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클립스비엔씨, 22일부터 KIC 참가…CRO 역량 알린다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클립스비엔씨는 오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되는 '2025 KoNECT-MOHW-MFDS 인터내셔널 콘퍼런스(KoNECT-MOHW-MFDS INTERNATIONAL CONFERENCE, 이하 KIC)'에 참가한다고 11일 밝혔다. 2025 KIC는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과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 개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임상시험 컨퍼런스로,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1000여 명 이상의 제약·바이오·의료 전문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클립스비엔씨는 홍보 부스를 통해 ▲ 의약품 개발부터 후기 임상(LPS)까지 임상시험 전주기 수행 역량 ▲다양한 치료 분야 경험 ▲ 글로벌 백신 임상시험 수행 역량 등을 소개하며 국내 CRO의 경쟁력을 알릴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 연구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협력 기회를 확대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할 방침이다. 클립스비엔씨 관계자는 "이번 국제 컨퍼런스는 클립스비엔씨가 국내 CRO 산업의 중심으로 성장한 성과와 성장 잠재력을 다양한 고객사들에게 알릴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클립스비엔씨는 혁신적인 임상시험 파트너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임상시험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클립스비엔씨는 합성의약품, 바이오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에서 ▲컨설팅 ▲인허가 대행 ▲Medical Writing ▲Clinical Operation ▲Late phase(PMS, OS) Operation ▲Data Management ▲Statistics 포함한 one-stop full-service를 제공하는 국내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로 임상 각 분야의 풍부한 경험을 지닌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는 2025 KIC 기간 동안 서울 롯데호텔 2층에서 홍보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2025-09-11 09:17:58바이오벤처

입셀, 오노약품공업과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협력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입셀과 오노약품공업이 iPSC 기반 약물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입셀(YiPSCELL)은 일본 제약사인 오노약품공업과 iPSC 기반 약물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계약을 통해 YiPSCELL은 iPSC 유래 세포 및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iPSC 기반 질환 모델은 환자 맞춤형 세포 환경을 재현할 수 있어 기존 동물실험의 한계를 보완하고, 신약 개발 과정에서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임상 전 단계에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조기에 검증함으로써 개발 성공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입셀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회사 기술력과 플랫폼이 글로벌로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는 제약기업으로부터 검증 받았음을 의미한다"며 "향후 다양한 제약사와 협력을 확대하고 효능평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9-11 09:10:36바이오벤처

롯데바이오로직스,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역량 강화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에 건설 중인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의 상량식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에 건설 중인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의 상량식을 개최했다.이날 행사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박제임스 대표이사와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 겸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롯데건설 박현철 대표이사 부회장, 롯데건설 김진 CM사업본부 대표 등 롯데그룹의 주요 인사 및 임직원이 참석했다.이번 행사는 2024년 3월 착공에 돌입, 불과 1년 6개월 만에 골조 공사를 마무리 짓고 완공을 향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앞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10월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하며 송도 바이오캠퍼스 건립을 공식화한 바 있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각 12만 리터의 생산 능력을 보유한 3개의 생산시설로 구성된 송도 바이오 캠퍼스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제1공장은 항체 의약품 생산 시설로 2026년 완공, 2027년 상반기 내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1공장 완공 시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의 4만 리터 생산 역량를 포함해 총 16만 리터의 생산 역량을 확보하게 된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송도 바이오캠퍼스를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메카'로 육성한다는 청사진도 제시한 바 있다. 