회 KDDW 2025에서 공개됐다.제2형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가 대장내시경 검사 전 장정결 상태 저하는 물론 위내시경 시야도 흐리게 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그간 논쟁은 주로 전신마취 상황의 위 내 음식물의 역류, 폐 흡인 가능성에 집중됐지만 이번엔 내시경에서의 품질 저하로 이슈가 확장된 것.14일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정 등 연구진이 진행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내시경 검사에서 GLP-1RA 영향 연구 결과가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된 소화기내시경학회 국제학술대회 KDDW 2025에서 공개됐다.GLP-1RA은 인크레틴 호르몬인 GLP-1의 작용을 모방하는 약물로, 본래는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이후 체중 감량 효과가 확인되면서 비만 치료제로도 널리 쓰이게 됐다. 작용 기전은 크게 혈당 조절과 식욕 억제 두 축으로 나뉜다.당뇨에서는 인슐린 분비·혈당 조절, 비만에서는 식욕 억제·위 배출 지연이 주된 효과로, 문제는 '위 배출 지연'이 마취 시 역류 위험 가능성으로 거론됐다는 점.2023년 미국마취과협회가 GLP-1RA의 음식물 배출 지연을 지적하며 수술 전 투약 중단을 권고하고 나서자 미국소화기학회, 미국간학회, 미국소화기협회, 미국위장내시경학회 등은 이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맞선 바 있다.과거 논란이 위 배출 지연이었다면 KDDW 2025에서 발표된 연구는 음식물 배출 지연에 따른 내시경 검사 품질의 저하 가능성을 짚었다.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정 연구원박현정 연구원은 "2016년 7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대장내시경을 시행하고, 동시에 GLP-1RA 또는 DPP-4 억제제(DPP4i)를 복용한 환자 1,719명을 분석했다"며 "이후 임상 특성이 유사한 환자 간 비교를 위해 1:3 비율 성향점수매칭을 적용, GLP-1RA군 131명과 DPP4i군 222명을 최종 비교했다"고 밝혔다.장정결 상태는 Boston Bowel Preparation Scale(BBPS)을 이용해 평가했으며, 총점 6점 미만이거나 구간 점수가 2점 미만인 경우 '불충분한 장정결(inadequate bowel preparation, IBP)'로 정의했다.분석 결과, 매칭 전 GLP-1RA 사용자에서 IBP 발생률은 23.5%로, DPP4i 사용자(15.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매칭 후에도 유사한 경향이 지속됐다(22.9% vs. 14.9%).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도 GLP-1RA 사용은 IBP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확인됐으며, 장정결 불충분 위험이 약 2배 높았다(비매칭 OR 1.75, 매칭 OR 1.83).세부적으로는 우측 결장에서 BBPS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매칭 전에는 GLP-1RA군이 DPP4i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지만(1.9±0.8 vs. 2.1±0.7) 매칭 후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소실됐다.한편 상부위장관 내시경에서도 부정적 영향이 관찰됐다.박 연구원은 2014~2024년 상부내시경을 받은 제2형 당뇨 환자 8,886명 중 GLP-1RA 사용자는 DPP4 억제제 사용자를 성향점수 1:1 매칭(각 190명)해 분석한 결과, 시야 불량(POLPREP 0~1) 비율은 GLP-1RA가 10%로, DPP4i(2.6%) 대비 약 4배 높았다고 보고했다.검사 중단률도 각각 8.4%, 2.1%로 큰 차이를 보였지만 폐 흡인 사례는 양 군 모두 보고되지 않았다.연구팀은 GLP-1RA 사용(OR 4.63), 높은 체질량지수, 만성신질환을 시야 저하의 독립적 위험 요인으로 제시, GLP-1RA의 '위 배출 지연' 작용이 실제 내시경 관찰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확인했다.박현정 연구원은 "GLP-1RA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위 점막 가시성이 떨어지고 검사 중단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적절한 사전 관리가 중요하다"며 "위 배출 지연은 장 내용물의 이동도 늦춰 장정결이 불충분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검사 전 약물 중단 및 장정결제 용량을 조정 등의 맞춤형 전략을 당부했다.
