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최선기자 의약 학술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중심으로 의학회 및 의학·학술 분야를 취재 보도하고 있습니다.
메디칼타임즈는 여러분의 제보에 응답합니다.
medic@medicaltimes.com

※ 사실관계 확인 후 기사화된 제보는 원고료(5만원)를 지급해드립니다.

리바로패밀리, 혈압까지 해결…리바로하이로 통합관리 완성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6일 대한심장학회는 국제학술대회 KSC 2025를 개최하고 피타바스타틴+발사르탄+암로디핀 3제 복합제 리바로하이의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했다.아시아인 데이터와 신규당뇨병(NODM) 안전성 근거로 이상지질혈증 치료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해온 피타바스타틴(상품명 리바로)이 영역을 확장한다.에제티미브를 섞어 효과를 강화(리바로젯)했다면 이번엔 암로디핀·발사르탄이 추가(리바로하이)돼 혈압까지 잡았다.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을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혈관질환 '올인원 패키지'가 나오는 셈.16일 대한심장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KSC 2025)를 개최하고 피타바스타틴 복합제 계열의 두 축, 리바로젯과 리바로하이를 중심으로 한 임상 근거와 실제 적용 전략을 공유했다.'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을 통한 이상지질혈증 최적 관리'를 발표한 삼성서울병원 최기홍 교수는 PCI(관상동맥중재술) 환자 데이터를 중심으로 리바로젯의 LDL-C 저하 효과와 혈당 안전성을 제시했다.삼성서울병원 최기홍 교수그는 "LDL-C를 50% 이상 낮춘 환자군에서 심혈관질환 예후가 확실히 개선됐다"며 "리바로젯은 중강도 스타틴 단독요법으로 부족한 환자에게 LDL-C를 23% 추가 감소시킬 수 있고, 48주 장기 투여에서도 혈당에 부정적 영향이 없었다"고 설명했다.이어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서도 LDL-C 60% 이상 감소 효과가 확인됐다"며 "고령 환자군에서도 근육 관련 이상반응을 낮추면서 예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그는 또한 "7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고강도 스타틴 근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중강도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을 비교하는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하다"며 "리바로젯은 혈당과 근육 안전성 측면에서 이런 연구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약제"라고 평가했다.■리바로하이, 혈압·지질 동시 타깃 '다다익선' 복합제한림대병원 서원우 교수는 피타바스타틴+암로디핀에 항고혈압제 발사르탄 성분까지 추가된 3제 복합제 신약 리바로하이가 12월 출시된다는 점에 맞춰 3상 자료를 인용,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그는 "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상지질혈증 또는 당뇨병을 함께 가지고 있다"며 "혈압과 LDL-C를 각각 10%씩만 낮춰도 심혈관 위험이 최대 45%까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리바로하이는 혈압·지질을 동시에 낮추는 복합제 개념으로, 실제 임상에서 목표치 도달률을 높이고 순응도 향상에도 유리하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발사르탄은 혈당 상승 위험이 낮고, 고위험군 환자에서 신규 당뇨병 발생을 14% 감소시킨 근거가 있다"며 "리바로하이는 피타바스타틴과 발사르탄 두 약제가 모두 혈당 안전성을 갖춘 조합으로,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환자에서 안전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또 "6가지 용량으로 구성돼 환자별 혈압과 지질 목표에 맞춘 유연한 조절이 가능하다"며 "복합제는 단순히 복약 편의성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 다중 위험인자 관리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한림대병원 서원우 교수는 오는 12월 출시되는 3제 복합제 리바로하이 임상 3상 결과를 기반으로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이번에 공개된 리바로하이 국내 3상은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동시에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피타바스타틴과 암로디핀·발사르탄 병용의 효과를 평가했다.피타바스타틴 4mg+발사르탄 160mg+암로디핀 10mg 복합제를 155명에게 투약(시험군 54명 / 대조군1 피타바스타틴+발사르탄 / 대조군2 발사르탄+암로디핀)한 후 8주차에 평가한 결과 리바로하이군의 SBP는 기저치 대비 22.1mmHg 감소한 반면 대조군1은 3.3mmHg 감소에 그쳤다.이어 LDL-C는 대조군2가 1.3% 감소에 그쳤지만 리바로하이 투약군은 38.3%가 감소해 상대적인 우위를 확인했다.서 교수는 "리바로하이는 3상에서 기저치 대비 Non-HDL-C의 37% 감소, TG 수치 22.3% 감소와 HDL-C 수치의 16.5% 상승 효과까지 나타났다"며 "약물이상반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대한 약물이상반응도 없었다"고 설명했다.리바로젯이 LDL-C 중심의 지질 관리에서 혈당 안전성까지 확보했다면, 리바로하이는 혈압과 지질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로 치료 패러다임을 확장한 셈.이와 관련 좌장을 맡은 김원 교수(경희대병원)는 "리바로와 리바로젯은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매우 안전한 약제"라며 "스타틴의 혈당 부작용 우려 없이 꾸준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좌장 한주용 교수(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는 "약물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HIV, 장기이식, 항암치료 등 다약제 복용 환자에서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며 "이 점이 피타바스타틴 기반 치료의 차별성"이라고 덧붙였다.
2025-10-20 14:26:53학술대회

