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SELECT * FROM News WHERE Del_Code='0' AND MainCate_ID='6' AND SubCate_ID='4' AND NewsState = 'Publish' AND ViewNews='V' ORDER BY Publish_date DESC , ID DESC Limit 0 , 15

강남차병원 박해린 교수, 아시아외과학회 초청 강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차의과대학교 강남차병원 외과 박해린 교수가 병리학적 경계성 병변(B3 lesion)에 대한 진공보조유방생검술(VABB)의 임상적 가치를 아시아 무대에서 제시했다.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마카오 MGM COTAI에서 개최된 제25차 아시아외과학회(25th Asian Congress of Surgery, ACS) 및 제10차 세계중국계의사협회 연례학술대회(10th Annual Conference of World Association of Chinese Doctors, WACD)에 초청받은 박 교수는 유방 및 내분비외과 세션의 초청연자로 강연을 하였다.이번 학회는 Asian Surgical Association(ASA), World Association of Chinese Doctors(WACD), Maca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MUST) 의과대학이 공동 주최하는 아시아권 최대 외과 학술행사로, 전 세계 외과 전문의들이 최신 수술 기법과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박해린 교수는 26일 'Breast & Endocrine Surgery Session'에서 'The Role of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 (VABB) in the Management of Pathological B3 Lesions'(병리학적 B3 병변의 치료에 있어서 진공보조유방생검술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박해린 교수는 이번 강연에서 진공보조유방생검술(VABB, Vacuum Assisted Breast Biopsy) 이 병리학적 B3 병변(불확실한 악성가능성을 내재한 경계성 병변)의 진단과 치료에서 절제수술(Open Excision, OE)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정확한 방법임을 강조했다.B3 병변은 비정형관상피증식증(ADH), 방사상 반흔(RS), 평평한 상피증식(Flat Epithelial Atypia, FEA), 유두종(PL), 소엽상피내암(LN), 엽상종양(PT) 등을 포함하며, 이들 병변은 암조직을 동반하고 있거나 악성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경계성 병변으로 분류된다.박 교수는 "B3 병변이 중심침생검(CNB)으로 진단된 경우, 비정형 상피증식증에서는 여전히 수술적 절제가 권장되지만, 그 외의 B3 병변에서는 진공보조흡입생검술 (맘모톰, 엔코어 시술) 이 수술적 절제와 동등한 진단적 정확도를 가지며 대체 가능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음파 유도하 VABB(맘모톰) 는 대부분의 B3 병변에서 정확한 진단과 완전 제거를 가능하게 하며, 이후 적극적인 영상 추적(active surveillance)을 통해 별도의 수술 없이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박 교수는 "진공보조유방생검술에서 비정형 병변(atypical lesion) 이 발견된 경우, 이후 수술 절제에서 상피내암(DCIS) 또는 침윤성암(invasive carcinoma)으로 진단되는 조직학적 업그레이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확정적 진단을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박해린 교수는 강연의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초음파 유도하 진공보조유방생검술(US-guided VABB)은 중심침생검(CNB) 으로 진단된 대부분의 경계성 병변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여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 옵션"이라며 "그러나 비정형 병변의 경우 악성으로의 병리학적 업그레이드 위험이 존재하므로, 확정적 진단을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이와 같은 발표는 B3 병변 관리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한국의 진공보조유방생검술 기술과 임상 경험이 아시아 및 국제 의료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박 교수는 "이번 발표를 통해 지난 23년간 강남차병원 에서의 1만 7천예 시술 경험을 토대로 축적된  진공보조유방생검술 임상 데이터와 경험을 아시아 외과 의사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불필요한 유방 수술을 줄이고 환자 중심의 최소침습적 진단 및 치료법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2025-10-27 10:45:50학술대회

축제 아닌 숙제 안긴 80주년…내과학회, 각종 정책에 몸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내과학회가 창립 80주년을 맞았지만 의정 갈등과 전문의 시험 제도 논란 속에 마냥 웃지 못하는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필수의료 위기와 비수도권 병원 붕괴 우려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복지부의 성분명 처방·검체검사 위수탁 분리청구 추진 등 새로운 현안이 쏟아지면서 학회의 기념식이 위기의식으로 물든 것.25일 대한내과학회는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창립 80주년 기념식을 갖고 최근 내과 전반의 전공의 지원 감소, 전문의 배출 문제 등을 둘러싼 현안에 대해 입을 열였다.박중원 대한내과학회 이사장(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내과)은 "본학회는 1945년 12월, 광복 직후의 혼란한 시기에 태어났다"며 "급격한 산업화와 사회 변동 속에서도 항상 품격을 잃지 않으며 한국 의료 발전의 중심에서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다.그는 "의정 사태의 본질은 필수의료 인력 부족에서 시작됐다"며 "비수도권 병원과 필수 진료과의 위기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복지부가 추진 중인 검체검사 분리 청구 제도는 의료현장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박중원 대한내과학회 이사장(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현행 검체검사 위수탁 제도는 병의원이 검사비의 110%를 수가로 지급받아 10%의 관리료를 제하고 100%를 검사센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복지부는 최근 병의원과 수탁기관이 각자 비용을 청구하는 '분리 청구' 방식 전환을 공표한 바 있다.이어 약을 상표명으로 기재하는 상품명 처방을 성분명 처방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또 다시 거론되고 있는 상황. 성분명 처방 시행 시 직격탄을 받을 수밖에 없는 내과 특성 상 이날 기념식은 위기감 호소 분위기가 팽배했다.박 이사장은 "80주년 기념식 날인데도 의사협회에서 비대위 대체를 만드느냐 마느냐 가지고 의견이 오가고 있다"며 "검체검사 분리 청구나 성분명 처방 추진 등 그간 타격을 많이 받는 필수진료과, 비수도권 병원들이 복지부 정책으로 더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내과학회는 전공의 전문의 시험 제도와 관련한 대한의학회의 '조건부 합격제' 결정에도 깊은 유감을 표했다.박 이사장은 "투표 결과가 12대 12로 팽팽했는데, 내과는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며 "전문의 시험을 먼저 보고 이후에 수련을 채우는 방식은 수련의 질을 담보할 수 없어 부적절하다고 봤다"고 밝혔다.그는 "2년간 전문의를 배출하지 못한 상황에서 조속한 정상화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교육 충실성을 희생하는 방식은 결국 또 다른 혼란을 낳을 수 있다"며 "복지부에 결정을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계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공감대 속에 논의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이어 "수련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시험에 합격하는 제도는 현장 교수들과 전공의 간의 신뢰를 해칠 수 있다"며 "결국 수련이 제대로 이뤄지는지를 2026년까지 지켜보고, 그 결과에 따라 2027년도 시험 제도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강현재 대한내과학회 차기 이사장(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은 전문의 시험을 둘러싼 논란의 본질이 '수련의 충실성'에 있다고 강조했다.그는 "내과학회가 모든 전문학회를 대표하는 건 아니지만, 자격을 제대로 갖춘 사람만이 전문의가 돼야 한다는 원칙은 확고하다"고 말했다.특히 "복지부가 대한의학회의 조건부 합격제 결정을 받아들였을 때,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수련이 이뤄질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며 "그 과정을 통해 전문의가 된 이들이 '나는 제대로 된 자격을 갖췄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실제로 이번 사태 이후 내과학회 내부에서 전문의 교육 정상화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강 차기 이사장은 "상황이 어떻게 바뀌든 일정 수준의 수련을 마친 전문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학회의 기본 입장"이라며 "학회는 역량 표준 교육을 도입하고 내실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고 내부적으로 전문의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한 논의도 시작됐다"고 밝혔다.박 이사장은 마지막으로 "내과학회는 지난 80년간 수많은 도전을 품격 있게 이겨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 믿는다"며 "세대 간 이해와 협력의 전통이 이어지는 한 어떤 위기든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통합과 전문화의 두 흐름 속에서 국민주치의 양성과 후학 교육이라는 두 축을 함께 지켜가는 것이 앞으로의 80년 과제"라고 덧붙였다.
2025-10-25 22:22:00학술대회