제1공장은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팩토리'로 건설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품질관리시스템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공정 유연성도 확보해 글로벌 잠재 고객사의 다양한 수요에도 폭넓게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최고 수준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갖춘 글로벌 탑 티어(Top-tier) CDMO기업으로서 성장해 나가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박제임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기념사에서 "송도 바이오 캠퍼스 제1공장 상량식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자,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의미있는 순간"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력 확보를 통해 글로벌 CDMO 시장을 선도하고,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아울러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 겸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은 "착공부터 상량에 이르기까지 건설과 바이오 임직원 여러분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해주신 덕분에 뜻깊은 날을 맞이했다"며,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그룹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미래를 대표하는 회사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와 인천 송도의 듀얼 사이트(Dual Site)운영 시너지를 극대화할 전망이다.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가 '항체부터 ADC까지 One Stop CDMO 허브' 역할을 한다면, 송도 바이오캠퍼스는 '대량 생산 거점'으로써 상호 보완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설립 4년차에 접어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에만 3건의 수주를 체결하며 글로벌 수주전에서도 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회사는 지난 2일 미국 소재 바이오 기업과 위탁생산 계약 체결 소식을 밝혔으며, 6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바이오 인터내셔널 2025'에서도 영국 바이오기업 오티모 파마(OTTIMO Pharma)와 항체의약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였다. 아울러 지난 4월에는 아시아 소재의 바이오 기업과 맺은 항체약물접합체(ADC) 관련 수주에 대해서도 알린 바 있다.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3월,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에 ADC 생산시설을 준공했다. 약 1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통해 최대 1,000리터(L) 접합 반응기를 포함한 통합된 생산 및 정제 라인을 갖췄으며, 자체적인 품질 관리(QC)시험 뿐만 아니라 특성 분석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항체 전처리 과정부터 자동화된 원료 무균충전까지 싱글유즈 시스템도 구축해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2025-09-10 10:48:44바이오벤처

퍼즐에이아이, 대웅제약과 스마트병상 사업 전략적 협업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퍼즐에이아이는 대웅제약과 전략적 협업을 맺고 투자 유치를 비롯해 여러 사업을 제휴해 나가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협업을 계기로 최근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스마트병상 사업 및 음성인식 의료 AI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대웅제약은 이를 위해 퍼즐에이아이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기로 하고, 재무적 투자자로 LSK인베스트먼트, 에이스톤벤처스, 경남벤처투자가 동반 투자했다.이번 제휴 및 투자유치는 퍼즐에이아이와 대웅제약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앞세운 차세대 스마트병원 솔루션 개발에 나서기로 한 뒤, 대웅제약이 보다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기로 한 것에 따른 것이다. 또, LSK인베스트먼트, 에이스톤벤처스 그리고 경남벤처투자 역시 퍼즐에이아이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대웅제약과 동반 투자를 결정했다. 퍼즐에이아이는 대웅제약과 협업를 통해 실질적 성과를 이룰 수 있는 오는 2026년에 코스닥 시장의 문을 두드릴 계획이다.퍼즐에이아이는 2018년 설립한 이래 자체 기술로 개발된 음성인식 엔진과 LLM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Agent 기능을 탑재한 의료 인공지능 음성인식 솔루션을 개발 및 판매 중이다. 특히, 미국의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과 함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솔루션도 개발에 돌입하는 등 음성인식 의무기록 분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이미지의 생성 영역 까지 개발 역량을 넓혀 헬스케어 전반에 걸친 인공지능(AI)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퍼즐에이아이 김용식 대표는 "대웅제약과의 협업과 전략적 투자는 의료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음성인식 의무기록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한 퍼즐에아이이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연구개발에 더욱 힘써 자체 기술력으로 미래형 병원 환경을 구축하고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02 10:13:02바이오벤처