"심장질환은 구조적으로 홀대 받아" 제도 개선 한 목소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심장학회는 KSC 2025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심장질환이 홀대 받는 구조적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해 공론화했다.정부가 필수의료 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심혈관질환 분야는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낙후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현행 제도가 심혈관계 중증환자의 진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중증 환자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으며, 이는 필수의료 강화라는 정부 기조와도 괴리돼 있다는 것.전문가들은 심장혈관중환자실 제도화, 심초음파 수가 개선,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포함, 심혈관질환 기금 확대 등의 정책 개선안을 제시하며 급증하는 심혈관질환의 보호막을 주문했다.17일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춘계학술대회(KSC 2025)에서는 심혈관질환 진료체계와 보험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현장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쏟아졌다.현행 제도 아래서는 중증 환자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으며, 필수의료 강화라는 정부 기조와도 괴리돼 있는 등 발표 연자들은 공통적으로 "현행 제도가 심혈관계 중증환자의 진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먼저 서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장중환자실(CICU) 지원의 필요성과 대책' 발표를 통해 CICU의 필요성을 공론화했다.서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그는 "심장집중치료실(CCU)은 과거 허혈성 심질환 중심으로 설계된 체계로, 오늘날 부정맥·판막질환·심근염·심부전 등 다양한 환자를 관리하는 현실과 괴리가 크다"며 "이제는 CCU에서 CICU로의 제도적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서 교수는 특히 미국심장학회(AHA)가 2012년부터 CCU 개념을 CICU로 바꾼 배경을 언급하며 "단순히 관상동맥 환자만 보는 시대가 끝났고 심장 전체를 다루는 집중치료 체계로 전환하지 않으면 환자 생존율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그는 CICU 제도화가 필수의료 강화와 직결된다고도 했다. 서 교수는 "지방의료원이나 중소병원에는 심부전·쇼크 환자를 담당할 전문 인력이나 장비가 없어 상급병원 전원이 잦다"며 "결국 환자는 치료 시기를 놓치고, 의료전달체계도 왜곡된다"고 지적했다.수가체계 문제도 근본적 걸림돌로 꼽았다. 현재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료는 외과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심장집중치료에 필요한 고난도 장비나 인력 투입이 전혀 반영돼 있지 않다. 서 교수는 "심혈관계 중환자는 입원 기간은 짧지만 사망 위험이 높아 고난도 대응이 필수"라며 "이 구조로는 인력 유지나 교육조차 어렵다"고 말했다.미국은 이미 CICU 체계를 표준화해 심장전문의와 중환자 전문의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dual-intensivist' 모델을 운영한다. 중증도에 따라 병상과 인력을 분리하고, 전담 교육과정도 별도로 마련돼 있다. 반면 국내는 병원별로 CCU 기준이 달라 일부는 단순 관찰병상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다.서 교수는 "CICU는 선택이 아니라 환자 생명을 지키기 위한 필수 인프라"라며 "심혈관계 중환자 전담 인력 양성, 전용 수가 신설, 전국 단위 표준화, 지역 연계망 구축 등 제도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말하는 필수의료의 본질이 생명을 살리는 것이라면, 수술실보다 먼저 갖춰야 할 곳이 바로 CICU"라고 강조했다.■"80장 찍어도, 10장 찍어도 보상 같아" 심초음파 수가 개선해야한편 심초음파의 수가 체계의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중증심질환의 심초음파 수가, 현재의 문제점과 전문수가 도입 제언'을 발표한 손정우 연세원주의대 심장내과 교수는 "심초음파는 단순 영상검사가 아닌 기능 중심의 고난도 평가인데도 영상검사로 분류돼 종별 가산이 폐지됐다"며 "중증 환자를 많이 보는 기관일수록 손실이 커지는 구조로, 중증 심초음파에 대한 별도 수가 신설이 절실하다"고 밝혔다.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종별 가산율이 각각 30%→15%, 25%→10%로 축소됐고, 심초음파는 영상검사에 포함되면서 종별 가산 자체가 폐지됐다. 심평원은 회계조사에서 '영상검사는 과평가됐다'는 근거를 제시했지만 문제는 당시 심초음파는 비급여여서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손 교수는 "심초음파는 단순 정지 영상이 아니라 수축력, 이완, 판막 기능, 혈류역학 등 복합적인 기능 정보를 동영상으로 분석해야 하는 고난도 검사"라며 "상급종합병원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cardio-specific 장비로 고가 서버 비용이 수반되고, 영상 수가 평균 80개 이상으로 일반 초음파와 차원이 다르다"고 강조했다.이어 "미국과 일본은 중증도에 따라 modifier(부가 코드)나 별도 코드가 존재해 중환자, ECMO, 수술 전후 환자 등에 가산을 적용하지만 우리나라는 단순·일반·전문 세 가지로만 구분돼 있다"며 "중환자실, 이식환자 등 중증군에 한정한 중증도 기반 수가 코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는 심초음파학회와 협력해 현실적 대안을 모색 중이라며, "선천성 심질환 초음파처럼 이미 가산이 적용되는 세부 상병이 존재하는 만큼 중증 판막질환이나 ECMO 등 복합질환 환자에도 가산을 부여하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손 교수는 "2021년 급여화 이후 수가가 하락한 데다 올해 종별 가산까지 폐지돼 상급병원과 의원급의 수가가 동일해졌다"며 "중증 환자를 더 많이 보라는 요구 속에서 오히려 손실이 커지고 있다. 현 체계가 지속된다면 심초음파 전문 인력 이탈과 검사 공백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그는 끝으로 "심초음파는 필수의료 영역으로 대체 불가능한 검사다. 중증도 반영 없는 동일 수가 체계는 의료현장을 사지로 내모는 결과를 낳는다"며 "심장질환의 중증도와 기능 평가의 복잡성을 반영한 별도 수가가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심부전 환자 구조적 홀대 받아…원인은 질환 분류"이수용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이수용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포함을 요청했다.심부전은 임상적으로도, 자원 소모 측면에서도 명백한 중증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문진료질병군(DRGA)이 아닌 일반진료질병군(DRGB)으로 분류돼 있어 이로 인해 상급종합병원 내에서 심부전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 교수는 "심부전 환자는 만성 질환의 특성상 입·퇴원을 반복하며, 입원 환자의 5년 내 사망률이 절반에 이르고 일부 암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데도 의료체계상 단순 질환으로 취급받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상급종합병원 지정체계가 '전문진료질병군' 비중을 핵심 평가항목으로 삼으면서 심부전 진료를 주로 맡는 순환기내과 교수들이 병원 내 불이익을 겪고 있다는 설명이다.이 교수는 "상급종합병원 지정 점수를 높이기 위해 단순진료질병군 환자 비중을 줄이라는 압박이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일부 교수들은 '심부전 환자는 보지 말라'는 식의 직접적 제약을 받기도 하고 있지만 심부전이 DRGA로 포함되지 않는 한 이러한 구조적 왜곡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현행 체계상 심부전은 DRGB 215번에 속하지만, 호흡부전이 DRGA 141번으로 포함돼 있는 점을 예로 들며 "심부전 역시 임상 난이도, 예후, 치료 부담 측면에서 충분히 A군으로 격상될 근거가 있다"고 강조했다.또한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에서도 중증 심부전이나 심인성 쇼크가 3단계로 분류돼 있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며 "실제 도부타민 투여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중등도'로 분류되는 것은 제도적 허점"이라고 지적했다.그는 학회 차원에서 제시할 개선안으로 ▲중증 심부전(특히 좌심실박출률 40% 미만의 HFrEF)을 DRGA에 포함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 내 중증 심부전 단계 상향 ▲악화 심부전(Worsening HF) 및 고도 심부전(Advanced HF)에 대한 신규 KCD 코드 신설 ▲중환자실(ICU)·응급실 입원 경로에 따른 중증도 인정 확대 등을 제시했다.
2025-10-20 12:25:30학술대회
인터뷰

"심질환은 법적 테두리 밖…정부에 청구서 내밉니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용어조차 제대로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 -정의와 주요 질환군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단독 법률 제정이 전무합니다. -보장성 제도에서 배제돼 있습니다. -진료 연속성이 단절되고 있습니다. -지원 근거가 미비합니다. 법으로 살펴본 심장질환은 한마디로 '소외'이자 '배제'라는 게 학회의 판단이다.대한심장학회가 이례적으로 학술대회장 출입구마다 대형 배너를 세웠다. 제목은 다음과 같다.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 개정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단순한 홍보물이 아니라, 학회가 공식적으로 내건 정책 요구문이자 청구서다.17일 대한심장학회 학술대회장에서 작업을 기획한 정욱진 대한심장학회 정책이사(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를 만났다. 그는 단호한 어조로 "심장질환은 여전히 법의 바깥에 있다"며 이제는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정 교수는 올해 초 정책이사로 선임된 뒤 가장 먼저 '심혈관질환의 법적 부재'를 마주했다.문제의 발단은 중증 심부전 등 난치성 심장질환자들이 보장성 혜택에서 소외돼 있다는 점. 만성 콩팥병의 경우 투석 직전 단계인 4기부터 산정특례가 적용돼 환자 본인 부담이 낮아지지만 심질환자는 사정이 다르다.정 이사는 "중증 심장질환 환자가 보장성에서 제외돼 있어 진료실에서 약값에 힘들어하는 환자들을 많이 본다"며 "만성 콩팥병, 암은 산정특례를 받아서 환자가 치료 금액의 5~10%만 내도 되는 반면 심장질환자는 심장 이식 직전 상태에서도 약값의 60%를 내야 된다"고 지적했다.그는 "다른 비싼 약들도 많이 써야 하는 환자들이 부담에 시달리다가 결국 심질환으로 돌아가시는 경우도 빈번하다"며 "혜택이 거의 없는 불합리함의 구조적인 원인에는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부분이 크다"고 진단했다. 대한심장학회 정욱진 정책이사가 심뇌법 개정의 사유에 대해 설명했다.중증·난치성 심부전, 중증판막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질환, 폐고혈압와 같은 중증 환자들 중 보험 혜택을 보는 사람은 소수에 한정된다. 일부만 한시적으로 30일간 약값 인하 혜택을 보지만 대다수는 60%의 약값을 자부담하는 실정으로 이는 제도적 차별에 가깝다는 게 그의 판단. 해결책을 찾아봤지만 현재 심질환자를 도와줄 '법적 근거'가 부재했다."정책연구소장, 보험이사, 정책위원 등과 한두 달 논의해봤더니 놀랍게도 관련 법이 없더라고요. 관계 부처 관계자들도 심혈관질환의 중요성을 모르는 게 아니지만 관리법이 없으니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법이 없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핵심은 현행 법 체계의 빈칸이다. 법에는 '심장질환' 정의조차 명시돼 있지 않고, 주된 정책 영역은 급성기 뇌졸중과 심근경색에 집중돼 있다.그는 "급성기만 관리하다 보니, 장기 관리가 필요한 심부전·부정맥·선천성 심질환 환자는 제도 밖으로 떠밀려있다"며 "게다가 심장질환은 건강증진기금에서도 0.6% 정도인 200억원만 지원될 정도로 법이 없으니 예산 편성의 근거도 없고, 따라서 지원도 없다"고 진단했다.이에 학회 차원의 첫 정책 캠페인으로 '심뇌법 개정 10가지 이유' 배너를 기획했다는 설명이다. 법 개정의 취지에 의사도 환자도 공감해야만 추진 동력이 생긴다는 점에서 공론화에 시동을 걸은 셈.정 이사는 "이건 단순한 슬로건이 아니라 행동 선언"이라며 "의사들이 학회장에 들어오며 자연스럽게 읽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모든 세션장 출입구에 배너를 설치했다"고 말했다.그는 "의사뿐 아니라 호텔 내원객들도 보게 해서 여론을 형성하려는 의도도 있다"며 "산정특례의 기준이나 질환명이 법에 명시돼야 하고 중증 기준도 법에서 정의되는 쪽으로 법이 바뀌지 않으면 보장성 확대는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배너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담겼다. "심장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두 번째 주요 사망원인", "국내 보건의료 법령에는 '심장질환' 용어조차 없다", "심근경색·심부전·부정맥 등 고위험 질환은 보험 보장성 제도에서 배제돼 있다" 등, 그간 의료계 내부에서만 논의되던 현실이 직접적인 문장으로 제시됐다.학회가 추진하는 개정 방향은 명확하다. ▲심장질환의 정의 및 주요 질환군 법적 명시 ▲급성기 중심의 권역센터에서 만성 관리 중심 체계로 전환 ▲심장혈관중환자실의 정부 지원체계 편입 ▲건강증진기금 내 심장질환 항목 신설 등이다.정 이사는 "암·뇌혈관질환·치매·당뇨·자살예방 등은 이미 각각의 관리법과 기금 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정책 및 연구비 지원이 풍부하다"며 "학회 입장은 다 보장해 달라는 게 아니라 중증 환자들만이라도 혜택을 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는 "국내 심부전 환자는 150만명이 넘지만 중증 심부전은 2만명, 경각을 다투는 환자들을 다 합쳐도 5만명에 그친다"며 "전체 심장질환을 산정특례로 포함해달라는 게 아니라, 마지막 단계에 도달한 환자들만이라도 혜택을 달라는 현실적 제안이고 이는 정책적으로 충분히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는 "이미 미국, 호주뿐 아니라 옆나라 일본도 법·기금·지방정부 책임이 명시된 구조적 제도를 갖고 있지만 한국만 법적 근거가 없어 정부 지원, 수가 개정, 연구비 및 기금 배분에서 모두 배제되고 있다"며 "심혈관질환의 법적 정의, 재정 기반, 중앙·지방 연계 구조를 명문화한 개정안을 통해 국민 건강권과 의료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해외는 법률 안에 예방·치료·재활까지 포괄하는 국가 전략과 기금 체계를 명시해 국가 책임을 제도화했지만 한국은 법적 근거가 없어 심장질환이 정책 테이블에 오르기 어려운 상황. 법 개정이 이뤄져야 정부 내 관련 TFT가 구성되고, 기금 배분 구조도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모든 변화의 출발점은 '법' 그 자체에 있다는 설명이다.정 이사는 "오는 11월 19일 국회 토론회에서 심뇌법 개정 관련 내용을 다룰 예정"이라며 "이를 계기로 심장질환의 법적 정의를 명확히 하고, 중증 환자에 대한 보장성 확대와 의료 인프라 확충을 포함한 구체적 개정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심뇌법 개정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배너 전문
2025-10-20 05:30:00학술대회