2025-11-17 11:52:16학술대회

5년 RWD로 확인한 테고프라잔 제균 효과…"PPI와 어깨"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국산 위산분비억제제 신약 '테고프라잔'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에 있어 프로톤펌프억제제(PPI)와 유사한 효과를 보인다는 국내 5년 장기 리얼월드데이터(RWD)가 제시됐다.국산 위산분비억제제 신약 '테고프라잔(상품명 케이캡)'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제균 치료에서 기존 프로톤펌프억제제(PPI)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는 실제 임상 근거가 제시됐다.2019년 국내 출시 이후 5년간의 단일기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이번 연구는 PPI의 대체제로서 테고프라잔의 임상적 위치를 평가한 장기 분석이다.14일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강석인 교수 등 연구진이 진행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국내 환자 분석 결과가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된 소화내시경학회 국제학술대회 KDDW 2025에서 공개됐다.테고프라잔은 국산으로 개발된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 계열 약물이다. 위산 분비의 마지막 단계를 직접 차단하는 기전을 갖고 있어 PPI보다 작용 발현이 빠르고, 식사 여부에 영향을 덜 받으며, 약물 간 상호작용이 적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반면 PPI는 복용 후 체내에서 활성형으로 전환돼야 하는 '전구약물'로, 개인 간 대사 차이(CYP2C19 유전형 등)에 따라 효과 편차가 크고, 약효 발현까지 하루 이상이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이 같은 특성 때문에 국내외에서는 테고프라잔을 포함한 P-CAB 계열 약물이 PPI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임상적 관심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강석인 교수특히 헬리코박터 제균요법은 항생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위내 산도를 충분히 높이는 것이 중요해, 위산 억제력이 강하고 지속적인 약물이 치료 성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강석인 교수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 1,71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며 "1,253명은 1차 경험적 치료를, 153명은 맞춤형 1차 치료를, 301명은 2차 치료를, 10명은 구제 치료를 받았다"고 밝혔다.그는 "1차 경험적 치료군에서 테고프라잔과 PPI의 제균 성공률은 ITT(의도치 분석) 기준 72.3% 대 67.5%로 나타났다"며 "PP(프로토콜 준수 분석) 기준 역시 88.0% 대 82.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ITT 분석에서 3제 요법에 한해 테고프라잔이 PPI보다 높은 제균율을 보였지만(73.7% 대 66.6%) 치료 기간(7~10일 대 14일)에 따라 구분했을 때는 차이가 사라졌다.1차 4제 요법과 2차 치료군 모두에서 두 약제 간 제균율 차이는 없었다. 2차 치료군에서 ITT 기준 제균율은 테고프라잔 77.3%, PPI 7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이번 연구는 테고프라잔이 허가 후 5년간 축적된 실사용 데이터를 토대로 PPI와의 직접 비교를 수행한 첫 장기 근거로, 향후 제균요법뿐 아니라 역류성식도염·소화성궤양 등 광범위한 위산 관련 질환에서 P-CAB 계열 약물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테고프라잔 같은 P-CAB 계열은 PPI가 갖는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려고 나온 약이라는 점에서 제균 관련 임상 성적표는 비슷해 보일 순 있지만 작용 기전상 더 빠르고 안정적인 산 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즉 PPI 대비 제균율에서 비열등성할 뿐더러 약효 발현 속도, 식사에 덜 구애받는 복용성, 야간 산 분비 억제 면에서는 PPI 대비 이점이 있어 임상에서 처방 옵션의 범위를 넓힌 약제라는 것.강 교수는 "테고프라잔은 제균 효과와 안전성 측면에서 PPI와 동등한 수준을 보였으며, 실제 임상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체제임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2025-11-17 05:00:00학술대회