"CPR 알아도 PBM 몰라…의료기관 평가에 포함해달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24일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PBM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의료기관 평가 항목 포함과 같은 정책 개선안을 제시했다."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웬만한 사람들이 다 알지만 PBM은 모릅니다. 이것이 국내 PBM의 현실이자 과제입니다."전 세계 의료계가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을 위해 '환자 혈액 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 PBM)'를 새로운 표준 치료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가 PBM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안을 제시했다.의료기관 평가항목에 PBM 도입 및 준수 여부를 반영하면 병원 간 경쟁을 통한 도입이 자연스럽게 촉진될 것이라는 게 학회의 핵심 제안. 또한 아직 국내에서 생소한 PBM의 인지도와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함께 제시됐다.24일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는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국제학술대회 KPBM 2025를 개최하고, 한국형 PBM 모델 도입 및 확산 전략을 공개했다.국내에서는 수혈의 인식이 보양의 개념으로 자리잡히면서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필요하지 않은 환자에게 수혈이 이뤄지는 경우 장기적으로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수술 환자에서 과다 수혈이 이뤄지는 경우 오히려 생존율이 떨어지기도 한다.김경환 회장(서울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암환자에서 수혈을 한 그룹과 안한 그룹의 장기 생존율을 비교한 연구에서도 수혈의 부정적인 면모가 부각된다. 즉 적정 수혈 환자를 가려내고 최소한의 수혈을 하는 관리 측면이 비용 절약뿐 아니라 환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목적에도 부합하는 것.김경환 회장(서울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은 "PBM은 단순히 수혈을 줄이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아니"라며 "환자 개인의 혈액 상태를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수혈을 줄여 합병증과 입원 기간을 줄이는 환자 중심의 치료 혁신 모델"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면 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면역 반응, 폐 손상, 심혈관 부작용 등을 예방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혈액 사용을 줄여 혈액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고 PBM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수혈은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 동시에 감염이나 급성 폐손상 등 부작용 위험이 따른다. PBM은 수혈 전후 환자의 철분 상태, 빈혈 정도, 지혈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환자 자신의 혈액을 최대한 보존하는 전략이다.김 회장은 "결국 PBM의 핵심은 환자의 안전을 높이고,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며, 불필요한 의료비를 줄이는 데 있다"며 "국제 사회는 이미 PBM 표준화 및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실제로 PBM은 이미 미국, 호주, 독일 등 선진국에서 병원 평가와 인증의 필수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호주·뉴질랜드는 2012년부터 국가 PBM 프로그램을 시행, 수혈률을 최대 30% 감소시키고, 입원 기간을 평균 2일 단축시켰다.독일도 연방보건부 주도로 PBM을 병원 인증평가에 포함, 주요 대학병원 80% 이상이 PBM 체계를 도입했고,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클리블랜드클리닉 등 대형 병원들도 PBM 시스템을 운영하며 수혈 관련 의료비를 연간 1,000만 달러 이상 절감한 것으로 보고했다.김 회장은 "세계보건기구(WHO)는 PBM을 환자 안전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규정, 각국 정부에 제도적 채택을 권고했다"며 "이 같은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는 여전히 개별 의료진의 인식에 의존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어, 한국형 PBM 확산을 위해선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2022년 혈액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이후 학회는 대한수혈학회와 함께 의료기관 내 수혈관리 인력 교육을 담당하며 PBM 정착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김경환 회장은 "제도는 시작됐지만 아직 현장 참여율이 높지 않다"며 "PBM이 의료기관 평가항목에 포함돼야 병원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기관 평가항목에 포함하는 방안을 공론화하겠다"고 밝혔다.그는 "정부 및 유관 기관과 협력해, PBM이 의료기관 평가항목에 포함되도록 하면 미온적인 의료기관의 PBM 도입과 이행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환자 안전성 향상, 혈액 자원 절약, 의료비 절감이라는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PBM에 대해 일반 대중은 물론 의료진의 인지율도 떨어진다는 점에서 의대 교육으로 인식을 환기시키는 방안도 제시됐다.김 회장은 "젊은 의료진 교육 확대도 중요하다"며 "의대생과 전공의 시절부터 PBM을 필수 진료 역량으로 교육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그는 "PBM의 의미를 의료진뿐 아니라 환자와 국민에게도 알릴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 활동을 강화하겠다"며 "앞으로도 학술 연구, 교육, 정책 제언 등 다각적인 활동을 통해 한국형 PBM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했다.이어 "PBM은 단순한 수혈 절감 운동이 아니라, 환자 중심으로 의료 시스템을 재편하는 혁신 모델"이라며 "국내 의료기관이 세계적 흐름에 맞춰 PBM을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학회가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10-24 17:52:18학술대회

"CKD 철분 치료 관점 변화, 보수적→예방·적극적 관리로"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24일 환자혈액관리학회의 국제학술대회에서 CKD 환자의 철 결핍을 보다 적극적이고 예방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근거들이 제시됐다."만성신장질환(CKD) 환자에서 철 결핍은 단순한 빈혈의 원인이 아니라, 독립적인 치료 목표로 봐야 합니다."CKD 환자에서 철 결핍을 보다 적극적이고 예방적으로 치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그간 철분 결핍 자체는 독립적인 치료 대상으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철분 결핍 교정만으로 빈혈 증상과 관계없는 증상 개선, 삶의 질 개선, 심부전 입원 시간을 낮추는 등 효용이 관찰된 것.실제로 이런 근거들은 최근 국제신장학회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이어졌다.24일 환자혈액관리학회는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4층 대강당에서 국제학술대회 KPBM을 개최하고 국제신장학회(KDIGO) 2025 가이드라인 개정안 공개를 통해 CKD 환자에서의 철분 보충 치료의 변화 경향을 정리했다.서울대병원 홍준식 교수(내과)는 최근 철 결핍 교정 관련 심부전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빈혈 여부와 관계없이 철 결핍 자체를 적극적으로 교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서울대병원 홍준식 교수(내과)홍 교수는 "CKD 환자의 절반 이상이 철 결핍 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로 인해 피로·심혈관 질환·인지 저하 등이 동반된다"며 "이는 단순한 혈색소 감소 문제가 아니라 전신적인 대사 저하 현상"이라고 설명했다.실제로 최근 심부전 연구들에서 철 결핍 교정만으로도 운동능력과 삶의 질(QoL)이 향상되고 입원율이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KD 환자에서 철분 흡수를 방해하는 헤프시딘이 상승했을 경우 경구철 흡수가 5~15%에 불과해 개인맞춤형 치료 전략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그는 "기능적 철결핍 상태에서는 체내 철이 저장돼 있어도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경구제보다 정맥주사(IV) 철이 훨씬 효과적"이라며 "2014년 FIND-CKD 연구에서도 비투석 환자에게 고용량 IV 제제를 투여했을 때, ESA(에리스로포이에틴 자극제) 필요 시점이 평균 3개월 이상 지연됐고 부작용으로 인한 중단률도 낮았다"고 설명했다.■ PIVOTAL 연구가 바꾼 패러다임… "고용량·저빈도·선제적 치료"최신 근거들이 축적되면서 국제신장학회(KDIGO) 가이드라인도 13년만에 개정, 올해 새로운 초안이 공개됐다.KDIGO 2025 개정의 근거가 된 PIVOTAL 3상 임상시험은 혈액투석 환자 2,100여 명을 대상으로 매달 400mg의 정맥철을 선제적으로 투여한 결과, 사망·심근경색·심부전 입원·뇌졸중 복합위험이 15% 감소하고, ESA 사용량과 수혈률이 각각 19%, 24% 줄었다. 감염 위험 증가도 없었다.홍준식 교수는 "이제는 Ferritin 700 µg/L, TSAT 40% 이하까지는 안전하게 적극적 투여가 가능하다는 근거가 확보됐다"며 "KDIGO 2025는 이를 공식 상한선으로 채택했다"고 설명했다.이어 KDIGO 2025 핵심 변화로는 '진단–시작–중단' 3단계 구분 및 조건 명확화가 꼽힌다.홍 교수는 "새 가이드라인은 진단, 치료 개시, 중단 기준을 명확히 분리해 비투석 CKD는 페리틴 100 미만 또는 TSAT 20% 미만, 투석 환자는 페리틴 200 미만, TSAT 20% 미만으로 정의했다"며 "치료 시작은 페리틴 100 미만,  TSAT 40% 미만 또는 100~300 미만, TSAT 25% 미만인 경우 치료 기준이 된다"고 했다.그는 "페리틴 수치가 700 이상 TSAT 40% 이상이면 치료 중단 기준이 된다"며 "작은 용량을 자주 주입하면 헤프시딘이 반복적으로 상승해 오히려 철 이용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용량·저빈도·선제적' 투여가 최적 전략"이라고 조언했다.또 감염이나 급성 염증 시에는 일시 중단하고, 인산 수치도 병행 모니터링할 것을 제안했다.향후 연구 방향으로 ▲비빈혈성 철 결핍(non-anemic ID) 환자 치료의 임상적 가치, ▲HIF-PHI 제제와의 병용 전략, ▲새로운 바이오마커 개발 등이 꼽혔다.홍 교수는 "KDIGO 2025는 철분 치료의 중심을 '보수적 교정'에서 '예방적·적극적 관리'로 이동시켰다"며 "혈색소 수치가 아닌 피로·인지·삶의 질 등 환자 중심 지표가 앞으로의 치료 목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0-24 12:57:19학술대회
인터뷰