국민 95% 심뇌혈관질환 기금 공감 "진료비 급증 대비해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7일 대한심장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 KSC 2025를 개최하고 심뇌혈관질환 관련 대국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고령화 및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심혈관질환자와 진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적절한 대응을 위해 기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실제로 미국, 호주, 싱가포르, 태국 등 다양한 나라가 일반 회계와 기금 방식을 운용하고 있고 국내 설문에서도 국민 95.3%가 심뇌혈관지환 기금 필요성에 공감해 시기가 무르익었다는 것.17일 대한심장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 KSC 2025를 개최하고 심뇌혈관질환 관련 대국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심혈관질환 진료비 전망을 보면 진료비 패턴은 선형보다 지수형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생변수 중심으로 지수형 함수를 가정하면 2040년 기준 진료비는 19.5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되지만 현재 가용할 재원은 한정적이다.1997년부터 부과된 건강증진기금은 담배세 중심(67% 내외)으로 투입되고 있으며 전체 기금의 1%만이 심혈관질환에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된다.이에 심혈관질환 기금 조성에 대한 필요성과 적합한 재원, 사용처별 요구되는 규모 등 전반적인 의견을 청취해 기금 조성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날리지웍스 주도로 설문조사가 진행됐다.설문 대상은 전국 20~60대 성인 1,000명(심혈관질환 보유자 31.2%)과 대한심장학회 소속 전문가 108명으로 설문지 기반의 웹 설문조사 방식으로 지난 9월 진행됐다.먼저 심혈관질환을 위한 기금 투자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국민 95.7%, 전문가 98.1%이 긍정했다.전문가의 경우 4점 이상(어느 정도 필요하다)이 93.5%에 이르는 등 대국민에 비해 일선 현장에서 높은 긍정 응답이 나왔다.기금 조성이 필요한 이유 항목에서 전문가와 국민은 공통적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재원 확보'(국민 53.9%, 전문가 74.3%)를 들었다. 이어 전주기 연계 투자 가능이라는 응답이 국민 34.1%, 전문가 68.6%로 집계됐다.활용 가능 재원에 대해 담배세, 주류세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국민은 73.3%가 담배세를, 65.2%가 주류세를 꼽았고, 전문가는 88%가 담배세를, 78.7%가 주류세를 꼽았다.이외에 특별소비세(48.1%) 활용 의견도 대두됐다.적절한 기금 배분 방식은 국민의 경우 국가적으로 총 진료비가 높은 질환에 배분하는 방안(44.4%)을, 전문가는 기금 투자 대비 효과가 클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두는 방안(54.6%)으로 의견으로 양분됐다.전문가만을 대상으로 한 기금 투자 규모에 대해선 1000억원이 다수 의견(34.3%)이었고, 이를 기준으로 심혈관질환별 투자 비율은 치료(29.2%), 응급 등 격차해소(20.2%), 예방관리(17.3%), 데이터 혁신(17%) 순으로 나타났다.투자 분야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국민의 경우 예방 및 진단이 30.8%, 응급이송 및 대응, 치료에 27.4% 등 범국민적으로 체감 가능한 요소에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한 반면 전문가 29.2%는 신속적정치료 및 환자 관리를 1순위로 꼽았다.기금 확대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은 심혈관질환 통합 기금을 1순위로 꼽았고, 이어 심혈관지환 별도 기금 신설, 건강증진기금 내 비중 확대, 응급의료기금 내 비중 확대를 제시했다.국민의 경우 심뇌혈관질환 별도 기금 또는 통합 기금 필요성에 대해 95.3%가 긍정했다.학회는 "심혈관질환 기금 조성의 높은 필요성과 전용 기금 추진에 대한 수요를 확인했다"며 "재원으로는 기존의 담배세 외 주류세 등 발굴이 요구되며 투자 분야로는 치료, 예방, 관리 등 중대한 이슈 중심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설문 결과를 발표한 날리지웍스 권여은 연구원은 "실제로 주요 국가들마다 일반 회계나 기금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며 "미션 중심 프로그램을 통해 예방 중심 관리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영국은 공중보건 보조금을 운영하고 싱가포르는 보건부 예산의 5% 이상을 할당하고 있으며 3~10년간 10억 달러 이상 투자가 예정돼 있다"며 "태국은 흡연, 고염식 등 위험요인과 심뇌혈관 예방사업을 상시 지원한다"고 말했다.이어 "미국은 심장, 폐, 혈액 질환의 기초 임상 연구 지원을 위해 NHLBI의 예산을 배정한다"며 "이와 같은 해외사례를 참고해 심뇌법을 개정해 심혈관질환을 위한 전용 기금을 신설하는 개정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제시했다.
2025-10-17 12:03:33학술대회