"까라면 까? 설득의 구조 없인 정책도 없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촉발된 의정 갈등이 '표면적으로' 봉합됐다. 남은 문제는 앞으로의 정책. 의견을 어떻게 취합하고, 근거를 반영하며, 정책을 추진·평가하고 사후 보완할지에 대한 거버넌스 체계 확립이 숙제로 남았다. 이번엔 의대 증원이 기폭제 역할을 했을 뿐 정부와 의료계의 의료 정책에 대한 이견과 반목의 역사는 뿌리가 깊다.누구나 납득할 만한 정책 추진의 당위성과 설득력을 제공하는 거버넌스 구조가 없다면 아젠다만 달라질 뿐 의정 갈등의 재방영은 불보듯 뻔하다. 더 이상 "까라면 까"라는 식의 윽박지르기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건 이번 사태에서 확인한 바다.다양한 학회들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의료 정책의 기조 변화 및 일방적인 탑다운 방식을 꼬집으며 거버넌스 구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지만 실제 학회들도 그런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었는지는 의문이 뒤따랐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취재했던 대한마취통증의학회의 사례는 귀감이 될만하다. 바로 학회 차원에서 근거 기반의 운영 원칙과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 즉 '거버넌스의 모범'을 타 학회와의 차별화 요소로 내세웠기 때문이다.설문을 통해 구성원의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객관적인 근거로 만들면 이는 회무 추진의 설득력이자 추진력이 된다. 해당 학회는 재무 구조 개선이나 회비 운영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그냥 임원들이 정했으니 하자"는 방식 대신 내부 설문을 통해 설득의 근거를 만들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평의원회 구조 역시 당연직 평의원의 임기 연임 제한을 걸어 다양한 구성원들을 포용한 것도 눈여겨 볼 부분. 다양한 구성원들이 시스템 안에 들어와 각자의 의견과 생각을 표출하도록 제도화했다. 실제로 이같은 제한 규정은 평의원회가 젊어지고 여성 비율이 증가하는 효과로 이어졌다.학회는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이라는 DEI 기조를 갖추려고 노력한다고도 했다. 성별, 인종, 배경 등에 관계없이 모든 구성원이 공정하게 대우받고 가치 있다고 느끼도록 하는 기조로 탑다운이 아니라 바텀업 방식으로 의견이 취합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것. 이른 바 "까라면 까"가 아닌  "하고 싶으니 하자"인 셈이다.이 정도면 학회가 먼저 모범을 보였다는 평이 아깝지 않다. 적어도 정책의 시행 주체가 될 의사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객관적인 근거로 만들어 설득하는 자세가 있어야 추진의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건 정부가 배워야 할 오래된 교훈이다. 설득의 구조와 과정이 없다면 정책도 없다.정책 추진의 핵심은 더 이상 윽박지르기 방식이 아니라, 거버넌스와 근거 기반의 설득 구조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 의사들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객관적 근거로 정책에 반영하며, 다양성과 형평성을 담보로 한 포용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필수 조건이자, 반복되는 의정 갈등의 예방 주사다.최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료 강화가 주요 화두로 부상한 것을 보며 기시감, 아니 '익숙한 불안감'부터 느껴졌다. 지역·필수의료 공백에 대한 의원들의 지적에 정부는 의대 신설 및 지역의사제 카드에서 더 나아가 생경한 공공의료 사관학교까지 꺼내들었기 때문이다. 과연 의정 갈등 시즌2, 시즌3의 기폭제는 무엇이 될 것인가. 확실한 건 하나다. 설득의 구조 없인 정책도 없다.