암전문가들 똘똘 뭉친다...김흥태·김태유 교수 신약개발 MOU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이뮨온시아는 액체생검 전문기업 아이엠비디엑스와 신약 개발 및 정밀 의료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왼쪽부터 아이엠비디엑스 김태유 대표이사, 이뮨온시아 김흥태 대표이사양사는 기존의 임상시험 협력을 기반으로, 공동 연구개발, 임상데이터 활용, 기술교류, 사업화 등 바이오 헬스케어 전반에 걸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이뮨온시아는 아이엠비디엑스의 혈액순환종양 DNA(circulating tumor DNA, ctDNA) 분석 플랫폼 '알파리퀴드(Alphaliquid)'를 활용해 차세대 항암 신약 연구와 정밀진단 개발을 가속화한다. 특히 이를 통해 IMC-001과 IMC-002 신약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진단부터 치료까지 아우르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국가대표급 암전문가들이 세운 회사간 협약이라 본격적인 항암연구의 선진화를 연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뮨온시아 김흥태 대표는 국립암센터에서 폐암 두경부 치료 및 전문가로 활동했고,  아이엠비디엑스 김태유 대표 또한 서울의대 혈액종양내과를 거쳐 대한암학회 이사장을 거치면서 국내 항암 치료 발전에 기여했다. 이뮨온시아 김흥태 대표이사는 "이뮨온시아의 혁신적인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과 아이엠비디엑스의 첨단 액체생검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신약개발의 가치를 한층 높이고 정밀의료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이엠비디엑스 김태유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은 면역항암제 개발 과정에 혈액 기반 정밀진단을 접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 맞춤형 의료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아이엠비디엑스는 축적된 임상 경험과 액체생검 플랫폼을 토대로 신약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진단에서 치료까지 이어지는 통합 의료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뮨온시아는 유한양행의 자회사로 면역항암제 개발을 전문으로 하며, PD-L1 타깃 항체(IMC-001, 임상 2상 진행 중)와 CD47 타깃 항체(IMC-002, 임상 1상 진행 중)를 파이프라인으로 보유하고 있다. 지난 7월 IMC-001은 임상 2상 결과보고서(CSR)를 개발 완료했으며, 올해 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희귀의약품(ODD)지정을 신청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5-08-27 14:13:11바이오벤처

퍼즐에이아이, 최대 음성기술학회 인터스피치 2025 참가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퍼즐에이아이는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음성기술학회인 인터스피치 2025(Interspeech 2025)에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학회에 참가한 퍼즐에이아이 연구소 황지욱 소장과 김도현 연구원은 퍼즐에이아이 의무기록 솔루션 ‘GEN’에 적용된 첨단 키워드 감지(Keyword Spotting, KWS) 기술을 직접 발표했다. 특히, 소음이 많은 임상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의 음성인식과 음성명령을 가능케 한 성과를 인정받아 학계와 국내외 업계 관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퍼즐에이아이는 의료현장에서 과도하게 소요되는 의무기록 작성 시간을 줄이고, 의료진이 환자 진료에 더윽 집중할 수 있게하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그 결과 개발된 솔루션 ‘GEN’은 음성 입력부터 요약·생성, 문서 완성은 물론 AI Agent 까지 지원하는 올인원(All-in-one) 플랫폼으로, 현재 국내 주요 대학병원을 비롯한 약 2백여개의 병·의원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이번에 발표된 첨단 키워드 감지 기술은 'GEN' 솔루션의 핵심 요소로, 의료진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록 시작', '검사 추가' 등의 간단한 음성 명령만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수술실, 응급실, 중환자실 등 소음이 많은 의료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핸즈프리 문서화를 실현한 최초의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퍼즐에이아이 김용식 대표는 "핸즈프리 의무기록은 의료진의 기록 부담을 크게 줄이고 환자 중심 진료 시간을 확대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면서 "이번 인터스피치 발표를 통해 국내외 관계자들의 호평과 높은 관심을 동력삼아 글로벌 의료 AI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25 15:31:56바이오벤처
인터뷰

"의료진-개발자 의기투합, 환자 정보비대칭 해결해야죠"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고령 환자가 혼자 병‧의원 진료를 받는 경우 가족, 보호자들과 진료 내용을 제대로 공유하지 못해 재차 이를 의료기관을 문의하는 등 불편을 겪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초고령 사회 속 의료진과 환자 간 정보 격차를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솔루션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 있다.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기업 히포크랏랩스가 개발한 AI 기반 진료 기록 앱 '데이터히포(DataHippo)'가 그것이다. 히포크랏랩스 최현섭 대표는 AI 기반 진료 기록 앱인 '데이터히포'가 의사와 환자 간 라포 형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22일 히포크랏랩스 최현섭 대표를 만나 AI 기반 진료 기록 앱인 '데이터히포' 개발 배경과 향후 활용 확대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의료약자 해소 '의료진-개발자' 의기투합여기서 데이터히포는 의료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진료 녹음 앱입니다. 환자가 의료진의 동의 하에 진료 내용을 녹음하면, 해당 내용을 AI가 요약하고 의료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준 문서 형식인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포맷으로 자동 정리해 준다. 정리된 진료 기록은 음성으로 다시 들을 수 있고, 보호자 또는 의료진에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앱 개발은 의료진의 현장 경험이 밑바탕이 됐다. 고관절 수술분야 권위자인 권순용 서울성모병원 교수(정형외과)가 의료약자인 환자들을 위한 진료 기록 앱 필요성을 느끼고 공동개발에 참여한 것.최현섭 대표는 권순용 교수를 통해 이러한 의료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확인, 이를 개선하는 데 AI 기술을 접목했다. 그는 "초고령화 사회 속에서 의료진과 환자 간의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제대로 서비스가 정착한다면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벌어질 수 있는 법적, 행정적 문제를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와 의사 간 라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이에 따라 데이터히포는 지난 7월부터 서비스 공급을 시작했다. 요약된 진료 내용을 스마트폰 앱 내에서 언제든 다시 열람할 수 있다. 