"PSA 검진 도입 공론화 시동…정책 개선안 12월 공개"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소외받던 전립선암이 새로운 위협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남성암 5위에 머물던 전립선암은 이제 남성암 발생률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노년 질환'이라는 낡은 인식을 넘어 전 세대의 경계 대상으로 떠오른 것.다행스럽게도 보호막이 없는 건 아니다. 1만원대에 불과한 PSA(전립선특이항원)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예방의 문은 이미 열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문제는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된 6대 암은 위, 폐, 간, 대장, 유방, 자궁경부암으로, 남성에게 특화된 암은 한 종도 없다는 점. 남성암 1위 전립선암을 외면한 현행 제도가 과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냐는 물음은 PSA 검사의 국가암검진 포함 주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대한비뇨의학회 국제학술대회(KUA 2025)에서도 PSA 검사의 중요성과 조기검진 확대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발표되며 공론화에 불을 지폈다. 박재영 대한비뇨의학회 홍보이사(고대안산병원 비뇨의학과)를 만나 국내 암 검진 체계의 한계와 전립선암의 유병률 전망, PSA 검사의 국가암검진 포함의 필요성에 대해 들었다.■"전립선암 남성암 1위로…남성 위한 보호막 필요"전립선암이 올해 국내 남성암 발생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PSA 검사를 국가건강검진에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비뇨의학회는 PSA 국가검진 도입을 학회 차원에서 공식 정책 과제로 삼은 상황. 실제로 KUA 2025에서 발표된 세 편의 주요 연구도 필요성을 뒷받침했다.이와 관련 박재영 이사는 "현재 국가암검진에 포함된 6대 암 가운데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등 2개는 여성에게만 국한돼 있고, 남성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전립선암은 검진에서 제외돼 있다"며 "이런 불균형은 단순한 정책적 미비가 아니라, 국민 건강 형평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박재영 고대안산병원 비뇨의학과(비뇨의학회 홍보이사)그는 이어 "전립선암 발생률과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PSA 국가검진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학회는 이미 내년이면 남성암 1위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립선암에 대비해, 국가 차원의 검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고 했다.KUA 2025에서 발표된 연구들 역시 검진 체계 포함의 당위성을 설명한다.박 이사는 "고영휘 교수팀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16만 6848명의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PSA 정기검사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며 "연구 결과를 보면, 정기검사군은 수술(45.6%)과 방사선치료(17.0%) 비율이 높았지만, 호르몬제와 표적치료 등 고가 전신치료 부담은 오히려 낮았다(42.3% vs 59.7%)"고 강조했다.그는 "즉 PSA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 조기 진단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저비용 국소 치료로 치료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나중에 필요할 고비용 전신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이는 환자 개인뿐 아니라 국가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하는 결정적 근거"라고 설명했다.데이터를 보면 PSA 검진 도입이 단순히 연구용이나 권고 차원이 아니라, 실제로 국민 건강과 경제적 부담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강력한 전략임을 알 수 있다는 게 그의 판단.치료 접근성에서도 지역 격차가 확인됐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검진이 없다면 소외되거나 낙후된 지역, 소득이 낮은 지역에서 건강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것.박 이사는 "국내 전립선암 초기 치료 방식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도시와 지방 간 차이가 확연했다"며 "고위험 국소 전립선암 환자에서 수술 비율은 도시 64.3%, 지방 48.6%였고, 중간위험군도 도시 66.8%, 지방 51.2%로 차이가 컸다"고 했다.그는 "저위험군의 수술은 도시가 49.6%, 지방은 32.5% 시행했고, 지방은 적극적 감시가 더 많이 시행됐다"며 "대신 호르몬 단독치료는 지방에서 저위험군 22.9%, 고위험군 34.7%로 높게 나타나 이는 결국 치료 성과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경제적 여건이나 의료 접근성에 따라 치료 선택이 달라지는 현실이 연구에서 나타났다는 점에서 PSA 국가검진 도입을 통해 지역·계층별 건강 격차를 제도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는 것. 조기 진단을 전국적으로 균일하게 적용하면, 누구나 필요할 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박재영 이사는 "10년 장기 추적 연구에서도 한국인 전립선암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엄격 기준군과 일반 기준군을 비교한 결과 엄격 기준군에서 추적 생검 시 암 진행률이 32.8%로 일반 기준군 47.7%보다 낮았다"며 "적극적 치료로 전환된 비율도 40.3%로 일반 기준군 59.3%보다 현저히 낮았다"고 설명했다.그는 "PSA 검진이 정기적으로 이뤄질 때 이러한 적극적 감시 전략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조기 발견이 이뤄지지 않으면 엄격한 기준도 소용이 없어 PSA 검진은 단순한 검사가 아니라, 환자가 과잉 치료를 피하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PSA 국가건강검진 포함을 위한 학회 내부의 구체적인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학회는 PSA 국가검진 도입을 위해 '전립선암 국가검진단위원회'를 구성, 국내 15명의 전문가가 모여 PSA 검사 연령, 검사 주기, 과잉진단 방지 방안 등을 논의 중이다.박 이사는 "해외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미 45세 이상에서 PSA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역시 위·대장내시경처럼 특정 연령대가 되면 자동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단순히 PSA 검사를 국가검진에 넣자는 것이 아니라, 조기 발견, 불필요한 치료 회피, 장기 치료 부담 완화, 지역 간 치료 격차 해소까지 모든 측면에서 근거가 확인됐다"며 "의료 접근성의 불평등을 개인의 선택 탓으로만 돌릴 게 아니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비뇨의학회는 학문적 근거와 사회적 필요성을 바탕으로 정부와 국민을 설득해 PSA 검진 도입을 반드시 실현하겠다"며 "전립선암 국가검진단위원회의 정책 개선안 내용을 오는 12월에 공개, 다시 한번 필요성을 환기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10-24 05:31:00학술대회