"진단 시 절반은 고위험 전립선암"…국가검진 도입 촉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비뇨의학회(회장 서성일)는 최근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5년호에 게재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전립선암 국가검진 도입이 시급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국내 51개 종합병원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27075명의 환자를 대규모로 분석한 이 논문(Half of the men with prostate cancers discovered in 2010-2020 had high-risk diseases: Korean real-world data from 27075 patients)에 따르면, 진단 당시 환자의 절반 이상인 50.6%가 이미 질환이 진행된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국내 전립선암 조기 발견 체계의 심각한 한계를 보여주는 결과다.2010~2020년 한국 전립선암 환자 분석 결과특히, 저위험 전립선암 비율은 2010년 11.4%에서 2020년 7.6%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와 관련해 "서구 국가에서는 PSA(Prostate-Specific Antigen, 전립선특이항원) 선별검사 도입 이후 저위험군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와 달리, 한국은 이와 반대로 저위험군 비율은 감소하고, 고위험군 비율이 높아지는 역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는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체계가 부재한 결과"라고 분석했다.더불어, 지역 간 검진 불균형도 두드러졌다. 농어촌 지역 환자의 고위험 비율은 55.4%로, 도시 지역(47.7%)보다 7.7%나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영휘 교수(이화의대 비뇨의학과, 논문 교신저자)는 "이번 대규모 다기관 연구를 통해 국내 전립선암의 심각한 진단 현실을 확인했다"며 "환자의 절반 이상이 고위험 단계에서 진단되는 것은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체계가 부재한 결과다"라고 지적했다. 고 교수는 이어 "전립선암은 혈액 검사(PSA)만으로 쉽게 조기 발견이 가능한 만큼, PSA 검진을 국가암검진 항목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서성일 대한비뇨의학회 회장(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전립선암은 이제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질환"임을 피력하며, "피검사를 통해 조기에 전립선암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PSA 검사를 국가암검진 항목에 포함하고, 농어촌 및 취약 지역 등 검진 사각지대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전립선암 조기 검진 도입과 더불어 과잉진단 및 과잉치료를 방지할 명확한 원칙을 마련하고,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10-17 12:00:33연구・저널

눈은 심부전 예측의 '창'…망막 이미지로 심혈관 위험 예측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비침습적인 망막 촬영 방식으로 심혈관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심부전 환자의 눈을 통해 심혈관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바이오마커 연구 결과가 나왔다.비침습적으로 눈을 촬영, AI 기반 망막 바이오마커를 통해 미세혈관 이상 여부를 측정하고 심부전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어 주요 혈관 질환의 위험을 비침습적으로 관리하는 시대를 여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것.16일 대한심장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KSC 2025)를 개최하고 최근 병의원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안저 검사 망막 이미지 기반 혈관 및 대사 건강을 평가하는 AI의 활용성에 대해 논의했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주연 등 연구진은 딥러닝 기반 망막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심부전 환자의 동맥경화 위험 예측(Evaluation of a Deep Learning–Based Retinal Biomarker, Reti-CVD)'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심부전 자체가 허혈성 원인과 관계없이 미세혈관 이상과 관련돼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이번 연구에서 활용된 Reti-CVD는 단순히 안저 사진을 분석하는 수준을 넘어,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CAC score)와의 상관관계를 학습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심혈관 위험을 추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마커다.이 연구원은 "기존의 관상동맥 CT와 달리, Reti-CVD는 망막 영상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비침습적이고 방사선 노출이 없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며 "외래 진료실에서도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심혈관 위험 평가 도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연구는 2024년 7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연세이대 심장혈관센터에서 Reti-CVD 검사를 받은 심부전 환자와 고혈압 대조군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좌심실 박출률(LVEF) 50% 미만의 환자 중 비허혈성 심근병증(NICM) 143명, 허혈성 심근병증(ICM) 76명, 그리고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고혈압 환자 594명이 포함됐다.모든 대상자는 망막 촬영 후 AI 분석을 통해 Reti-CVD 점수를 산출하고, 연령과 성별을 반영한 기준에 따라 저위험, 중간위험, 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분석 결과 NICM 환자의 Reti-CVD 점수 중앙값은 41.4로 대조군(38.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6), 고위험군 비율 또한 52.4%로 대조군(39.6%)보다 높았다.특히 여성 환자에서 차이가 뚜렷했다.여성 NICM 환자의 평균 Reti-CVD 점수는 41.4로, 대조군 여성(37.9)보다 높았고, 고위험군 분포 역시 53.3% 대 34.2%로 큰 차이를 보였다.반면 남성에서는 NICM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 연구원은 "이러한 성별 차이는 여성 심부전 환자에서 관상동맥이 막히지 않더라도 미세혈관 기능 장애가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관찰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말했다.한편 ICM 환자는 NICM보다 평균 연령이 약간 높았지만(65세 vs 62세), 남성 비율이 95%에 달했고 Reti-CVD 점수 역시 44.4로 NICM(41.4)보다 높았다.고위험군 분포도 67.1%로 NICM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녀 모두에서 일관되게 유지됐다.이주연 연구원은 "Reti-CVD가 단순히 관상동맥 협착 여부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의 혈관 염증과 미세혈관 손상을 포착하는 지표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했다.기기 앞에 앉아 눈 사진 한 장만 찍으면, AI가 나이와 성별 정보를 함께 입력받아 자동으로 위험도를 산출한다는 점에서 Reti-CVD의 임상적 잠재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그는 "향후 심부전 환자에서 허혈성·비허혈성 원인을 감별하거나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위험을 예측하는 보조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며 "비허혈성 심근병증 환자에서도 Reti-CVD가 상승했다는 것은, 심부전이라는 질환 자체가 내피 염증이나 미세혈관 기능 장애 같은 비허혈성 병태와 긴밀히 연결돼 있음을 시사한다"고 판단했다.그는 "여성 환자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 점은 최근 심부전 병태생리에 있어 성별 차이가 중요하다는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며 "앞으로는 단순히 혈관이 막혔느냐가 아니라, 전신의 미세혈관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10-16 12:03:00학술대회

"심혈관질환 급성기 중심 벗어나야"…조기 관리 대전환 제안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한국 심혈관 질환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급속한 고령화와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주요 질환의 발생이 빠르게 늘고 있는 반면 예방과 관리 체계는 여전히 급성기 중심에 머물러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국내 심혈관질환 현황 분석을 진행한 대한심장학회는 예방과 조기 관리 중심의 체계적 전환이 없다면 향후 의료비 부담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질환별 맞춤형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대한심장학회와 심장학연구재단은 다학제적 전문가 협력을 통해 주요 심혈관 질환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간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개선 과제를 대한내과학회지 10월호에 공개했다(doi.org/10.3904/kjm.2025.100.5.201).먼저 보고서에서 비중있게 지적된 부분은 젊은층에서의 고혈압 관리 사각지대. 국내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32.9%에 달하지만, 20~30대의 인지율은 36%, 치료율은 35%, 조절률은 33%에 그친다. 즉 세명 중 두명은 자신이 고혈압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는 의미다.학회는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을 '검진 사각지대'로 꼽았다. 현행 국가건강검진은 40세 이상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돼 젊은층이 조기 진단 기회를 놓치고 있으며, 직장 검진을 받는 일부를 제외하면 혈압 측정조차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심장학회의 질환별 문제 진단 및 정책 제언 표학회는 이에 따라 국가건강검진의 혈압 측정 연령을 20세 이상으로 낮추고, 학교·직장 기반의 정기 혈압 측정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또한 젊은층의 낮은 치료율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헬스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 개인형 혈압 모니터링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의료진과 연계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학회는 "고혈압은 발병 후 관리보다 조기 발견과 생활습관 교정이 훨씬 중요하다"며 "젊은층의 질환 인식을 높이는 건강 캠페인과 비만·운동 관리 프로그램을 결합한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이상지질혈증이 이미 국민 절반 가까이가 경험하는 '조용한 위험'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검진 주기의 변경안도 제시됐다.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남성 48.2%, 여성 41.3%로 2007년 이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문제는 상당수 환자가 증상이 없어 검진 외에는 발견할 방법이 없다는 점. 현재 4년 주기의 국가건강검진 콜레스테롤 검사로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학회는 검사 간격이 지나치게 길어, 특히 30~40대 고위험군(흡연, 당뇨, 비만, 가족력 등)의 조기 발견을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검진 주기를 2년으로 단축하고, 개인별 위험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검사와 상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학회 측의 제언.단순한 수치 관리에서 벗어나 '치료 순응도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국내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약 40%만이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대부분은 중단 후 재발하는 패턴을 보인다. 학회는 이에 따라 환자 교육, 상담, 디지털 복약 알림 시스템 등을 연계한 생활 중심형 관리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부정맥은 심방세동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60년에는 5.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학회는 65세 이상 건강검진에 심전도 검사를 포함하고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확대, 심폐소생술 교육 강화, 삽입형 제세동기(ICD) 급여 확대를 통해 생존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심혈관중재술 전문의의 지역 편중 문제도 풀어야할 숙제다.2024년 기준 인증 전문의 467명 중 75.8%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으며, 충남·전남 등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전문 인력 부족이 두드러졌다. 학회는 지방 근무 인센티브 제공, 고난도 시술의 수가 인상, 법적 안전망 구축, 장비 지원 등 지역 의료 인프라 개선을 제안했다.심부전은 전문질환군에 포함되지 않아 보험 특례나 수가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됐다. 학회는 장기 치료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심부전을 별도 전문질환군으로 지정하고, 수가 개선과 특례기간 연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학회는 "심혈관질환의 관리 패러다임은 질병 발생 이후의 치료가 아니라, 발생 이전의 예방과 조기 진단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 학계, 임상 전문가 간의 근거 기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2025-10-16 05:20:00연구・저널