앱 내에 포함된 기능을 통해 해당 진료 내용과 관련된 질병 정보나 치료 자료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다.최현섭 대표는 "데이터히포는 환자는 진료 내용을 요약해 기록하고, 쉽게 다시 보고, 들을 수 있다"며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정확한 내용을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어,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막는다. 진료 내용에 기반해 질병 정보나 관련 자료를 AI가 자동으로 연결해주고, 궁금한 점을 다시 질문할 수 있는 Q&A 기능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그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 모든 데이터가 환자의 자산으로 남는다는 점"이라며 "환자가 개인의 의료 데이터를 보관하고 활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서울성모병원 권순용 정형외과 교수는 임상현장 경험을 토대로 AI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히포' 개발에 직접 참여했다. 개인정보 강점 바탕 의료약자 대상 영역확대데이터히포의 또 다른 강점을 평가한다면 환자 개인정보 면에서의 차별성이다.  자체 보유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적인 강점을 활용,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는 뜻이다.최현섭 대표는 "히포크랏랩스는 개인이 헬스케어 데이터의 주권을 가지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며 "모든 데이터 처리 과정은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외부로의 데이터 전송은 환자의 명시적 동의가 없으면 절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그렇다면 최현섭 대표가 구상하고 있는 중장기 계획은 무엇일까. 초고령화 사회 속 고령 만성질환자에 초점이 맞춰진 서비스를 대상을 확대 가능하다. 가령,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 국내 의료현장을 찾은 외국인 환자 등도 서비스를 활용할 수 시스템을 고도화 할 수 있다.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고령층 환자뿐만 아닌 젊은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료서비스로도 확장이 가능하다.그는 "데이터히포는 초고령화 사회를 맞아 의료진과 환자간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의료 데이터관리의 주권을 개인에게 되돌리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진료실에서 발생한 대화, 즉 의료정보의 첫 생성 지점을 구조화된 형태로 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게 해 개인의 데이터를 자산처럼 보유하고, 이는 만성질환 관리, 정밀의료, AI 기반 치료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미래의료의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22 05:30:00바이오벤처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 진입장벽…전문가 컨설팅 '해법'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을 준비하는 의료기관이 늘고 있는 가운데 지정 절차의 복잡성 등 '진입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전문 컨설팅이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18일 비케이디(BKD) 주식회사는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 신청 관련 컨설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2025년 2월부터 첨생법 개정으로 기존 중증 희귀난치성 질환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재생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이에 따라 다양한 의료기관이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을 받기 위해 나섰지만 행정 절차상의 복잡함이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실제로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세포·유전자 치료 관련 시설·장비 기준 충족 ▲전담 인력 구성 ▲안전관리·품질관리 체계 마련 ▲임상연구·시술 프로토콜 검증 등 다단계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특히 보건복지부 지정 심사 과정은 서류·현장 심사를 모두 포함하며, 각 단계마다 규정에 부합하는 세부 자료와 인증을 요구한다.이에 비케이디 주식회사는 이러한 절차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병원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키로 했다. 초기 단계에서 병원의 인프라·인력 현황을 분석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고, 구비서류 작성과 기준 충족을 위한 방법론을 지원한다.또한 지정 심사 대비 모의 점검과 현장 실사 대응까지 포함해 '신청 준비–심사 통과–운영 안정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비케이디는 재생의료 분야에서 15년 이상 사업 경험을 축적, 국내외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포치료제·면역세포 치료제 위탁생산 서비스도 병행하고 있어 지정 과정 컨설팅은 물론 지정 이후 병원이 안정적으로 재생의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비케이디 관계자는 "첨생법 개정으로 지정 요건은 완화됐지만, 여전히 심사 과정은 전문적인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며 "제도 변화 초기에는 지정 기관 수가 제한적이어서 시장 선점 효과가 크기 때문에, 조기 준비가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2025-08-18 10:59:21바이오벤처