"교육 정상화 찬물" 비뇨의학회, 전문의 '조건부 합격' 반발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23일 대한비뇨의학회는 코엑스에서 국제학술대회 KUA 2025를 개최하고 올해를 '수련환경 개선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원년'을 천명, 전공의 교육 정상화를 주요 의제로 내세웠다.1년 6개월간의 의료 공백 이후 전공의 교육 정상화에 시동이 걸린 가운데 대한비뇨의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조건부 전문의시험 합격' 추진 방안에 강하게 우려를 표했다. 수련의 질 저하와 형평성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23일 대한비뇨의학회는 코엑스에서 국제학술대회 KUA 2025를 개최하고 올해를 '수련환경 개선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원년'을 천명, 전공의 교육 정상화를 주요 의제로 내세웠다.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년 6개월간의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 이후 처음으로 전공의들이 대부분 참여하는 의미 있는 행사. 올해 하반기 전국 비뇨의학과 전공의 모집 결과, 총 114명의 추가 합격자가 발생해 현재 전체 수련병원에서 166명의 전공의가 근무하고 있다.이에 발맞춰 이번 학술대회는 전공의 교육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박재영 홍보이사는 "비뇨의학회는 2025년을 의료계의 큰 도전 속에서도 전공의 교육 정상화를 향한 새로운 원년으로 삼고자 한다"며 "전공의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환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전공의 복귀를 맞아 KUA 2025 전공의 초음파 실습교육과 비뇨의학 교육 세션 리뷰 코스 등 임상 실습 중심 교육을 강화해 복귀 전공의들의 임상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박 이사는 "학회는 향후 수련 커리큘럼 개편, 지도전문의 역량 강화, 여성 전공의 지원책 확대 등을 포함한 중장기 수련환경 개선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전공의 교육이 단순한 복귀를 넘어, 의료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적 전환점이 되도록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그는 "최근 대한의사협회를 통해 의견조회가 있었던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일부개정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한다"며 "다만 개정안에서 제시된 주 60시간, 연속근무 24시간의 근무시간 상한과 관련하여 학회는 우려가 든다"고 말했다.대한비뇨의학회 수련이사 박현준 교수전공의가 안정적이고 안전한 환경에서 수련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은 의료계의 지속가능성과 국민 건강권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개정안에서 제시된 주 60시간, 연속근무 24시간의 근무시간 상한은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다는 것.전문의로서 충분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 경험과 충분한 수련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근무시간 단축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필수 역량 확보를 위한 유연한 보완책 내지 교육 목표와 의료 현장의 현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학회의 입장이다.박 홍보이사는 "의료현장 혼란의 여파로 일부 수련병원은 정원 책정 기준인 지도전문의(N-3)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전공의의 이동수련이 불가피하다"며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이를 고려해 이동수련 실행을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유예했으며, 수도권 2개 병원과 비수도권 3개 병원에서 총 10명의 전공의가 이동수련 대상에 포함됐다"고 말했다.정부가 9월 복귀 전공의에게 2025년 2월 전문의 시험 응시 기회를 부여하되 '조건부 합격'으로 처리하는 방안 역시 교육 정상화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반응이다.대한비뇨의학회 수련이사 박현준 교수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전공의 근무시간 단축과 전문의 시험 일정 조정 논의에 대해 "수련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정 편의적 발상"이라며 강하게 우려를 표했다.박 수련이사는 "현재 전공의 근무시간은 주 80시간, 연속근무 34시간 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병원은 주 72시간·24시간 근무를 시범적으로 시행 중"이라며 "내년 2월부터는 주 80시간·24시간 체계로 확대될 예정이지만, 이로 인해 수련 기간(4년)을 늘리는 방안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그는 "만약 정부가 전공의 근로시간 단축을 본격 추진한다면, 학회 차원에서는 줄어든 시간 안에서도 내실 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수련 완료 전(4년차 6개월 미만 남은 상태) 전문의 시험 조기 시행도 전문의를 배출하는 학회의 입장에서 매우 우려스럽다"꼬 했다.전공의 수련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치르게 한다는 것은 학문적, 윤리적으로 용납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판단.박 수련이사는 "대부분의 전문학회 수련이사들이 이 방안을 행정 편의주의적 조치로 보고 있다"며 "비뇨의학회 역시 동일한 입장으로, 완전한 수련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치르는 것은 국민건강권에도 부합하지 않고 6개월 늦게 배출하더라도 완성도 높은 수련을 거친 전문의가 배출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더 이익"이라고 덧붙였다.이어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수련 질 저하를 막기 위해선 전공의들이 교육과 무관한 잡무에 시간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전문간호사 등 비의사 인력의 지원을 확대해 전공의가 핵심 술기와 진료에 집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5-10-23 16:10:20학술대회

ctDNA 기반 맞춤 보조요법 첫 연구...방광암 치료 새 장 열어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유럽종양학회(ESMO)는 고위험 근침윤성 방광암(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MIBC) 환자에서 ctDNA 기반 MRD 모니터링에 따른 보조요법으로서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과 위약을 비교한 3상 연구를 발표했다.[ESMO 2025=독일 베를린]암치료에서 ctDNA(순환종양DNA) 기반 미세잔존질환(molecular residual disease, MRD) 검사의 유용성이 입증됐다. 유럽종양학회(ESMO)는 고위험 근침윤성 방광암(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MIBC) 환자에서 ctDNA 기반 MRD 모니터링에 따른 보조요법으로서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과 위약을 비교한 3상 연구를 20일 전격 발표했다.그동안 MIBC 환자에서 ctDNA 기반 MRD 모니터링은 보조요법의 필요성을 구분하는 유망한 접근으로 평가되어 왔는데, 이번에 공개된 IMvigor011은 실제로 ctDNA 양성 환자에게 아테졸리주맙(atezo)을 투여했을 때 효과를 평가한 첫 ctDNA-guided phase 3 임상시험이다.연구는 ctDNA 모니터링을 수술 후 1년 동안 정기적으로 실시했고, 이후 양성인 환자를 2:1로 배정해 각각 아테졸리주맙과 위약을 투여하고, 1차 평가변수로 무질병 생존기간(DFS)을 관찰했다. 2차 평가변수는 전체 생존기간(OS)으로 설정했다.그결과  아테졸리주맙군의 DFS는 각각 9.9개월로 위약군(4.8개월)대비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HR   0.64 (0.47–0.87); p=0.0047). 또한 OS 분석에서도 각각 32.8개월과 21.1개월(위약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HR 0.59 (0.39–0.90); p=0.0131). IMvigor011 연구 결과Grade 3–4 이상 이상반응은 각각 28.5%, 21.7%, 치료 관련 중증 이상반응은 각각 7.3%, 3.6%였다. 치료 관련 사망률은 1.8%, 0%로, 새로운 안전성 이슈는 보고되지 않았다.토마스 파울스(Thomas B. Powles)  영국 퀸즈메리 대학(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교수는 “ctDNA 양성 환자에서 아테졸리주맙이 DFS·OS 모두 개선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표준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ctDNA 음성 환자는 면역항암제 치료 없이도 재발률 낮음을 보여줌으로서 치료 최소화가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나아가 "이번 연구는 ctDNA-guided 면역항암제 보조치료가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임상적 효용성을 입증한 첫 대규모 무작위 3상 임상시험으로,향후 치료가 필요한 환자만 정밀하게 선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근거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총평했다.토론자로 나선 알렉산더 와이엇(Alexander W. Wyatt)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의대(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교수는  "이번 결과는 ctDNA를 활용한 개인 맞춤 치료 전략을 실험적으로 적용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서 향후 암 연구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목표로 하는 치료 효과와 반응을 정확히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아테졸리주맙을 개발한 로슈. ESMO 2025에 참석해 파이프라인을 공개했다.
2025-10-21 05:44:24학술대회

효용성 높아지는 ctDNA 검사…항암 부작용 대폭 감소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 ctDNA(순환종양 DNA) 검사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효용성을 넓혀가고 있다.간단한 검사만으로 부작용이 큰 항암화학요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도구로서 임상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항암화학요법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으로 ctDNA 검사를 통한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 전략이 제시됐다.현지시각으로 20일 독일 베를린에서 진행중인 유럽종양학회 연례회의(ESMO 2025)에서는 ctDNA를 통한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ctDNA는 암세포에서 파생된 DNA 조각 중 일부로 혈액 안을 흐른다는 점에서 순환종양 DNA로 불린다.간단한 액체 생검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최소침습적 바이오마커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과거에는 암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이나 항암요법 등의 치료 후 조직 검사를 통해 완치나 재발 등을 확인해야 했지만 이제는 혈액 몇 방울로 진단부터 치료 반응, 예후까지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치료 후에도 만약 ctDNA가 검출된다면 치료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는 의미가 되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검출될 시 재발을 의심해야 하는 지표가 된다는 의미다.하지만 아직까지는 가능성에 주목할 뿐 실제 임상 활용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근거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다.이번에 ESMO에서 발표된 연구가 주목받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ctDNA의 효용성을 직접 확인했기 때문.'AGITG DYNAMIC-III'로 명명된 이 임상은 호주 멜버른 의과대학 진 타이(Jeanne Tie) 교수의 주도로 총 968명의 3기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5~6주에 ctDNA 검사를 받은 그룹과 표준 관리 그룹에 무작위 배정한 뒤 이를 비교 분석했다.ctDNA 검사를 통해 양성이 나온 그룹은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를 진행했다. 반대로 음성이 나올 경우 항암화학요법인 플루오로피리미딘(Fluoropyrimidine) 요법을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했고 3개월 이제 요법(Doublet)을 단일 제제로 변경하는 식이다.평균 45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 ctDNA 검사를 통해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를 받은 그룹은 옥살리플라틴 기반 항암화학요법 비율이 34.8%에 불과했다.표준 요법으로 관리 받은 환자들이 88.6%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는 의미가 된다.또한 3등급 이상의 특별 이상 반응 비율도 ctDNA 검사를 진행하며 치료한 환자들은 6.2%, 표준 요법 관리 그룹은 10.6%로 차이가 나타났다.아울러 치료와 관련해 입원할 비율도 ctDNA 검사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 그룹이 8.5%, 대조군이 13.2%로 더욱 좋은 결과를 보였다.하지만 치료 예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년 무재발 생존율(RFS)을 보자 ctDNA 검사를 통한 순차적 위험 조정 치료를 받은 환자, 즉 약물을 절반 이하로 줄인 환자들은 85.3%, 표준 요법 환자들은 88.1%로 큰 차이가 없었던 것.다른 요인을 모두 제외하고 치료 효과와 예후를 봐도 단계적으로 약물을 조정한 환자들에서 열등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발표를 진행한 진 타이 교수는 "ctDNA 검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음성 여부를 검사하며 항암화학요법을 줄여도 그렇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재발율이나 예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결국 ctDNA 검사를 통해 옥살리플라틴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크게 줄이면서도 동일한 예후를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2025-10-21 05:06:58학술대회