2025-11-17 05:00:00기자수첩

"무제한 대 1년…한국 편두통 급여 기준 세계 흐름과 괴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옆나라 일본만 해도 우리나라와 보험 기준에서 큰 격차를 보입니다."대한두통학회가 국내 편두통의 치료 흐름이 세계적 표준과는 거리감을 보인다며 개선안을 제시했다.일본만 해도 한 가지 기존 약물 실패만으로도 CGRP 단클론항체 약제가 기간 제한이 없이 급여가 적용되지만 한국은 까다로운 규정으로 인해 실제 필요한 환자의 5%만 급여가 된다는 것. 특히 세계적인 치료의 흐름이 초기 적극적인 약제 사용을 통한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도 국내 제도 개선 필요성의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다.주민경 회장(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16일 대한두통학회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편두통 치료 급여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국내에서 편두통 치료를 위해 전통적인 경구 예방약과 함께 CGRP(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를 표적으로 한 최신 치료법이 도입돼 있다.전통적인 치료로는 베타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다른 목적으로 개발된 약물들이 예방치료에 활용되지만 항-CGRP 단클론항체 주사제 갈카네주맙, 프레마네주맙 등이 개발되면서 주목받고 있다.한국 편두통 치료는 과거 비특이적 예방약과 급성기 약물 중심에서 CGRP를 겨냥한 예방 치료제로 변화하는 중이지만 문제는 보험 급여 조건이 여전히 까다로워 많은 환자가 실제로 신약의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점. 학회 역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주민경 회장(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은 "최근 한일두통심포지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CGRP 단클론항체의 효과와 부작용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삽화 편두통의 약 반응률은 약 50%, 만성 편두통은 40~50% 수준으로 비슷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 환경은 극명하게 달랐다"고 설명했다.그는 "일본의 경우 한 가지 기존 약물 실패만으로도 CGRP 단클론항체 약제가 보험 급여 대상이 되고, 만성 편두통이면 제한 없이 장기 투약이 가능하다"며 "반면 한국은 세 가지 이상 약제를 최대 용량으로 6개월 이상 사용한 만성 편두통 환자에게 1년간만 급여가 허용된다"고 지적했다.1년 사용 후에는 다시 6개월간 치료를 중단해야 보험이 재적용되는 등 까다로운 규정 때문에 실제로 건강보험으로 CGRP 치료를 받는 환자는 전체의 약 5%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 이같은 제도적 장벽은 세계적인 두통 치료 흐름과도 동떨어져 있다는 게 학회 측 판단이다.주 회장은 "올해 국제두통학회는 예방 치료의 목표를 종전의 '두통을 절반 줄이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두통 없는 날을 월 4일 이하로 유지하는 것'으로 조정했다"며 "또한 두통이 악화되는 과정을 막기 위해 조기에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선언을 채택했다"고 했다.그는 "최근 연구에서는 예방 치료가 단순히 두통 빈도를 줄이는 수준을 넘어 뇌의 통증 경로 변화를 억제해 질병 악화를 막는 효과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예방 치료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며 "여러 국가들도 이 같은 흐름에 맞춰 CGRP 약제의 급여 기준을 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영국, 호주, EU 국가들은 이미 고빈도 삽화 편두통이나 초기 단계 환자에게도 폭넓게 약제를 적용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가장 엄격하고 오래된 기준을 유지하고 있어 이런 격차가 결국 환자의 치료 기회를 제한 및 사회적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고 있다.학회는 3가지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했다.첫째 6개월로 규정된 단약 기간을 3개월로 줄여 치료 공백을 최소화, 둘째 난치성 고빈도 삽화 편두통에도 급여를 적용해 만성화 이전 단계에서 적극적인 치료, 셋째 3개월 내 반응이 없으면 약제의 바로 중단 대신 연장 가능이다.주 회장은 "최신 연구에서 늦게 반응하는 환자들이 확인된 만큼 최소 6개월까지 평가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며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은 세계 어디서나 비슷하지만 한국만 특히 접근성이 낮다는 특이성이 있어 두통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선 CGRP 치료제의 급여 확대는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2025-11-16 17:02:15연구・저널