의사도 환자도 만족도 높은 복막투석...활성화 수가에 달렸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국내 말기콩팥병 환자 10명 중 8명이 여전히 병원 혈액투석에 의존하는 가운데, 재택 복막투석이 삶의 질과 치료 만족도를 모두 높인다는 근거가 제시됐다.환자의 86%가 "일상 유지를 위해 재택 복막투석을 선택한다"고 답해 의료기관 방문이 필요한 혈액투석 대비 상대적으로 시간 확보나 삶의 질 측면에서 효용이 앞선다는 것.15일 대한신장학회는 '복막투석 재택관리 시범사업 실효성평가 의료현장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이번 조사는 지난 9월 3일부터 13일까지 전국 98개 의료기관에서 재택 복막투석 환자 452명, 의사 112명, 간호사 9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콩팥 기능이 저하된 말기콩팥병 환자는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신대체요법이 필요하며, 투석에는 혈액투석과 재택 복막투석이 있다.재택 복막투석은 환자가 재택에서 스스로 투석을 진행하고 월 1회 정도 병원을 방문하면 되기 때문에 주 3회 병원에서 의료진을 통해 진행하는 혈액투석보다 일정 조정의 자율성이 높아 경제 활동이나 학업 등 사회생활을 지속해야 하는 환자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설문 결과, 재택 복막투석이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 만족도를 높이며, 사회·경제 활동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환자들은 재택 복막투석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일상생활 유지를 꼽았다.환자의 86%가 생활·시간의 편의성, 병원 방문 횟수 감소, 경제·학업 활동 병행, 돌봄·부양 병행 등의 일상 생활 유지를 위해 재택 복막투석을 선택했다.실제로 환자들은 재택 복막투석을 선택함으로써 주당 평균 20시간의 추가 시간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환자들은 확보한 시간을 주로 경제·학업 활동(45%), 여행 및 외출 등 취미 활동(23%), 돌봄·부양 역할 수행(16%)에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특히 환자의 95%가 재택 복막투석 이후에도 경제·학업 활동의 유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전혀 영향 없음 78%, 영향은 있으나 유지 가능 17%).만약 재택 복막투석이 불가능하다면 월 최대 100시간의 경제·학업 활동 지장이 발생할 것으로 응답해 재택 복막투석이 환자의 일상 생활 영위에 필수적임을 보여줬다.치료 만족도 역시 높았다.재택 복막투석으로 삶의 질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환자는 단 한 명도 없어, 모든 환자가 삶의 질을 유지하거나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고, 99%의 환자가 다른 환자에게도 재택 복막투석을 권유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적극 권유 60%, 권유 의향 있음 39%).시범사업의 본사업 전환과 관련해서는 환자의 94%가 본사업 전환 시 지속 참여 의향을 밝혔고, 97%가 본사업 전환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다만 본사업 전환 시 전담 간호사 인력 확충을 통한 의료진과의 소통 확대(58%)와 원격관리 확대(43%)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의료진 또한 시범사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의사의 86%, 간호사의 78%가 시범사업을 통해 재택 복막투석 환자의 삶의 질·만족도·치료 지속 의지가 향상됐다고 체감했으며, 특히 간호사의 88%는 교육·상담이 환자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의사의 85%는 재택 복막투석 환자의 비중이 현재(4.5%)보다 증가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으나,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됐다.환자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으로 의사의 97%가 복막투석을 권유할 만한 정책적 환경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구체적으로 수가 개선(95%)과 전담 시설 및 전문 인력 등의 인프라 확충(73%)이 시급하다고 답했다.간호사 역시 복막투석 활성화를 위해 61%가 인력 및 수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교육·상담 인력 지원 37%, 원격 모니터링 인력·수가 지원 24%).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2024년 기준 국내 말기콩팥병 환자 중 혈액투석 비율은 80.2%, 신장이식은 16.0%인 반면, 재택 복막투석은 3.8%에 불과하다.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복막투석 환자의 재택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복막투석 환자 재택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해 왔으며, 올 12월 사업 종료를 앞두고 있다.이와 관련 박형천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재택 복막투석이 투석 환자의 일상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선택지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환자가 자신의 삶에 적합한 투석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위한 조속한 정책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10-15 12:03:51연구・저널

대상포진 백신, 치매 위험 39%↓ 국가접종 편입 근거 추가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최근 국내 주요 학회들이 1.5배에 달하는 비용 대비 효과를 근거로 대상포진 백신의 국가예방접종 편입을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편익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축적되고 있다.이번엔 1억명에 달하는 대규모 인원 분석 결과, 대상포진 백신 접종으로 치매 위험이 최대 39% 감소하는 등 사회적 비용 감소에 주효할 수 있다는 연구가 추가된 것.영국 옥스퍼드대 코넬리아 M. 반두인 등 연구진이 진행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재활성화 및 치매 위험 관련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ature Medicine에 6일 게재됐다(doi.org/10.1038/s41591-025-03972-5).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 저하 시 재활성화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50대 이후 발병률이 급격히 늘어나 60~75세 사이에 정점에 달한다.대한가정의학회가 지난 달 제작, 배포한 50세 이상 성인의 예방접종 체크리스트. 대상포진 백신 접종 여부가 포함돼 있다.당뇨병, 만성심혈관질환, 만성콩팥병 환자는 일반인보다 1.3~1.5배, 류마티스 질환 및 염증성 장질환 환자, 암 환자는 2~3배, 이식환자의 경우 최대 9배까지 위험이 높아진다.이번 연구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과 치매 발생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규명한 첫 대규모 분석으로, 그간의 역학적 관찰연구들이 가진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과거 일부 연구에서 대상포진 병력이 있는 사람의 치매 위험이 높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대부분 단일 기관 단면연구에 그쳐 인과성이나 백신 효과를 판단하기 어려웠다.연구진은 이러한 공백을 채우기 위해 미국 Optum 데이터베이스(2007~2023년, 약 1억 명 이상)를 활용해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장기 추적 분석을 수행했다.연구 설계는 공변량 조정을 극대화한 머신러닝 기반 성향점수매칭을 사용, 인구학적 요인부터 만성질환, 약물, 의료 이용 행태 등 약 400개의 변수들이 통제됐으며, 교란 요인 확인을 위해 폐렴구균 백신(PPSV23) 접종군을 비교 대조군으로 설정했다.분석 결과 대상포진 병력이 있는 환자 중 재활성화가 잦을수록 치매 위험이 7~9% 증가한 반면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는 치매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았다.백신 유형 별로 위험 감소율의 차이도 발생했다. 생백신 조스타박스 접종군의 치매 위험은 33% 감소했고,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인 싱그릭스 2회 접종군은 27% 감소했다.예방효과는 5년까지 유지됐으며, 특히 여성과 고령층에서 감소폭이 커 80~89세 여성 싱그릭스 2회 접종군의 경우 3년 시점 치매 위험은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진은 이러한 결과가 단순한 상관관계를 넘어, VZV 재활성화가 실제로 신경 염증과 아밀로이드 축적을 유발해 신경퇴행을 촉진하는 생물학적 경로를 반영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바이러스의 임상적 또는 비임상적 재활성화가 신경 퇴행성 변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며 "치매 예방 전략의 새로운 축으로 백신을 통한 바이러스 억제가 고려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최대 39%에 달하는 치매 위험 감소 효과를 고려하면 백신 접종의 편익이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발생보다 클 수 있다는 것.실제로 국내에서 시행된 비용-편익 분석 결과에선 치매를 제외하고도 접종의 편익이 1.5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맞으면 들인 비용보다 얻는 이익이 약 1.5배 크다는 것으로 예방접종에 1만원을 쓴다면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 절감, 고통 감소, 삶의 질 향상 같은 편익이 1만 5천원에 달한다는 뜻이다.대한가정의학회 김영상 예방접종 특임이사(분당차병원)는 "대상포진은 예방이 가능한 질환임에도 정부 정책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며 "초고령화 시대에 건강한 노화를 위해 성인 중심 국가예방접종사업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10-15 05:28:00연구・저널