입셀, 화장품 연료 해외 수출·글로벌 거래 경쟁력 강화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입셀은 자사가 개발한 iPSC 배양액과 iPSC 유래 중간엽줄기세포(iPSC-MSC) 배양액이 최근 미국 화장품협회(PCPC)가 발간하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ICID)에 신규 등재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등재로 두 원료에는 국제 표준 성분명(INCI)이 공식 부여됐다.회사에 따르면, INCI명 부여로 미국·유럽·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전성분 표기 요건을 충족하기가 쉬워져 글로벌 화장품 제조사와의 거래 및 해외 수출 절차가 간소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ICID 등재는 원료의 명칭·정의·용도를 국제 기준으로 표준화하는 절차로, OEM·ODM 협력과 현지 등록 과정에서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PSC는 성체세포를 역분화해 만든 줄기세포로, 이론상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다. iPSC 배양 과정에서 세포가 분비하는 액체(배양액)에는 단백질, 펩타이드, 아미노산, 성장인자 등 생물학적 활성 성분이 포함된다. iPSC에서 분화된 iPSC-MSC의 배양액 역시 피부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춘 성분 구성을 갖춰 화장품 원료로서 활용도가 높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입셀은 이번 등재를 위해 성분명 제안서, 정의, 용도, 원료 특성 등 관련 자료를 PCPC 심사위원회에 제출해 심사를 거쳤다. 회사는 ICID 등재를 발판으로 글로벌 화장품사와의 원료 공급 및 공동 연구를 확대하고, 첨단 바이오 기반 프리미엄 원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한편, 입셀은 두 배양액이 함유한 다양한 활성 성분을 바탕으로 △피부 탄력·윤기 개선 △외부 자극 완화 △피부결 개선 △피부 장벽 강화 등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5-08-13 14:26:29바이오벤처

휴사이언스-디자인바이제이, 임상연구 솔루션 협력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임상시험 검체 분석기관 ㈜휴사이언스(대표 조권)와 ㈜디자인바이제이(대표 정보영)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내수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8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고도화된 임상시험 검체 분석 전문성과 검증된 사업전략 및 사업개발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신약개발을 추진하는 기업들에게 보다 정교하고 실질적인 임상연구 전략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 확대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를 본격화할 계획이다.조권 휴사이언스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임상시험 분석 역량에 디자인바이제이의 사업개발 역량을 더해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의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이며,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신뢰 받는 파트너가 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정보영 디자인바이제이 대표는 “디자인바이제이만의 전략 기획력과 BD(사업개발) 자문 경험을 통해, 휴사이언스가 GCLP기관으로서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전략을 구축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휴사이언스는 국내 임상시험 검체 분석기관 최초로 한국인정기구(KOLAS)의 ISO 17025 공인시험기관 자격 취득과 아울러 국내 센트럴 랩 최초로 미국병리학회(CAP) 인증을 획득했으며, 디자인바이제이는 국내외 유수 기업을 대상으로 다수의 라이선스 인/아웃, M&A및 해외 파트너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25-08-11 10:09:49바이오벤처

루카스바이오, '중증 코로나19 완치 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

[메디칼타임즈=허성규 기자]루카스바이오(대표이사 조석구)는 자체 개발한 면역세포치료제 의 '중증 코로나19 완치' 임상연구 결과가 미국감염학회(IDSA) 공식 학술지 'Clinical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됐다고 31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치료 방법이 없었던 코로나19 장기 감염자를 환자 자신의 T세포를 활용해 만든 치료제로 완치 시킨 세계 최초의 임상 사례로, 세계 최고 권위의 감염질환 학술지에 소개되며 치료 효과와 과학적 기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됐다는 설명이다.해당 연구는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이래석 교수 연구팀에서 면역 저하 환자의 중증 코로나19 치료를 목적으로 자가 바이러스 항원특이 T세포 치료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뤄졌다.그동안 혈액암, 이식이나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 고령자 등으로 면역이 저하된 코로나19 환자들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해도 회복이 어려워, 장기 감염으로 이어지고 중증 폐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코로나19 바이러스로 중증 폐렴을 앓는 혈액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항원 특이적 T세포 치료제 'LB-DTK-COV19'를 투여한 결과, 환자 3명 모두에서 바이러스 음성 전환 및 폐렴 병변 소실 등 명확한 치료 효과를 보이며, '100% 완치율'이라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는 것.'LB-DTK-COV19'는 코로나19 환자 자신의 혈액을 채취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기억 T세포만을 체외에서 증식시켜 다시 투여하는 방식의 맞춤형 정밀치료다. 자신의 T세포로 만든 치료제인 만큼, 추적 관찰에서도 환자 체내에서 장기간 생존하며 면역 반응을 유도한 것이 확인됐다.루카스바이오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른 치료계획 승인을 목표로 관련 절차도 준비 중이다.특히 최근 코로나19 재확산과 조류 인플루엔자 차기 펜데믹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이 치료제의 플랫폼 기술인 'LB-DTK'는 다양한 신종 및 변종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는 입장이다.한편, 루카스바이오는 면역세포와 줄기세포 기반의 치료 플랫폼 기술 3종을 보유한 바이러스 면역치료 전문기업이다. 특화된 기억T세포를 활용해 다수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항암·염증 분야의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CMV(거대세포바이러스),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 BKV(BK 바이러스) 등 3종의 잠복 바이러스를 동시 겨냥하는 다중 바이러스 치료제 'LB-DTK-MV'가 있으며, 지난 4월 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은 바 있다.