간암 치료도 약진…색전술 대상도 면역항암제 효과 있어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PD-L1 억제제인 아테졸리주맙과 VEGF 혈관생성억제제 베바시주맙을 개발한 로슈 부스. 현재 두 약제의 병용치료는 색전술이 불가능한 중간기 간세 포암환자의 표준요법이다.[ESMO 2025=독일 베를린]경동맥 화학색전술(TACE) 대상인 중간기(BCLC B) 간세포암(HCC) 환자도 면역항암제/혈관생성억제제(티센트릭/아바스틴)를 적용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가 나왔다. 간암 전문가들이 가장 궁금했던 분야였던 만큼 적용이 확대될지 주목된다.현재 해당 환자의 표준요법은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과 VEGF 억제제 베바시주맙(bevacizumab, atezo/bev)병용이다. 다만 경동맥 화학색전술에 실패했거나 적합하지 않은 환자라는 조건을 갖춰야 한다. 이는 앞서 지난 2021년 ASCO GI에서 발표된 IMbrave150 3상 연구가 근거가 됐다.여기에 많은 간암 전문가들은 약제가 갖는 특성상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치료를 TACE 적응증이 있는 환자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는데 불행히도 근거는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진행된 연구가 ABC-HCC 연구다. 이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연구소가 주도한 국제 다기관, 3상b, 무작위 배정, 공개 라벨,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으로 1차 결과가 20일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전격 발표됐다(LBA51). 결과는 긍정적이었다.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확정HCC, 수술/고주파열치료(RFA) 불가, 간이식 불가, TACE 가능, 간외 전이 없음, 거대혈관 침범 없음(Vp1/2 제외), ECOG ≤ 1, Child-Pugh A/B7으로 중간기 간세포암(BCLC B)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 320명이었다.이들을 무작위로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군과 TACE군으로 나눠 1차 종료점으로  치료전략 실패까지의 시간(Time to Failure of Treatment Strategy, TTFS)을 관찰했다(CT/MRI를 8주마다 시행).그 결과 중앙 전신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치료군에서 TTFS는 14.6개월로 TACE군(9.5개월) 대비 질병 진행 및 사망위험을  45%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HR 0.55 (95% CI 0.36–0.83). 다만 이번 보고는 첫 번째 효능/무익성 중간분석(IA)으로 정보 수집률 33%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연구를 발표한 로렌자 리메싸 이탈리아 밀라노 휴마니타스 대학교 및 IRCCS 휴마니타스 연구병원(Humanitas University 및 IRCCS Humanitas Research Hospita) 교수는 “많은 환자가 TACE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인데, 그 주요한 이유로는 간양엽 광범위 종양 부담, 간 기능 저하, 그리고 중증 동반질환 등 때문”이라면서 “만약 최종 분석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다면 이번 연구 결과는 실제 임상에서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고 덧붙였다.따라서 최종 결과가 주목된다. 이번 연구는 현재까지 54개 기관에서 206명 등록, 194명 무작위 배정됐으며, 1차 분석에서 168명, TTFS 사건 100건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이다. 현재 보다 많은 환자가 포함된 2차 중간분석이 진행중이며 추후 학회에서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이와 함께 CARES-009 연구도 발표됐다. 이는 절제 가능한 간세포암(HCC) 환자 중 재발 위험이 중간 또는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요법으로서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및 리보쎄라닙(rivoceranib) 병용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것이다(1470O). 총 294명의 환자가 수술 전후 치료군(148명) 또는 수술군(146명)으로 나눴고, 중앙 추적 관찰 기간은 21.3개월이었다. 연구 결과 무사건재발률(EFS)는 수술 전후 치료군에서 42.1개월, 수술군에서 19.4개월로, 수술 전후 치료군에서 질병 진행 및 사망위험이 41% 줄었다 (HR 0.59; 95% CI 0.41–0.85; p=0.0040). 주요 병리학적 반응은 각각 35.1%,  7.5%로 나타났다.리메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및 리보쎄라닙(rivoceranib) 병용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유럽에서 캄렐리주맙은 허가받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이번 연구는 중국 다기관 데이터라는 점에서 일반화하기 어렵다. 서양인을 포함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10-20 20:44:00학술대회

전립선암 게임체인저 '플루빅토' 언제 얼마나 써야할까?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ESMO 2025=독일 베를린]전립선암 치료에 차세대 주자로 꼽히는 방사선 리간드 치료제 플루빅토(177Lu)는 언제 어떻게 써야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까.결론적으로 저용량으로 시작해 6주 간격으로 6주기 치료가 최적의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ESMO 2025에서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표준요법으로 굳어지고 있는 플루빅토의 효율적 처방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현지시각으로 20일 독일 베를린에서 진행중인 유럽종양학회 연례회의(ESMO 2025)에서는 플루빅토의 효율적 사용법에 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플루빅토는 PSMA에 결합하는 루테튬-177 방사성 리간드로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으로 시작해 적응증을 확대해 가고 있는 약물이다.PSMA-617 리간드와 루테튬-177이 결합해 PSMA가 과도하게 발현된 전립선암에 선택적으로 결합한 뒤 방사선을 쏴서 사멸시키는 기전이다.실제로 플루빅토는 VISION 3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 9.7개월, 전체 생존기간 15.3개월로 대조군 대비 사망 위험을 60%나 줄이면서 게임체인저로 떠오른 상태다.하지만 아직까지 플루빅토를 언제 어떻게 얼마나 써야하는지에 대해서는 표준이 업슨ㄴ 상태다. 임상에서 사용 기간이 그리 길지 않은 만큼 근거가 쌓이지 못한 이유다.ESMO 2025에서 이를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 것도 이러한 이유다. 의학자들이 모여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이 자리에서 발표를 맡은 스위스 바덴 의과대학 아이린 버거(Irene Burger) 교수도 이같은 부분을 인정하며 유럽종양학회 내에서 통합 진료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말로 강의를 시작했다.아이린 버거 교수는 "플루빅토를 활용한 치료 전략이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각 국가마다, 병원마다 다른 전략을 쓰고 있다"며 "누가, 어떠한 환자에게 쓰는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지금도 수많은 의학자들이 언제 플루빅토를 써야하는지를 두고 논란을 이어가고 있다"며 "나 또한 후기 단계에서 플루빅토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해왔지만 여러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더 이른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쌓이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런 면에서 그는 일단 화학요법 전 플루빅토를 해야 하는지, 혹은 화학요법 후에 해야하는지를 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그가 근거로 내세운 것은 일단 캐나다에서 진행된 대규모 임상시험이다.화학요법 전에 플루빅토를 투약한 군과 화학요법 후 플루빅토를 준 환자를 비교한 결과 무진행 생존기간(PFS)는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 생존율(OS)도 차이가 나지 않았다.아이린 버거 교수는 "결국 언제, 어떤 환자에게 투여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열려있는 질문(Open question)"이라고 결론을 지었다.하지만 용량과 시점에 대해서는 근거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 아이린 버거 교수의 설명이다.일단 그는 용량 부분에서는 저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미국에서 이뤄진 임상시험이 그 근거다.실제로 이 임상에서는 총 13 기가베크렐(GBq) 밖에 안되는 플루빅토를 단 두번(2shot) 투여한 것만으로 무진행 생존기간이 10개월이나 늘어라는 결과가 나왔다.그러나 유럽에서 진행된 다른 연구를 보면 44 기가베크렐의 고용량을 썼지만 무진행 생존기간에 이점이 없었다.아이린 버거 교수는 "이 두가지 임상을 비교하면 과연 고용량 플루빅토 투여가 필요한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며 "결국 적은 비용으로 큰 이득을 얻는 방향이 나오고 있다는 의미"라고 전했다.그러한 면에서 그는 최대한 적은 용량을 6주 간격으로 6주기 치료를 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율적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하지만 이 또한 매우 빠른 시간 안에 변경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아이린 버거 교수는 "메타분석 등이 나오지 않은 만큼 조심스럽지만 현재로서는 최대한 적은 용량을 6구 간격으로 6주기 치료를 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근거가 쌓일 수록 환자 맞춤형 용량 조절과 주기가 나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5-10-20 19:21:59학술대회