난청 보청기 지원 확대 10년…"보급률 2배에도 한계 명확"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지난 10년간 국내 성인의 보청기 착용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보급률에 있어 정책 영향이 뚜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015년 정부가 보청기 지원을 확대 시행한 이후 중증 난청 환자에서 착용률이 폭발적으로 늘어, 착용률이 정책의 직접 영향권 아래 놓여 있음이 확인된 것.반면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도·비지원 중증 난청군에서는 여전히 착용률이 낮아, 지원금 확대가 청각 재활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2015년 보청기 지원이 확대된 이후 10년간 보청기 착용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가 나타나면서 상대적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경도·비지원 중증 난청군의 지원 확대에 대한 목소리도 커질 전망이다.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한상윤 교수 등이 진행한 한국 성인의 청력 손실 및 보청기 사용의 추세 변화 연구 결과가 대한의학회 저널 JKMS 11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doi.org/10.3346/jkms.2025.40.e289).청력 손실은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관련 장애로 우울증, 사회적 고립, 신체 활동 감소, 영양 결핍뿐 아니라 인지 기능 저하까지 불러온다.보청기 보급을 높이고 기능 장애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재정 지원 정책이 시행돼 1997년 한국은 약 200달러의 보조금을 도입한 이후 2005년에 300달러, 2015년에는 자격이 있는 사람에 한해 1,000달러로 추가 인상했다.이번 연구는 2015년 정부가 보청기 급여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한 이후, 청력 손실 유병률과 보청기 사용 행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됐다.기존 연구들은 국내 보청기 착용률이 선진국 대비 현저히 낮고, 고령층·저소득층에서 접근성 격차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정책 변화 이후의 추세를 장기적으로 분석한 근거는 부족했다.이에 연구진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활용해 2010~2012년과 2020~2022년 두 시기의 청력 손실(HL) 및 보청기 착용 현황을 비교 분석했다.연구 대상은 40세 이상 성인으로, 2010~2012년 10,019명과 2020~2022년 9,994명이 포함됐다.청력 손실은 순음청력평균(PTA)에 따라 네 단계로 분류했다. 경도(26–39dB HL), 비지원 중증(≥40dB HL이지만 재정지원 기준 미충족), 최저등급 장애(양측 각각 40dB 이상·80dB 이상), 지원 중증(≥60dB HL로 급여 대상)으로 나눠 보청기 착용률을 비교했다.그 결과 전체 보청기 착용률은 2010~2012년 2.12%에서 2020~2022년 4.73%로 2배 이상 증가했다.청력 손실 정도별 분석을 보면 ▲경도 0.30→0.64% ▲비지원 중증 4.23→9.42% ▲최저등급 장애 4.24→16.29% ▲지원 중증 23.06→53.52%으로 모든 단계에서 착용률이 유의하게 상승했다.연령별로는 70대에서 착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지원 대상자군은 비지원군 대비 5~6배 높은 착용률을 보였다.다변량 분석에서도 조사 시기와 보청기 착용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됐다(aOR 3.70).2015년 이후 시행된 보청기 급여제도 개편이 착용률 향상에 결정적 역할을 했지만 재정 지원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비지원 중증' 환자군에서는 착용률이 여전히 10% 미만에 머물러 정책 사각지대가 드러난 것.이번 연구는 청력 손실 관리가 단순한 개인 재활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보건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시킨 것으로 평가된다.대한이과학회 역시 해당 문제를 집중 거론한 바 있다.이과학회는 "국민건강검진에 포함된 청각검사는 난청(40 dB 이상) 유무만 판단하고 보청기 구입 비용 지원은 청각장애인(60 dB 이상)만 해당해 괴리감이 존재한다"며 "40~60 dB인 노인 난청 환자는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난청이 심화되고 인지기능 저하, 치매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된다"고 정책 확대를 주문했다.경도 난청에서도 보청기 사용으로 인지기능 저하 예방 등 다양한 청각적 이득이 발생하고 인지기능 개선 및 사회관계 개선과 같은 비청각적 이득까지 제공하는 만큼 초고령사회에서 사회적비용 절감을 위해서 지원 확대와 같은 마중물이 필요하다는 것.연구진은 "2015년 급여 확대 정책 이후 재정 지원 대상자의 보청기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며 "정책 변화가 단순한 추세적 상승이 아닌 구조적 변화를 이끈 결정적 요인"이라고 분석, 지원금 확대와 대상 기준 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25-10-14 12:02:24연구・저널

JAK 억제제 심혈관 부작용 누명 벗나…첫 한국인 근거 '안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심혈관 부작용 이슈가 불거진 JAK 억제제와 관련해 장기 안전성 결과를 살핀 국내 근거가 제시됐다.한국인 궤양성 대장염 환자 1,800여 명을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토파시티닙 사용군의 주요 이상반응 발생률이 항TNF제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서울병원 이은미 교수 등이 진행한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 대상 토파시티닙의 장기 안전성 연구 결과가 대한의학회 저널 JKMS에 13일 게재됐다(doi.org/10.3346/jkms.2025.40.e259).한국인 대상 장기 안전성 연구 결과 토파시티닙 사용군의 주요 이상반응 발생률이 항TNF제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는 미국 FDA가 2021년 토파시티닙을 포함한 JAK 억제제 전반에 대해 심혈관 질환, 암, 혈전색전증, 사망 위험 경고를 발표한 이후, 아시아인 환자군을 대상으로 장기 안전성을 평가한 첫 대규모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기존 임상시험은 대부분 서구 환자를 중심으로 진행돼, 동양인 집단의 특성과 실제 진료환경에서의 안전성은 충분히 입증되지 못한 상태였다.연구팀은 2019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희귀난치성질환 등록자료(RID)에서 궤양성 대장염(V131 코드)으로 등록된 환자 중 항TNF제제 또는 토파시티닙을 처방받은 19세 이상 환자를 분석했다.중복질환이나 기존 주요 심혈관질환, 혈전, 결핵, 악성종양 이력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최종 분석 대상은 1,816명으로, 이 중 토파시티닙 투여군이 521명(28.7%), 항TNF제 투여군이 1,295명(71.3%)이었다.3년간 추적 결과, 토파시티닙군의 전체 중대한 이상반응(SAE) 발생률은 100인년당 4.41건으로, 항TNF군(5.33건)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주요 심혈관 사건(MACE)은 각각 2.9%, 혈전색전증은 2.3%, 2.7%로 유사했고 대상포진·결핵 감염률, 악성종양 발생률 역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다만 토파시티닙 사용 환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와 고혈압 동반자는 SAE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이번 결과는 서구권 연구에서 제기된 안전성 우려와 달리, 아시아인 환자에서 토파시티닙의 혈전 및 심혈관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시사한다.서구 연구에서는 고용량(10mg 1일 2회) 투여 시 항TNF제 대비 폐색전증과 심근경색 위험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이번 한국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경향이 관찰되지 않은 것.대상포진 위험에 대해서도 서구 연구에서는 토파시티닙군의 감염률이 항TNF군보다 약 3배 높게 보고된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양 군 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연구진은 "토파시티닙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항-TNF 억제제와 유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여준다"며 "다만 고령 환자와 동반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선 이상반응 위험이 높아 고위험군 환자들에게는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라고 제시했다.
2025-10-14 05:20:00연구・저널