2025-07-31 15:19:37바이오벤처

한국의 머크를 꿈꾸는 아이티켐...기업발표회서 경쟁력 공개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아이티캠 김인규 대표이사가 22일  의약·전자소재를 아우르는 첨단소재 CDMO 기업 아이티켐(대표이사 김인규)이 한국의 머크(독일머크기업)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김인규 아이티켐 대표이사는 22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회사의 핵심 경쟁력과 상장 이후 추진할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밝혔다.이날 간담회에는 ▲의약품 및 디스플레이 소재 사업 현황 ▲의약품 CDMO 역량과 기술 경쟁력 ▲산업별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향후 투자 및 사업 확장 계획 등을 중심으로 아이티켐의 비전과 미래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언론에 공개했다.아이티켐은 의약품, 디스플레이, 기타(이차전지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소재 CDMO 전문기업을 표방한다.  이중 의약품은 중간체와 원료의약품 생산이 주요 사업으로 전체 60%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탑티어(Top-Tier)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독립계 CDMO 기업으로서 고객 맞춤형 공정 대응과 기술 유출 리스크 최소화라는 구조적 강점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김 대표는 "한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제약사들이 공급망 다변화를 적극 추진하면서 새로운 생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급망 안정성이 중요해지는 흐름 속에서 한국은 신뢰도 높은 생산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CDMO 시장의 성장세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아이티켐은 이러한 외부 환경에 발맞춰 R&D, 공정개발, 양산, 품질관리에 이르는 전주기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25건 이상의 공정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실제 매출로 연결시키는 등 기술 사업화에도 성공한 바 있다.  SK바이오팜을 주요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앞으로 올리고펩타이드,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와 같은 의약품 원료양산화에 집중할 계획이다.전체 사업의 40%를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 역시 OLED 중심의 시장 재편과 AI 기반 고성능 디바이스 수요 증가에 따라 구조적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사업확대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현재 아이티켐은 삼성 LG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소재 1차 벤더 4개사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OLED 소재 생산설비는 1단계 준공을 마친 초기 단계로 향후 설비 확대와 납기 대응력 제고를 통해 외형 성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최대 OLED 소재 기업인 UDC(Universal Display Corporation)의 계열사인 UDC Ventures로부터 아시아 최초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고부가 소재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아이티켐은 이러한 고객사 기반의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충북 괴산에 대규모 설비 확장 투자를 진행 중에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 공장은 2단계 공사에 착수했고 의약품 소재 공장은 공모 자금을 활용해 내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설비는 글로벌 고객사들의 요청을 반영해 기획된 만큼 준공과 동시에 높은 가동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김 대표이사는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회사가 삼성과 LG와 같은 대기업을 모두 고객사로 두는 경우가 흔지 않다. 이런 사례는 기술경쟁력의 우수함을 의미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기술 이전 기반의 신사업 전개도 본격화되고 있다. 아이티켐은 주력 제품인 당뇨병 치료제 BCBB의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올리고펩타이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원료의약품에 대한 기술을 이전받아 공동 공정 개발과 양산에 성공했다. 해당 물질은 비만, 당뇨, 항암, 면역치료, 백신, 만성질환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 활용될 수 있어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 특히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영역으로의 적응증 확대가 본격화되면 향후 의약품 부문 실적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아이티켐은 중수 재활용 기술의 국산화에도 성공하며 디스플레이 사업에서의 기술 독립 기반을 구축했다. 순도 80% 수준의 폐중수를 고순도(99%)로 승급할 수 있는 승급기를 개발해 제품화했고 올해 중 추가 설치가 예정되어 있어 국내 전체 중수 수요의 약 22%를 자사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과 더불어 기술력 중심의 실질적 성과를 동시에 확보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김인규 대표이사는 “아이티켐은 기술 경쟁력과 유연한 생산체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고객들과 함께 성장해왔다”며, “이번 상장을 계기로 설비 고도화와 기술 인력 확보에 더욱 속도를 내고 지속 가능한 첨단화학소재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아이티켐은 이번 상장을 통해 2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공모가는 14,500원~16,100원, 총 공모금액은 290억 원~322억 원 규모다. 수요예측은 7월 17일~23일까지, 일반 청약은 7월 28일~29일 양일간 진행된다. 상장 주관사는 KB증권이 맡았다.