전이성 대장암 잔잘린티닙 효과 확인...최적 대상 선별 숙제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ESMO 2025=독일 베를린]유럽종양학회 전시장에 마련된 엑셀리시스 제약사 부스, 다중 표적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multi-targeted TKI)인 잔잘린티닙을 개발한 회사다.대장암에서 다중 표적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multi-targeted TKI)인 잔잘린티닙(zanzalintinib)과 PD-L1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의 조합을 보여주는 연구가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20일 공개됐다.STELLAR-303으로 명명된 이번 연구는 미세부수체 안정형(MSS) 전이성 대장암(mCRC) 환자에서 두 약물의 병용요법을 관찰한 대규모 3상연구로(LBA30), 전체생존기간(OS) 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면서 기대주로 떠올랐다.현재 미세부수체 안정형 대장암은 전체 대장암의 약 95%를 차지하지만,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아 기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이번 결과는 면역 불응성 MSS 환자군에서도 면역치료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세부 내용을 보면, STELLAR-303연구는 기존 치료에 실패한 mCRC 환자 901명을 대상으로, 잔잘린티닙+아테졸리주맙 병용군과 표준치료제인 레고라페닙(regorafenib) 단독군을 비교했다. 그 결과, 병용요법은 중앙값 전체생존기간 10.9개월로, 레고라페닙의 9.4개월 대비 유의한 연장(위험비 0.80, 95% CI 0.69–0.93; p=0.0045) 을 보였다.STELLAR-303연구 결과또한 무진행생존기간(PFS) 역시 병용군에서 3.7개월로, 레고라페닙군의 2.0개월보다 길었다(위험비 0.68, 95% CI 0.59–0.79). 다만 이같은 통계적 수치가 어느정도의 임상적 가치가 갖고 있느냐는 향후 쟁점이 될 전망이다.발표를 맡은 엘레나 엘레즈(Elena Elez) 스페인 발데브론 종합병원 및 종양연구소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 전이 유무에 따른 하위군을 포함해 전체 환자군에서 전체 생존율을 주요 평가 변수로 설정한, MSS 불응 대장암 대상의 첫 3상 임상”이라며 “이전 연구에서는 간 전이가 없는 MSS 환자에서 ICI 병용의 효과가 더 크다는 근거가 있었는데, 이번 결과에서는 간 전이 여부와 관계없이 치료 반응이 관찰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했다.다만 엘레즈 박사는 임상적 이득의 절대적인 크기는 제한적”이라는 단서를 제시하며 “특히 간 전이가 있는 MSS 환자에서는 면역치료 반응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향후 어떤 환자군이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덧붙여 “최종 OS 분석 결과를 통해 특히 간 전이 없는 환자군에서의 생존 연장 정도와 함께 안전성 프로파일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이번 병용요법의 임상적 위치를 결정짓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10-20 17:32:35학술대회

리바로패밀리, 혈압까지 해결…리바로하이로 통합관리 완성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6일 대한심장학회는 국제학술대회 KSC 2025를 개최하고 피타바스타틴+발사르탄+암로디핀 3제 복합제 리바로하이의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했다.아시아인 데이터와 신규당뇨병(NODM) 안전성 근거로 이상지질혈증 치료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해온 피타바스타틴(상품명 리바로)이 영역을 확장한다.에제티미브를 섞어 효과를 강화(리바로젯)했다면 이번엔 암로디핀·발사르탄이 추가(리바로하이)돼 혈압까지 잡았다.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을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혈관질환 '올인원 패키지'가 나오는 셈.16일 대한심장학회는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KSC 2025)를 개최하고 피타바스타틴 복합제 계열의 두 축, 리바로젯과 리바로하이를 중심으로 한 임상 근거와 실제 적용 전략을 공유했다.'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을 통한 이상지질혈증 최적 관리'를 발표한 삼성서울병원 최기홍 교수는 PCI(관상동맥중재술) 환자 데이터를 중심으로 리바로젯의 LDL-C 저하 효과와 혈당 안전성을 제시했다.삼성서울병원 최기홍 교수그는 "LDL-C를 50% 이상 낮춘 환자군에서 심혈관질환 예후가 확실히 개선됐다"며 "리바로젯은 중강도 스타틴 단독요법으로 부족한 환자에게 LDL-C를 23% 추가 감소시킬 수 있고, 48주 장기 투여에서도 혈당에 부정적 영향이 없었다"고 설명했다.이어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서도 LDL-C 60% 이상 감소 효과가 확인됐다"며 "고령 환자군에서도 근육 관련 이상반응을 낮추면서 예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그는 또한 "7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고강도 스타틴 근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중강도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을 비교하는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하다"며 "리바로젯은 혈당과 근육 안전성 측면에서 이런 연구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약제"라고 평가했다.■리바로하이, 혈압·지질 동시 타깃 '다다익선' 복합제한림대병원 서원우 교수는 피타바스타틴+암로디핀에 항고혈압제 발사르탄 성분까지 추가된 3제 복합제 신약 리바로하이가 12월 출시된다는 점에 맞춰 3상 자료를 인용,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그는 "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상지질혈증 또는 당뇨병을 함께 가지고 있다"며 "혈압과 LDL-C를 각각 10%씩만 낮춰도 심혈관 위험이 최대 45%까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리바로하이는 혈압·지질을 동시에 낮추는 복합제 개념으로, 실제 임상에서 목표치 도달률을 높이고 순응도 향상에도 유리하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발사르탄은 혈당 상승 위험이 낮고, 고위험군 환자에서 신규 당뇨병 발생을 14% 감소시킨 근거가 있다"며 "리바로하이는 피타바스타틴과 발사르탄 두 약제가 모두 혈당 안전성을 갖춘 조합으로,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환자에서 안전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또 "6가지 용량으로 구성돼 환자별 혈압과 지질 목표에 맞춘 유연한 조절이 가능하다"며 "복합제는 단순히 복약 편의성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 다중 위험인자 관리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한림대병원 서원우 교수는 오는 12월 출시되는 3제 복합제 리바로하이 임상 3상 결과를 기반으로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이번에 공개된 리바로하이 국내 3상은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동시에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피타바스타틴과 암로디핀·발사르탄 병용의 효과를 평가했다.피타바스타틴 4mg+발사르탄 160mg+암로디핀 10mg 복합제를 155명에게 투약(시험군 54명 / 대조군1 피타바스타틴+발사르탄 / 대조군2 발사르탄+암로디핀)한 후 8주차에 평가한 결과 리바로하이군의 SBP는 기저치 대비 22.1mmHg 감소한 반면 대조군1은 3.3mmHg 감소에 그쳤다.이어 LDL-C는 대조군2가 1.3% 감소에 그쳤지만 리바로하이 투약군은 38.3%가 감소해 상대적인 우위를 확인했다.서 교수는 "리바로하이는 3상에서 기저치 대비 Non-HDL-C의 37% 감소, TG 수치 22.3% 감소와 HDL-C 수치의 16.5% 상승 효과까지 나타났다"며 "약물이상반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대한 약물이상반응도 없었다"고 설명했다.리바로젯이 LDL-C 중심의 지질 관리에서 혈당 안전성까지 확보했다면, 리바로하이는 혈압과 지질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로 치료 패러다임을 확장한 셈.이와 관련 좌장을 맡은 김원 교수(경희대병원)는 "리바로와 리바로젯은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매우 안전한 약제"라며 "스타틴의 혈당 부작용 우려 없이 꾸준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좌장 한주용 교수(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는 "약물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HIV, 장기이식, 항암치료 등 다약제 복용 환자에서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며 "이 점이 피타바스타틴 기반 치료의 차별성"이라고 덧붙였다.
2025-10-20 14:26:53학술대회