의정 갈등의 그늘…의대 교수 연구시간·성과 '동반 추락'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지난해 시작된 의정 갈등으로 인해 의과대학 교수들의 업무가 진료와 행정에 쏠리면서 연구 활동이 전반적으로 크게 위축된 것으로 드러났다. 진료 업무 과중과 인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연구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이 급감했고, 연구 성과의 질 역시 뚜렷하게 후퇴했다.13일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학한림원)은 이같은 내용의 전국 의과대학 교수 대상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743명이 참여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수의 70% 이상이 2023년 대비 2024년 주당 평균 연구 시간과 논문 투고 수가 줄었다고 답했으며, 진행 중이던 연구 과제가 중단되거나 연기된 경우도 46.7%에 이르렀다.양적 지표뿐 아니라 질적 지표 역시 크게 하락했다. 연구 동기(80.5%), 연구 몰입도(82.6%), 연구 효율성(81.6%) 모두 감소했다고 응답한 교수가 많았다. 특히 연구 성과의 질이 저하됐다는 응답도 72.8%에 달했다. 이는 단순한 산출물 감소를 넘어 의학 연구의 질적 기반까지 훼손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회복 전망 또한 어두웠다. 즉시 회복이 가능하다고 본 교수는 3.1%에 불과했으며, 1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는 응답은 41.0%, 회복이 어렵다는 비관적 전망도 26.3%에 달했다.연구 활동 저해 요인은 복합적이었지만, 그중 진료 등 업무 과중(75.0%)과 심리적 요인(65.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제로 교수들의 번아웃과 스트레스 수준은 매우 심각하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심리적·정신적 소진은 단순한 개인적 상태의 변화가 아니라 연구 생산성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쳐 연구 활동 전반을 위축시키는 체계적 요인으로 작용했다.연구 회복을 위한 제도적 지원 요구도 분명했다. 교수들은 ▲연구비 지원 안정성 및 집행 유연성 확보 ▲연구 기간 및 연구 시간 보장 체계 구축 ▲연구행정 부담 완화 및 절차 간소화를 위한 행정 체계 혁신 ▲연구 보조 인력 지원 및 협업 네트워크 보호 체계 마련 등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의학한림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의정 갈등이 의과대학 교수들의 연구 활동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으며, 핵심 지표들이 동시에 악화된 것은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 충격을 넘어 연구 생태계 전반의 구조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 준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우리나라 의학 연구는 세계적 수준을 인정받아 왔으나, 이번 사태로 그 기반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말하며 "연구 활동의 조속한 회복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되찾고 미래 연구 역량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대학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의학한림원은 2024년 의정 사태에 따른 의과대학 교수의 연구 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오는 11월 발간할 예정이다.
2025-10-13 18:35:52연구・저널

선천성 난청에 유전자 치료 첫 성과…청력 회복 가능성 입증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유전자 결함으로 태어날 때부터 소리를 듣지 못하던 소아에 첫 유전자 치료가 성과를 냈다.선천성 난청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OTOferlin(OTOF) 유전자 결핍을 표적으로 한 유전자 치료제 DB-OTO 투약으로 청력을 회복한 것.영국 케임브리지대 마노하르 반스 등 연구진이 진행한 유전성 난청을 위한 유전자 치료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12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400521).이번 연구는 선천성 난청 소아 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최초의 인간 대상 등록 임상으로, 단 한 차례의 내이 주입 방식으로 청력 회복 등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이었다.선천성 난청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OTOferlin(OTOF) 유전자 결핍을 표적으로 한 유전자 치료제 DB-OTO가 소아에서 청력 회복 가능성을 입증했다.OTOF 유전자는 귀 속 감각세포(유모세포)가 소리를 신경 신호로 변환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이 단백질이 결핍되면 유모세포 간 시냅스 전달이 이뤄지지 않아 선천적 청력 소실이 발생하는데 약물이나 수술로 교정할 수 없으며, 현재로서는 인공와우 이식이 유일한 대안으로 알려져 있다.문제는 인공와우는 기계적 자극으로 신경을 직접 자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연 청각의 섬세한 음색을 완전히 복원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러한 한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개발된 것이 유전자 치료 방식 DB-OTO. DB-OTO는 두 개의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1)를 이용해 사람의 OTOF 상보적 DNA(cDNA)를 내이 유모세포에 전달한다.이때 발현은 유모세포 특이적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돼, 청각에 관여하는 세포에서만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설계됐다.연구진은 OTOF 변이를 가진 청력 손실 환아에게 귀당 7.2×10¹²개의 벡터 유전체를 포함한 용액을 와우 내에 주입했다.연구의 1차 평가 변수는 24주차 순음청력검사(PTA) 평균 역치가 70dB HL 이하로 회복되는 비율로 이는 인공와우 없이 일상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간주된다.임상 결과 12명 중 9명이 해당 기준을 충족했으며, 청성뇌간반응(ABR) 검사에서도 동일한 9명이 90dB nHL 이하의 반응을 보여 두 가지 주요 지표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청력 회복이 입증됐다.6명은 '보조기기 없이 대화 가능한 수준'의 연속어 인지가 가능했고, 3명은 평균 정상 청력으로 회복됐다.총 67건의 이상반응이 보고됐으나 대부분 경미하거나 일시적이었으며, 중대한 이상사례나 연구 중단으로 이어진 경우는 없었다.연구진은 "DB-OTO 유전자 치료는 OTOF 관련 난청 환자의 청력을 개선한다"며 "12명의 치료 환자 중 3명의 환자에서 자연스러운 청각을 가능하게 하고 청력 민감도를 정상화했다"고 결론내렸다.
2025-10-13 11:57:21연구・저널

유럽비만학회 체중 중심 접근 탈피…합병증 개선 약물 강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유럽비만학회(EASO)가 비만의 진단과 치료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며 체중 감량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 합병증 개선을 핵심 목표로 하는 약물치료 알고리즘을 발표했다.비만을 단순한 체중 문제로 보지 않고, 다양한 대사적·기계적 합병증을 동반하는 만성질환으로 재정의한 이번 지침은 임상 현장에서 약물 선택의 기준을 바꿀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EASO는 '비만 및 그 합병증에 대한 약리학적 치료 프레임워크'를 10일자 국제학술지 Nature medicine에 발표했다(doi.org/10.1038/s41591-025-03765-w).비만을 질환으로 인식하고 치료해야 한다는 것은 최근 여러 학회의 접근법에 발맞춰 EASO는 비만을 '지방조직의 기능 이상 또는 과다 축적에 의해 장기와 전신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규정했다.EASO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단순한 과체중을 넘어 염증·내분비·면역 기능의 불균형이 동반되는 '지방 과잉 질환(sick fat disease)'와, 기계적 하중으로 관절·호흡기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적 지방 질환(fat mass disease)' 개념을 제시하고, 이 둘을 구분해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터제파타이드 등 1차 약제로…합병증 따라 선택 달라져야새 알고리즘은 체중 감량뿐 아니라 합병증 개선 효과를 중심으로 약물을 재분류했다.비만 환자를 위한 EASO의 치료 알고리즘. 대다수 질환별 치료에서 터제파타이드 및 세마글루타이드가 1차 약제로 선정됐다.체중 감량이 주된 목표인 경우, 임상시험 데이터를 종합해 터제파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를 최우선 약제로 제시했다. 두 약물은 위약 대비 10% 이상 체중을 감량시킨 것으로 보고됐지만 오르리스타트, 날트렉손-부프로피온, 리라글루타이드, 펜터민-토피라메이트 등은 감량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특히 터제파타이드는 단일 약물 중 가장 넓은 합병증 개선 근거를 확보했다. 수면무호흡증(OSAS) 개선에 대한 유일한 RCT 결과를 갖고 있으며, 대사성 지방간질환(MASLD) 환자에서도 간섬유화와 염증의 호전을 보여 1차 치료로 권고됐다. 세마글루타이드는 무릎 골관절염에서 통증 완화 효과가 입증돼 해당 환자군에서 우선 고려 대상으로 제시됐다.합병증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무엇을 줄였는가'보다 '어떤 합병증을 개선했는가'가 치료 전략의 핵심으로 제시됐다.전당뇨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터제파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가 혈당 조절과 당뇨병 관해율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여 1차 약제로 선정됐고, 날트렉손-부프로피온은 제한적 효과만 확인돼 2차 약제로 분류됐다.심혈관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세마글루타이드가 권장된다. 유일하게 주요 심혈관 사건(MACE)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근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날트렉손-부프로피온은 심혈관 보호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심부전 환자에서는 터제파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 모두 입원 위험을 줄인 것으로 분석됐다. 좌심실 수축기능에 따라 세부 권고를 내리기에는 아직 근거가 부족하지만, 두 약제가 1차 약물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에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했다.■"비만약 가격 부담? 치료하지 않을 때 비용까지 고려해야"비만치료제는 여전히 고가이며 보험 적용이 제한적으로 터제파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는 높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재정 부담이 크다. 국내 설문에서도 환자들의 치료  포기나 중단도 가격 부담에 기인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온 상황. 이에 EASO는 "치료 비용만이 아니라 치료하지 않아 발생하는 합병증 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비만 약물치료는 초기 비용을 상쇄할 만큼의 의료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고려하면 비용 부담으로 인한 치료 중단이나 포기가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부 국가에서는 비만약의 의료비 절감 연구를 바탕으로 본인 부담 상한제나 약가 협상을 통해 접근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진행 중이다.EASO는 이번 알고리즘이 단순한 권고를 넘어, 비만을 '지방조직 기반 질환(adiposity-based disease)'으로 인식하는 세계적 흐름의 제도화라고 설명했다. 환자의 체중뿐 아니라 지방의 기능적 이상, 합병증 양상, 동반질환, 사회경제적 요인까지 고려한 맞춤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EASO는 2025년 1월까지 발표된 임상근거를 기반으로 이번 지침이 작성됐으며, 향후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주기적으로 개정한다는 계획이다.EASO는 "비만 치료제의 발전 속도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다"며 "이번 제안은 현재 시점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2025-10-13 05:30:00연구・저널
초점