2025-07-22 13:39:22바이오벤처

지아이이노베이션, 에임드바이오와 임상연구 협력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지아이이노베이션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전문기업 에임드바이오와 교모세포종(GBM, Glioblastoma Multiforme) 치료를 위한 임상연구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왼쪽부터 지아이이노베이션 장명호 대표, 에임드바이오 허남구 대표(지아이이노베이션 제공)이번 MOU는 재발한 교모세포종 환자 중 방사선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지아이이노베이션의 면역항암제 GI‑102의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연구를 통해 가속승인 획득을 목표로 한다. GI-102는 이미 전임상 교모세포종 모델에서 항암 활성을 확인한 바 있다. 교모세포종은 WHO 뇌종양 분류 Ⅰ‧Ⅱ‧Ⅲ‧Ⅳ 등급 중 가장 악성인 Ⅳ등급인 대표적인 악성 중추신경계 종양이다. 재발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고, 아직까지도 효과적인 치료제가 부족한 미충족 수요(unmet need)의 질환으로 꼽힌다.이번 MOU는 교모세포종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삼성서울병원 남도현 교수가 창업한 에임드바이오가 임상개발을 주도하는 형태의 협력이며, 향후 상업화에 따른 수익은 양사 간 사전 협의된 비율로 분배될 예정이다.지아이이노베이션 장명호 대표는 "이번 협약은 임상 2상을 통해 조건부 승인을 받아 조기상업화를 목표로 한다"며 "에임드바이오와 새로운 치료법의 상용화를 통해 교모세포종 치료의 글로벌 표준요법으로 자리잡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에임드바이오 허남구 대표는 "교모세포종과 같은 고난도 질환 영역에서 임상적 유의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이 양사 모두에게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2025-07-22 11:15:35바이오벤처

글로벌 제약사가 선택한 단백질 분석기업 프로티나 IPO 도전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프로티나 윤태영 대표가 15일 기업공개 간담회에서 자시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바이오벤처기업인 프로티나(대표 윤태영)가 국내 독보적인 단백질 분석 기술 능력을 앞세워 주식시장에 도전한다. 회사는 15일 서울 여의도 CCMM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성장 전략과 비전 등을 밝혔다.지난 2015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원창업으로 설립된 프로티나는 세계 최초로 단일분자 수준의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SPID(Single-molecule Protein Interaction Detection) 플랫폼’을 상용화한 PPI 빅데이터 기업이다. SPID 플랫폼은 비정제 시료에서도 분석이 가능한 PPI 전용 분석칩 ‘Pi-Chip’, PPI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량 획득하는 장비 ‘Pi-View’, 그리고 획득된 데이터를 자동 검출·분석하는 소프트웨어 ‘Pi-InSight’로 구성되어 있으며 극한의 민감도 수준의 단일분자 PPI 분석이 가능하다. 프로티나는 이를 기반으로 임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인 'PPI PathFinder™'와 항체-항원 빅데이터 솔루션인 ‘PPI Landscape™’을 상용화해 신약 개발 초기부터 임상 단계까지 신약 개발 전주기에 걸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기존 단백질 바이오마커 뛰어넘은 PPI PathFinder프로티나의 PPI PathFinder™는 임상용 PPI 바이오마커 개발 솔루션이다. 해당 기술력은 기존에 없던 혁신 기술로, PPI 복합체를 바이오마커로 사용해 약물의 작용 기전 분석, 약력학(Pharmacodynamics) 분석을 통한 최적 투여 용량 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여 약물의 반응성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 뿐 아니라, 바이오마커 기반 동반진단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184개의 PPI바이오마커 개발 가능성을 검증했다. PPI PathFinder™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의 Project OPTIMUS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기술적 강점을 가지고 있다. 지난해 8월 최종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프로젝트 옵티머스(Project Optimus)는 항암제의 적정 용량을 찾기 위한 FDA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기존의 고용량 사용 원칙에서 벗어나 최적 용량 수준(optimal dose level)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PI PathFinder™를 활용하여 아주 소량만 나오는 임상검체에서 약물이 표적 단백질과 실제로 얼마나 결합하고 작용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FDA가 요구하는 인체 기반의 표적 결합(Target Engagement) 입증에도 직접 활용된다. 프로티나는 이런 기술적인 강점을 기반으로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이 기술을 임상시험에 적용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BCL-2 표적 항암제인 베네토클락스를 투여받은 환자의 임상 검체를 분석하고 베네토클락스의 환자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해, 2026년에 CLIA랩 인수를 통해 세계 최초의 베네토클락스 진단제품을 출시해 혈액암 환자의 미충족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항체-항원 빅데이터 생성 솔루션’ PPI Landscape™프로티나의 PPI Landscape™는 고유의 SPID 플랫폼을 이용해 생성한 항원-항체 간 PPI빅데이터 기반으로 항체 최적화부터 항체 설계까지 가능한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을 활용해 기존 항체를 최적화하여 가치를 높이고, 이미 허가된 블록버스터급 항체의약품의 개량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개선한 신약 후보물질로 재설계하는 항체 신약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PPI Landscape™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은 소량의 항체를 고속 탐색(High-throughput screening)하여 항체의 결합력, 생산성, 안정성 등 개발 가능성과 관련된 포괄적 데이터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최적화해,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생산성, 안정성, IP 확보까지 가능한 항체 신약 후보를 4주 이내에 높은 확률로 도출할 수 있다.