위암 내시경, 고령자엔 오히려 '독'…사망 위험 2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4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 KDDW 2025를 개최하고 내시경 위암 검진의 최적 주기·연령 을 모색했다.국가 차원의 위암 검진 주기를 연령과 건강 상태에 따라 차등 적용해야 한다는 근거가 제시됐다. 5년 이상 간격을 둘 경우 위암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졌지만, 80세 이상에서는 오히려 검진군이 비검진군보다 위암 사망 위험이 오히려 두 배 이상 높았다.14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 KDDW 2025를 개최하고 연령 및 동반 질환 기반 위암 검진 간격, 위암 검진 내시경 검사의 최고 연령 제한, 내시경 위암 검진의 경제성 평가 등 세션을 통해 국가암검진 위 내시경의 최적 검진 주기를 모색했다.현행 국가암검진 위 내시경은 만 40세 이상의 경우 2년마다 검사 주기로 진행된다.국군양주병원 명석호 등 연구진은 연령 및 동반 질환 기반 위암 검진 간격 전국 코호트 분석을 통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위암 사망률과 검진 간격의 연관성을 연령·동반질환 수준별로 정밀 분석했다.연구팀은 2005~2006년 사이 내시경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 중 추적 내시경을 최소 1회 시행한 22만6,364명을 대상으로 약 16년간(중앙 추적기간) 추적 관찰했다. 이전 암 진단이나 위절제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됐다.전체 대상자 중 2.28%(5,164명)가 위암을 진단받았으며, 위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339명(0.15%)이었다.국군양주병원 명석호 연구원명석호 연구원은 "분석 결과 12~23개월 간격의 기준군에서 위암 사망률은 연간 인구 10만 명당 9.45명이었다"며 "그러나 5년 이상(60개월 이상) 간격으로 검진을 받은 집단은 위암 사망 위험이 약 64% 유의하게 증가했다(HR 1.64)"고 지적했다.그는 "특히 75세 미만(HR 1.96)과 동반질환이 적은(CCI<3, HR 1.84) 집단에서 그 차이가 뚜렷했다"며 "반면 고령층이나 동반질환이 많은 대상자에서는 간격이 길어도 사망 위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이번 연구는 개인의 위험도에 따라 검진 주기를 조정하는 '리스크 맞춤형 위암 검진'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평가된다. 현재 한국의 국가 위암검진은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년마다 내시경을 권고하고 있지만, 이번 결과는 획일적 간격 대신 연령과 건강 상태를 고려한 세분화된 접근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명석호 연구원은 "젊고 건강한 성인에게 5년 이상 간격은 위암 조기 발견의 기회를 놓쳐 사망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대로 고령층이나 만성질환자가 많은 집단은 3~4년 수준의 완화된 간격도 충분히 허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국가검진의 효율성과 비용 효과성을 고려할 때,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주기를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연령·질병 부담·생활습관 등을 종합 반영한 맞춤형 검진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80세 이상 위내시경 검진은 사망 위험이 오히려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고령층에서의 위내시경 검진이 반드시 생존 이득으로 이어지지 않아 위암 검진의 '상한 연령'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2005~2010년 사이 위내시경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 43만 9,538명과 검진을 받지 않은 37만 1,787명을 비교 분석했다. 총 81만 1,325명을 대상으로 위암 사망률, 발생률, 그리고 검진 후 14일 이내 합병증(호흡기·심뇌혈관계)을 추적했다.분석 결과, 50~69세 구간에서는 위내시경 검진을 받은 집단이 위암 사망 위험이 30~52% 낮았지만(HR 0.48~0.70), 70~79세에서는 유의한 이득이 없었다.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검진군이 비검진군보다 위암 사망 위험이 오히려 두 배 이상 높았으며(HR 2.07), 이는 성향점수 매칭(PSM) 및 가중치 분석(IPTW)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또한 동반질환지수(CCI)가 3 이상인 집단에서도 검진을 받은 사람의 위암 사망 위험이 오히려 높았다(HR 1.72). 내시경 후 합병증 발생 위험 역시 80세 이상에서 5배 이상 증가했으며(HR 5.40), CCI가 높은 집단에서도 6배 이상 높았다(HR 6.68).명석호 연구원은 "위내시경 검진은 50~69세 성인에게는 분명한 생존 이득이 있지만, 고령층에서는 검진 자체가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며 "70세 이상부터 검사가 제공하는 이점이 현저히 감소하고 80세 이상에선 오히려 위험이 더 커진다는 점에서 연령대에 따른 검사 제한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모든 연령층에 동일한 검진 정책을 적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고령층에서는 건강 상태와 기대여명을 고려한 맞춤형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연구는 국가 위암검진의 '상한 연령'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대규모 인구 기반 분석으로, 향후 위암 검진 지침 개정 논의에 참고 자료가 될 전망이다.