연관성 있어도 원인 아냐…타이레놀 자폐 논쟁 결론은?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임산부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어린이의 자폐증 및 ADHD와 같은 신경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증거를 반영하기 위해 라벨 변경 절차를 시작했습니다." -미국 FDA -"현재 자폐증과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을 확인하는 결정적이고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강조합니다." -WHO공신력 있는 기관들이 모두 '증거(evidence)'를 두고 맞섰다.임신 중 가장 흔히 쓰이는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상품명 타이레놀)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일으킨다는 주장이 반복적으로 제기된 가운데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통해 논란에 불을 붙인 것.미국 FDA가 경고성 메시지에 덧붙여 라벨 변경 행정 절차까지 예고하자 세계보건기구는 불과 이틀만에 이를 정면 반박하는 성명을 내놓았다.모두 근거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되는 모양새. 증거를 두고 상반된 해석 및 입장이 나온 이유는 뭘까. 핵심은 연관성(association/correlation)과 인과관계(causation)의 혼동이라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논란의 발단된 보스턴 관찰 연구논란의 시작은 일련의 관찰연구다. 대표적인 것이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2019년 JAMA Psychiatry에 게재한 분석(doi:10.1001/jamapsychiatry.2019.3259).미국 FDA는 "최근 몇 년 동안 임산부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자녀의 자폐증이나 ADHD와 같은 신경학적 질환의 위험 증가와 연관돼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축적돼 왔다"며 이를 경고하는 내용의 안전성 서한을 의료진에게 발송했다.FDA는 해당 연구를 인용해 "최근 몇 년 동안의 증거에 따르면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과 자폐증 및 ADHD와 같은 상태의 후속 진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했다.연구는 미국 보스턴 출생 996명의 산모-자녀 쌍을 추적하며 탯줄 혈액에서 아세트아미노펜 대사체를 측정했다. 연구 설계는 코호트였고, 평균 10년 이상 추적했다. 그 결과 농도가 높은 상위 3분위군에서 ASD 및 ADHD 진단 위험이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연구진은 "태아 탯줄에서의 아세트아미노펜 바이오마커는 용량 반응 방식으로 소아 ADHD와 ASD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며 "연구 결과는 산전 및 산전 아세트아미노펜 노출과 소아 신경 발달 위험 간의 연관성에 관한 이전 연구를 뒷받침하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2019년 공개된 간호사 건강 연구 II도 비슷한 결론에 이르렀다(DOI: 10.1093/aje/kwy288).간호사 건강 연구 II 코호트에 등록된 여성들 중 1993~2005년 출생한 8,856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산모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과 ADHD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 임신 당시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시 소아 ADHD(odds 비율 = 1.34)와 관련이 있었다.■연관성-인과관계 혼동 가능성 '고개'일면적으론 아세트아미노펜의 사용이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이지만 해당 연구들은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차이를 충분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산모는 대개 발열, 감염, 두통 등 다른 건강 문제를 갖고 있었으며, 이 요인 자체가 태아 뇌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즉 노출군 자체가 산모의 발열과 같은 '다른 조건을 가진 집단'이었을 가능성이 크다.이처럼 교란 요인이 존재하면, 관찰된 통계적 연관성이 곧바로 약물의 인과적 효과로 해석할 가능성이 생긴다. 두 현상이 함께 발생한다고 해서 한쪽이 반드시 다른 쪽의 원인이라는 보장은 없다.통계학 교과서에서 즐겨 쓰는 비유가 '아이스크림과 익사'다. 여름철에 아이스크림 소비가 늘어나고 물놀이가 많아지면서 익사 사고도 증가한다. 아이스크림 소비 증가와 익사 사고 증가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어 보이지만, 그렇다고 아이스크림이 익사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WHO는 현재 자폐증과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을 확인하는 결정적이고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일축했다.아세트아미노펜 연구도 마찬가지. 약물을 복용하는 산모는 복용하지 않은 산모와 건강 상태가 다르며, 이 차이가 ASD 발생 위험을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연관성 발견만으로는 '타이레놀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이 '형제-자매 비교 분석(sibling control analysis)'이다.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를 비교하면, 유전적 요인과 가정환경이라는 강력한 교란 변수를 통제할 수 있다.실제로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돼 JAMA에 2024년 공개된 바 있다(doi:10.1001/jama.2024.6042). 결론부터 말하자면 교란 요인을 없애자 자폐증 유발 위험은 사라졌다.브라이언 리 교수(드렉셀대 역학)와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진은 1995~2019년 사이 출생한 250만 명의 아동을 20년 이상 추적했다. 연구 설계는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로, 처방 기록과 모자 건강기록을 활용했다.이 역시 초기 분석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산모의 자녀에서 ASD, ADHD, 지적장애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높게 관찰됐지만 형제-자매 비교 분석을 적용하자 이러한 연관성은 소실됐다.즉 같은 부모 밑에서 자란 형제 중 노출 여부만 달랐을 때는 위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연관성은 관찰되지만 인과관계는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선행 보스턴 코호트가 996쌍의 부모-자식 분석에 그쳤다면 형제-자매 비교 분석은 250만 명이라는 방대한 대상을 추적 관찰했다.형제 비교 설계는 기존 연구가 안고 있던 유전·환경적 교란 요인을 최소화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나온 연구 중 가장 강력한 반증 증거로 평가된다.■한국인은 안전할까? 일본 코호트 연구 '방향타'이와 유사한 결과는 일본에서도 확인됐다. 논란이 있기 한달 전 공개된 최신의 연구이자 21만 7,602명의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했다(doi.org/10.1111/ppe.70071).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에 발표된 일본 연구는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에서 약 20만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아세트아미노펜 노출과 신경 발달 결과를 추적했다.이 연구에서도 초기 단순 분석에서는 ASD 위험이 증가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형제-자매 비교를 적용하자 연관성은 사라졌다.특히 일본은 아세트아미노펜 복용률이 약 40%로 스웨덴 연구(7.5%)보다 훨씬 높았지만, 결과는 동일했고, 서로 다른 문화·보건 시스템에서도 같은 결론이 재현됐다는 점에서 신뢰도를 강화한다.일본에서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도 교란 요인을 배제하자 아세트아미노펜의 자폐증 유발 가능성은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연구진은 "PS 매칭 분석에서는 위험이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노출 오분류에 대한 확률적 편향은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으로 인한 과대평가를 시사한다"며 형제 비교가 인과 추론의 강력한 도구임을 재확인시켜줬다.아세트아미노펜 논란을 다룬 연구는 40편 이상 존재한다. 하지만 연구 설계와 교란 변수 통제 수준에 따라 결과는 제각각이었다. 대체로 단순 관찰연구나 회상 기반(self-report) 연구는 연관성을 보고하는 반면, 형제 비교나 정밀한 교란 통제를 적용한 연구는 인과성을 지지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전문가들이 "큰 데이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연구 설계"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도 같은 맥락. 대규모 코호트라도 교란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엉뚱한 해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그릇된 행정적 절차를 수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1990년대 일부 관찰연구에서 임신 중 호두 섭취가 아이 IQ를 높인다는 연관성이 보고되고, 1980~90년대 관찰연구에서 폐경 여성의 HRT 사용과 심장병 감소 연관성이 보고됐지만 이후 연구에선 부정된 바 있다.미국 산부인과학회(ACOG)와 모체태아의학회(SMFM)는 최근 성명을 통해 "현재까지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인과적 증거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광범위한 연구에도 일관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FDA도 의사들에게 발송한 안전성 서한에서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 간의 연관성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기는 했지만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학계에는 상반된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FDA는 "이 연관성은 여전히 과학적 논쟁이 진행 중인 사안이며, 임상 의사들은 특히 대부분의 임신부 및 영유아에서 나타나는 단기적인 저열성 발열에는 약물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진료 의사결정 과정에서 이 문제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025-10-13 05:30:00연구・저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