"심장질환은 구조적으로 홀대 받아" 제도 개선 한 목소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심장학회는 KSC 2025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심장질환이 홀대 받는 구조적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해 공론화했다.정부가 필수의료 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심혈관질환 분야는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낙후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현행 제도가 심혈관계 중증환자의 진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중증 환자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으며, 이는 필수의료 강화라는 정부 기조와도 괴리돼 있다는 것.전문가들은 심장혈관중환자실 제도화, 심초음파 수가 개선,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포함, 심혈관질환 기금 확대 등의 정책 개선안을 제시하며 급증하는 심혈관질환의 보호막을 주문했다.17일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춘계학술대회(KSC 2025)에서는 심혈관질환 진료체계와 보험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현장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쏟아졌다.현행 제도 아래서는 중증 환자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으며, 필수의료 강화라는 정부 기조와도 괴리돼 있는 등 발표 연자들은 공통적으로 "현행 제도가 심혈관계 중증환자의 진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먼저 서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장중환자실(CICU) 지원의 필요성과 대책' 발표를 통해 CICU의 필요성을 공론화했다.서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그는 "심장집중치료실(CCU)은 과거 허혈성 심질환 중심으로 설계된 체계로, 오늘날 부정맥·판막질환·심근염·심부전 등 다양한 환자를 관리하는 현실과 괴리가 크다"며 "이제는 CCU에서 CICU로의 제도적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서 교수는 특히 미국심장학회(AHA)가 2012년부터 CCU 개념을 CICU로 바꾼 배경을 언급하며 "단순히 관상동맥 환자만 보는 시대가 끝났고 심장 전체를 다루는 집중치료 체계로 전환하지 않으면 환자 생존율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그는 CICU 제도화가 필수의료 강화와 직결된다고도 했다. 서 교수는 "지방의료원이나 중소병원에는 심부전·쇼크 환자를 담당할 전문 인력이나 장비가 없어 상급병원 전원이 잦다"며 "결국 환자는 치료 시기를 놓치고, 의료전달체계도 왜곡된다"고 지적했다.수가체계 문제도 근본적 걸림돌로 꼽았다. 현재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료는 외과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심장집중치료에 필요한 고난도 장비나 인력 투입이 전혀 반영돼 있지 않다. 서 교수는 "심혈관계 중환자는 입원 기간은 짧지만 사망 위험이 높아 고난도 대응이 필수"라며 "이 구조로는 인력 유지나 교육조차 어렵다"고 말했다.미국은 이미 CICU 체계를 표준화해 심장전문의와 중환자 전문의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dual-intensivist' 모델을 운영한다. 중증도에 따라 병상과 인력을 분리하고, 전담 교육과정도 별도로 마련돼 있다. 반면 국내는 병원별로 CCU 기준이 달라 일부는 단순 관찰병상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다.서 교수는 "CICU는 선택이 아니라 환자 생명을 지키기 위한 필수 인프라"라며 "심혈관계 중환자 전담 인력 양성, 전용 수가 신설, 전국 단위 표준화, 지역 연계망 구축 등 제도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말하는 필수의료의 본질이 생명을 살리는 것이라면, 수술실보다 먼저 갖춰야 할 곳이 바로 CICU"라고 강조했다.■"80장 찍어도, 10장 찍어도 보상 같아" 심초음파 수가 개선해야한편 심초음파의 수가 체계의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중증심질환의 심초음파 수가, 현재의 문제점과 전문수가 도입 제언'을 발표한 손정우 연세원주의대 심장내과 교수는 "심초음파는 단순 영상검사가 아닌 기능 중심의 고난도 평가인데도 영상검사로 분류돼 종별 가산이 폐지됐다"며 "중증 환자를 많이 보는 기관일수록 손실이 커지는 구조로, 중증 심초음파에 대한 별도 수가 신설이 절실하다"고 밝혔다.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종별 가산율이 각각 30%→15%, 25%→10%로 축소됐고, 심초음파는 영상검사에 포함되면서 종별 가산 자체가 폐지됐다. 심평원은 회계조사에서 '영상검사는 과평가됐다'는 근거를 제시했지만 문제는 당시 심초음파는 비급여여서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손 교수는 "심초음파는 단순 정지 영상이 아니라 수축력, 이완, 판막 기능, 혈류역학 등 복합적인 기능 정보를 동영상으로 분석해야 하는 고난도 검사"라며 "상급종합병원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cardio-specific 장비로 고가 서버 비용이 수반되고, 영상 수가 평균 80개 이상으로 일반 초음파와 차원이 다르다"고 강조했다.이어 "미국과 일본은 중증도에 따라 modifier(부가 코드)나 별도 코드가 존재해 중환자, ECMO, 수술 전후 환자 등에 가산을 적용하지만 우리나라는 단순·일반·전문 세 가지로만 구분돼 있다"며 "중환자실, 이식환자 등 중증군에 한정한 중증도 기반 수가 코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는 심초음파학회와 협력해 현실적 대안을 모색 중이라며, "선천성 심질환 초음파처럼 이미 가산이 적용되는 세부 상병이 존재하는 만큼 중증 판막질환이나 ECMO 등 복합질환 환자에도 가산을 부여하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손 교수는 "2021년 급여화 이후 수가가 하락한 데다 올해 종별 가산까지 폐지돼 상급병원과 의원급의 수가가 동일해졌다"며 "중증 환자를 더 많이 보라는 요구 속에서 오히려 손실이 커지고 있다. 현 체계가 지속된다면 심초음파 전문 인력 이탈과 검사 공백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그는 끝으로 "심초음파는 필수의료 영역으로 대체 불가능한 검사다. 중증도 반영 없는 동일 수가 체계는 의료현장을 사지로 내모는 결과를 낳는다"며 "심장질환의 중증도와 기능 평가의 복잡성을 반영한 별도 수가가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심부전 환자 구조적 홀대 받아…원인은 질환 분류"이수용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이수용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포함을 요청했다.심부전은 임상적으로도, 자원 소모 측면에서도 명백한 중증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문진료질병군(DRGA)이 아닌 일반진료질병군(DRGB)으로 분류돼 있어 이로 인해 상급종합병원 내에서 심부전 진료가 구조적으로 홀대받고 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 교수는 "심부전 환자는 만성 질환의 특성상 입·퇴원을 반복하며, 입원 환자의 5년 내 사망률이 절반에 이르고 일부 암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데도 의료체계상 단순 질환으로 취급받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상급종합병원 지정체계가 '전문진료질병군' 비중을 핵심 평가항목으로 삼으면서 심부전 진료를 주로 맡는 순환기내과 교수들이 병원 내 불이익을 겪고 있다는 설명이다.이 교수는 "상급종합병원 지정 점수를 높이기 위해 단순진료질병군 환자 비중을 줄이라는 압박이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일부 교수들은 '심부전 환자는 보지 말라'는 식의 직접적 제약을 받기도 하고 있지만 심부전이 DRGA로 포함되지 않는 한 이러한 구조적 왜곡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현행 체계상 심부전은 DRGB 215번에 속하지만, 호흡부전이 DRGA 141번으로 포함돼 있는 점을 예로 들며 "심부전 역시 임상 난이도, 예후, 치료 부담 측면에서 충분히 A군으로 격상될 근거가 있다"고 강조했다.또한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에서도 중증 심부전이나 심인성 쇼크가 3단계로 분류돼 있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며 "실제 도부타민 투여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중등도'로 분류되는 것은 제도적 허점"이라고 지적했다.그는 학회 차원에서 제시할 개선안으로 ▲중증 심부전(특히 좌심실박출률 40% 미만의 HFrEF)을 DRGA에 포함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 내 중증 심부전 단계 상향 ▲악화 심부전(Worsening HF) 및 고도 심부전(Advanced HF)에 대한 신규 KCD 코드 신설 ▲중환자실(ICU)·응급실 입원 경로에 따른 중증도 인정 확대 등을 제시했다.
2025-10-20 12:25:30학술대회