2025-11-14 11:58:12학술대회

첨생법 확대 이후 재생의료 열기 고조…허가 전략에 관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재생의학 기반 항노화 클리닉을 준비하는 의료기관들이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허가 절차와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올해 2월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개정으로 재생의료 적용 대상이 중증 희귀난치성 환자에서 일반 환자까지 확대되면서 줄기세포·면역세포 치료를 시도하려는 개원가와 병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2일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는 ST센터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첨단재생의료의 현재와 미래 세션을 통해 해외의 줄기세포 시술의 동향 및 개원가의 실무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김응석 학회장의 '재생의학 관점에서 바라보는 세포치료의 현재와 향후 트렌트' 강의를 시작으로 시간대별로 활발한 연구 성과와 경험, 최신 지견이 공유됐다.특히 실시기관 허가 절차와 항노화 분야에서의 재생의학 적용 전략 등 실질적인 정보가 제시돼 현장의 관심을 끌었다.재생의료컨설팅 전문기업 BKD주식회사도 참가해 학회 슬로건에 맞춘 재생의료 생태계 강화에 힘을 보탰다.BKD는 연구개발기업 티에스바이오와 협력해 줄기세포·면역세포 기술을 바탕으로 세포위탁공급, 세포보관, 실시기관 허가 이후 사후관리까지 포괄적 지원 역량을 소개하며 주목받았다.BKD 관계자는 "학술대회에서 재생의료 임상사례와 실시기관 허가컨설팅 경험을 상세히 안내했다"며 "임상연구 기반의 공동연구협력을 통해 환자들이 기대하는 재생의료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이어 "실시기관 허가를 원하는 다양한 의료진과 협력하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확장해 재생의료 활용 기반을 넓히겠다"며 "재생의료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추 기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11-14 10:11:41학술대회

지질은 기본 췌장염까지 잡아…돌파구 부상한 올레자르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LDL 콜레스테롤 강하를 목적으로 개발된 아포지단백 C-III 억제제 올레자르센이 중성지방을 대폭 낮출 뿐 아니라 급성췌장염 발생 위험까지 유의하게 줄였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췌장염 위험을 직접 줄인 무작위 대조 임상 근거는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미국 보스턴 브리검 여성병원 니콜라스 마스톤 등 연구진이 진행한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및 췌장염 위험 관리를 위한 올레자르센 투약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8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512761).올레자르센은 LDL-C 조절을 위해 설계된 약물로, 간에서 아포지단백 C-III mRNA를 억제해 VLDL 및 중성지방 운반을 차단하는 기전을 갖는다.LDL 콜레스테롤 강하를 목적으로 개발된 올레자르센이 급성췌장염 발생 위험까지 유의하게 줄였다는 임상 결과가 나오면서 췌장염의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부상할 전망이다.이번 연구는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의 췌장염 예방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 CORE-TIMI 72a와 CORE2-TIMI 72b의 통합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규모 코호트나 단기간 관찰, 서열적 설계 또는 지표 중심 결과에 그쳐 췌장염 발생 감소 같은 임상적 사건에 대한 증거가 부족했던 한계를 지녔다.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연구진은 아포지단백 C-III를 억제하는 항감수성(antisense) 기전 약물 올레자르센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연구는 각 시험에서 환자들을 1:1:1 비율로 올레자르센 50 mg, 80 mg, 또는 위약군에 배정해 매월 12개월간 투여했다.주요 종점은 치료 6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변화율(기저 대비 백분율)로 설정했으며, 12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변화와 아포지단백 C-III, 잔여콜레스테롤, 비HDL 콜레스테롤 수준 변화를 부종점으로 삼았다. 또한 두 시험을 통합해 급성췌장염 발생을 평가했다.총 1061명의 환자(CORE-TIMI 72a 617명, CORE2-TIMI 72b 444명)가 주 분석에 포함됐다. 6개월 시점에서 CORE-TIMI 72a에서는 올레자르센 50 mg군이 위약 대비 중성지방이 장소평균으로 62.9%p, 80 mg군이 72.2%p 감소했다.CORE2-TIMI 72b에서는 50 mg군이 49.2%p, 80 mg군이 54.5%p 감소해 모든 비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다.이와 함께 아포지단백 C-III, 잔여콜레스테롤, 비HDL 콜레스테롤도 올레자르센 투여군에서 위약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했다.급성췌장염 발생은 올레자르센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평균 발생률 비율(mean rate ratio)은 0.15로, 위약 대비 85% 이상의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다.전반적인 이상반응 발생 빈도는 군 간 유사하게 관찰됐으나, 80 mg 고용량군에서 간효소 상승과 혈소판감소증(혈소판 100,000/μL 미만)이 더 자주 보고됐으며 간내 지방분율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도 확인됐다.올리자르센은 기존의 스타틴이나 피브레이트가 충분히 조절하지 못한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췌장염 예방 효과까지 입증되면서 그 치료적 의미도 확장됐다.그간 췌장염에는 특정 표적 약물이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의 치료가 담석 제거나 중성지방 강하와 같은 기저 원인 조절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올레자르센의 상당한 췌장염 위험의 감소는 임상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킬 전망이다.특히 중성지방이 1000 mg/dL 이상인 환자에서 급성췌장염 위험이 급격히 상승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연구는 지질 관리와 췌장 보호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 셈.연구진은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환자 중 올레자르센 치료를 받은 그룹은 위약 그룹 대비 6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수치와 급성 췌장염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4 05:30:00연구・저널

커피는 심혈관에 해롭다? 심방세동 재발 39% 낮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심방세동 환자에서 카페인 커피를 완전히 끊는 것보다 하루 한 잔 정도 마시는 것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카페인 섭취가 부정맥과 혈압 상승을 유발한다는 기존의 통념을 뒤집은 연구다.미국 캘리포니아대 크리스토퍼 웡 등 연구진이 진행한 심방세동을 줄이기 위한 카페인 함유 커피 섭취 관련 DECAF 임상시험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에 9일 게재됐다(doi: 10.1001/jama.2025.21056).그동안 커피나 카페인이 혈압을 높이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꾸준히 제시돼 왔다. 예를 들어 200~300mg의 카페인을 섭취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평균 8mmHg, 이완기 혈압이 5mmHg 이상 상승한 메타분석 결과가 나온 바 있다.심방세동 환자에서 카페인 커피를 완전히 끊는 것보다 하루 한 잔 정도 마시는 것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이어 중증 고혈압 환자에서 하루 커피 두 잔 이상을 마신 경우 심혈관 사망 위험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일본인 코호트 연구도 있어 '커피는 부정맥의 적'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아 왔다.이번 'DECAF(Decaffeinated or Caffeinated Coffee for Atrial Fibrillation)' 임상시험은 카페인 섭취와 부정맥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첫 무작위 대조 연구로, 심방세동(AF)이나 심방조동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모든 참여자는 심장전기충격을 통해 정상 리듬을 회복한 직후 등록됐으며, 미국, 캐나다, 호주 5개 병원에서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모집됐다. 최종 추적은 2025년 6월 5일에 완료됐다.연구진은 카페인 섭취가 실제로 심방세동 재발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페인 커피 섭취'와 '완전 금욕' 두 그룹을 무작위로 비교했다.참여자들은 커피를 계속 마시는 그룹(n=100)과 커피 및 카페인 제품을 완전히 끊는 그룹(n=100)으로 1:1 배정됐다.섭취군은 최소 하루 한 잔 이상의 카페인 커피를 마시도록 권장됐고, 금욕군은 카페인뿐 아니라 디카페인 커피와 카페인 함유 식품까지 완전히 피하도록 했다.6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 심방세동 또는 심방조동의 재발은 커피 섭취군에서 47%, 금욕군에서 64% 발생했다. 이는 커피 섭취군의 재발 위험이 39% 낮은 것으로, 위험비(HR)는 0.61이었다.심방세동 단독 재발만 따로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기간 동안 두 그룹 간 이상반응 차이는 없었다.이번 연구는 무작위 배정과 다국가 다기관 설계를 통해, 카페인 섭취와 심방세동 재발 간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검증한 첫 근거로 평가된다.연구진은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이 임상 시험에서, 하루 평균 1잔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 섭취량에 할당된 것은 커피와 카페인 제품을 금하는 것에 비해 AF나 심방조동의 재발이 적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3 12:03:45연구・저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