플루빅토 전립선암 초치료 가치 증명...질병·사망 28% 낮춰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ESMO 2025=독일 베를린]노바티스의 방사성 리간드 약물(Radio Ligand Therapy, RLT) 플루빅토(루테튬 비피보타이드테트라세탄)가 전립선암 분야 영역 확대에 성공했다.전립선암 초치료 분야까지 임상적 혜택을 입증, 글로벌 대표 RLT 치료제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게 됐다.스콧 타가와(Scott T Tagawa) 미국 웨일코넬의대 교수가 mHSPC 환자 대상 플루빅토의 효과를 평가한 'PSMAddition' 임상 3상 결과가 발표다.19일(현지시간) 유럽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ESMO 2025)에서는 전이성 호르몬 민감성 전립선암(mHSPC) 환자 대상 플루빅토의 효과를 평가한 'PSMAddition' 임상 3상 결과가 발표됐다.플루빅토는 차세대 RLT 약물로, 루테튬(177Lu) 방사성동위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 방사성동위원소가 전립선 암세포의 전립선특이막항원(PSMA)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현재 국내에서는 이전에 안드로겐 수용체 신호경로 억제제(ARPI) 치료와 탁산 기반의 화학요법을 받았던 전립선 특이적막항원(PSMA) 양성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아 15개 국내 대형병원에서 도입한 상태다.PSMAddition 연구는 mCRPC보다 앞서 초치료로 평가되는 mHSPC 환자 대상으로 효과를 입증, 전립선암 분야 초치료에서의 입지 확대를 목표로 진행된 것이다.그 결과, 연구의 1차 평가변수인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율(radiotgraphic Progression-Free Survival, rPFS) 면에서 개선을 이끌어냈다. 2차 평가변수는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안전성, 삶의 질 등으로 정의했다.연구에 참여한 환자들 중 절반(50.0%)은 신규 진단 환자 였으며, 68.1%는 질병 부담이 큰 환자였다.플루빅토인 연구의 1차 평가변수인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율(radiotgraphic Progression-Free Survival, rPFS) 개선을 이끌어냈다. 중앙추적관찰 23.6개월 시점에서 두 그룹 모두 rPFS 중앙값에 이르지 않은 가운데, 플루빅토군의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이 28% 더 낮았다.(HR=0.72, 95% CI 0.58-0.90, P=0.002)2차 평가변수인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역시 두 그룹 모두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지만, 플루빅토군에서 조금 더 개선된 경향을 띠었다.(HR=0.84, 95% CI 0.63-1.13, P=0.125)또한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플루빅토군이 85.3%, 대조군이 80.8%로 집계됐다.안전성에 있어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각각 50.7%와 43.0% 심각한 이상반응은 31.9%와 28.7%에서 보고됐지만, 삶의 질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평가다.연구를 발표한 스콧 타가와(Scott T Tagawa) 미국 웨일코넬의대 교수는 "플루빅토를 안드로겐 차단 요법(ADT) 및 ARPI와 병용한 치료는 mHSPC 환자에서 rPFS를 유의하게 개선했다"며 "이러한 효과는 하위그릅에서 일관되게 관찰됐다"고 설명했다.그는 "OS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른 효능 지표에서도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안전성 결과는 각 치료제의 이미 알려진 특성과 일치, 삶의 질 평가에서도 두 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며 "결과를 종합하면, 플루빅토를 조기에 병용하는 전략이 임상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근거를 뒷받침 한다"고 강조했다.
2025-10-20 05:30:00학술대회
인터뷰

"심질환은 법적 테두리 밖…정부에 청구서 내밉니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용어조차 제대로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 -정의와 주요 질환군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단독 법률 제정이 전무합니다. -보장성 제도에서 배제돼 있습니다. -진료 연속성이 단절되고 있습니다. -지원 근거가 미비합니다. 법으로 살펴본 심장질환은 한마디로 '소외'이자 '배제'라는 게 학회의 판단이다.대한심장학회가 이례적으로 학술대회장 출입구마다 대형 배너를 세웠다. 제목은 다음과 같다.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 개정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단순한 홍보물이 아니라, 학회가 공식적으로 내건 정책 요구문이자 청구서다.17일 대한심장학회 학술대회장에서 작업을 기획한 정욱진 대한심장학회 정책이사(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를 만났다. 그는 단호한 어조로 "심장질환은 여전히 법의 바깥에 있다"며 이제는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정 교수는 올해 초 정책이사로 선임된 뒤 가장 먼저 '심혈관질환의 법적 부재'를 마주했다.문제의 발단은 중증 심부전 등 난치성 심장질환자들이 보장성 혜택에서 소외돼 있다는 점. 만성 콩팥병의 경우 투석 직전 단계인 4기부터 산정특례가 적용돼 환자 본인 부담이 낮아지지만 심질환자는 사정이 다르다.정 이사는 "중증 심장질환 환자가 보장성에서 제외돼 있어 진료실에서 약값에 힘들어하는 환자들을 많이 본다"며 "만성 콩팥병, 암은 산정특례를 받아서 환자가 치료 금액의 5~10%만 내도 되는 반면 심장질환자는 심장 이식 직전 상태에서도 약값의 60%를 내야 된다"고 지적했다.그는 "다른 비싼 약들도 많이 써야 하는 환자들이 부담에 시달리다가 결국 심질환으로 돌아가시는 경우도 빈번하다"며 "혜택이 거의 없는 불합리함의 구조적인 원인에는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부분이 크다"고 진단했다. 대한심장학회 정욱진 정책이사가 심뇌법 개정의 사유에 대해 설명했다.중증·난치성 심부전, 중증판막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질환, 폐고혈압와 같은 중증 환자들 중 보험 혜택을 보는 사람은 소수에 한정된다. 일부만 한시적으로 30일간 약값 인하 혜택을 보지만 대다수는 60%의 약값을 자부담하는 실정으로 이는 제도적 차별에 가깝다는 게 그의 판단. 해결책을 찾아봤지만 현재 심질환자를 도와줄 '법적 근거'가 부재했다."정책연구소장, 보험이사, 정책위원 등과 한두 달 논의해봤더니 놀랍게도 관련 법이 없더라고요. 관계 부처 관계자들도 심혈관질환의 중요성을 모르는 게 아니지만 관리법이 없으니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법이 없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핵심은 현행 법 체계의 빈칸이다. 법에는 '심장질환' 정의조차 명시돼 있지 않고, 주된 정책 영역은 급성기 뇌졸중과 심근경색에 집중돼 있다.그는 "급성기만 관리하다 보니, 장기 관리가 필요한 심부전·부정맥·선천성 심질환 환자는 제도 밖으로 떠밀려있다"며 "게다가 심장질환은 건강증진기금에서도 0.6% 정도인 200억원만 지원될 정도로 법이 없으니 예산 편성의 근거도 없고, 따라서 지원도 없다"고 진단했다.이에 학회 차원의 첫 정책 캠페인으로 '심뇌법 개정 10가지 이유' 배너를 기획했다는 설명이다. 법 개정의 취지에 의사도 환자도 공감해야만 추진 동력이 생긴다는 점에서 공론화에 시동을 걸은 셈.정 이사는 "이건 단순한 슬로건이 아니라 행동 선언"이라며 "의사들이 학회장에 들어오며 자연스럽게 읽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모든 세션장 출입구에 배너를 설치했다"고 말했다.그는 "의사뿐 아니라 호텔 내원객들도 보게 해서 여론을 형성하려는 의도도 있다"며 "산정특례의 기준이나 질환명이 법에 명시돼야 하고 중증 기준도 법에서 정의되는 쪽으로 법이 바뀌지 않으면 보장성 확대는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배너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담겼다. "심장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두 번째 주요 사망원인", "국내 보건의료 법령에는 '심장질환' 용어조차 없다", "심근경색·심부전·부정맥 등 고위험 질환은 보험 보장성 제도에서 배제돼 있다" 등, 그간 의료계 내부에서만 논의되던 현실이 직접적인 문장으로 제시됐다.학회가 추진하는 개정 방향은 명확하다. ▲심장질환의 정의 및 주요 질환군 법적 명시 ▲급성기 중심의 권역센터에서 만성 관리 중심 체계로 전환 ▲심장혈관중환자실의 정부 지원체계 편입 ▲건강증진기금 내 심장질환 항목 신설 등이다.정 이사는 "암·뇌혈관질환·치매·당뇨·자살예방 등은 이미 각각의 관리법과 기금 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정책 및 연구비 지원이 풍부하다"며 "학회 입장은 다 보장해 달라는 게 아니라 중증 환자들만이라도 혜택을 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는 "국내 심부전 환자는 150만명이 넘지만 중증 심부전은 2만명, 경각을 다투는 환자들을 다 합쳐도 5만명에 그친다"며 "전체 심장질환을 산정특례로 포함해달라는 게 아니라, 마지막 단계에 도달한 환자들만이라도 혜택을 달라는 현실적 제안이고 이는 정책적으로 충분히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는 "이미 미국, 호주뿐 아니라 옆나라 일본도 법·기금·지방정부 책임이 명시된 구조적 제도를 갖고 있지만 한국만 법적 근거가 없어 정부 지원, 수가 개정, 연구비 및 기금 배분에서 모두 배제되고 있다"며 "심혈관질환의 법적 정의, 재정 기반, 중앙·지방 연계 구조를 명문화한 개정안을 통해 국민 건강권과 의료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해외는 법률 안에 예방·치료·재활까지 포괄하는 국가 전략과 기금 체계를 명시해 국가 책임을 제도화했지만 한국은 법적 근거가 없어 심장질환이 정책 테이블에 오르기 어려운 상황. 법 개정이 이뤄져야 정부 내 관련 TFT가 구성되고, 기금 배분 구조도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모든 변화의 출발점은 '법' 그 자체에 있다는 설명이다.정 이사는 "오는 11월 19일 국회 토론회에서 심뇌법 개정 관련 내용을 다룰 예정"이라며 "이를 계기로 심장질환의 법적 정의를 명확히 하고, 중증 환자에 대한 보장성 확대와 의료 인프라 확충을 포함한 구체적 개정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심뇌법 개정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배너 전문
2025-10-20 05:30:00학술대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