기존의 항체 치료제 개발에서는 초기 후보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항원을 제작한 뒤 동물 모델을 통해 항체 생산을 유도하거나, 제작한 항원을 미생물이 발현하고 있는 항체 라이브러리(phage display)에 넣어 선별하거나, 이미 항체가 생성된 사람의 B세포를 분리해 항체 유전자를 추출하는 방식 등이 사용됐다. 이 같은 방식들은 초기 물질을 발굴(Discovery)하는 데만 최소 6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 여부를 보장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PPI Landscape™는 항체의 상보적 결정 영역(CDR) 내에서 결합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핵심 부위(hot-spot)를 식별할 수 있다. CDR은 항체가 특정 항원(질병을 유발하는 물질)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영역이다. 이런 항원-항체 빅데이터에 기반해 목표한 물성이 우수한 항체 서열을 신속하게 도출하고, 표적과 적응증에 최적화된 항체를 설계할 수 있다. 현재 다수의 국내 탑 신약개발사와 계약을 통해 항체 최적화 및 공동개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프로티나는 2024년 4월에 서울대 컨소시엄(서울대 백민경 교수, 정준호 교수)과 함께 과기부 주관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항체은행 구축’ 국책과제(3년 150억원)에 선정되어 ‘AI 항체 신약개발 플랫폼’도 개발 중이다. 프로티나는 이를 위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50만 PPI 빅데이터를 현재까지 쌓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사들 보다 차별화된 플랫폼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는 올해 말에 공개될 예정이다.특히 자체 개발 파이프라인 중 공개된 후보물질인 항-TNFα 바이오베터는 전임상 실험에서 기존 의약품인 ‘휴미라(Humira)’ 대비 20~100배 적은 투여 용량에서도 동등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해 현재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의를 진행중에 있다. PPI 바이오마커 개발 이어 진단 제품 등 수익모델 확대프로티나는 PPI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을 넘어 진단 제품, 항체신약 공동개발, 자체 파이프라인 개발 등으로 수익모델을 다각화하며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동안 쌓아온 글로벌 제약사 네트워크와의 협업을 확대해 PPI바이오마커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재 글로벌 제약사가 진행중인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고객사와 동반진단 제품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PPI Landscape™를 기반으로 항원-항체 결합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동개발 및 자체 신약개발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항체 최적화 서비스로 검증된 기술력에 기반해, 2026년부터는 공동 개발과 자체 개발 파이프라인을 통해 기술이전에 따른 선급금(Upfront), 단계별 기술료(Milestone) 및 향후 경상기술료(Royalty) 수취를 목표로 할 예정이다. 세계 최고의 PPI 빅데이터 생성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포부다.윤태영 대표는 프로티나의 윤태영 대표는 “프로티나의 PPI 빅데이터 생성 플랫폼은 단일분자 수준의 PPI를 정제 과정 없이 고속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PPI 바이오마커 개발부터 항체 신약개발까지 신약개발 전주기에 활용한 가능한 게임체인저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프로티나의 총 공모 주식수는 150만주로, 공모가 희망 밴드는 1만1000원~1만4000원이다. 총 공모 규모는 165억원~210억원이며, 예상 시가총액은 약 1190억원~1510억원 사이가 될 전망이다. 프로티나는 이번 상장을 통해 유입된 자금으로, PPI 바이오마커 기반 베네토클락스 진단 제품의 출시 및 진단 서비스를 위한 미국 내 CLIA 인증 랩의 인수를 통해 PPI PathFinder™의 수익 사업화를 촉진하는 한편, PPI Landscape™ 기반 항체 신약의 공동개발 및 자체 개발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라이센싱아웃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2025-07-15 13:59:50바이오벤처

펩트론,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품목허가 획득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펩트론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제품사진.루프원은 펩트론이 자사의 장기 지속형 치료제 플랫폼을 적용, 개발해 승인 받은 최초의 의약품으로 자체 생산하는 첫번째 상업 생산 제품이다. LG화학과 체결한 루프원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에 따라 펩트론은 제조를, LG화학은 국내 판매를 담당하게 된다.양사는 약 8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는 국내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LG화학은 성장호르몬 제제 '유트로핀'을 통해 국내 소아 내분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연계 질환인 성조숙증 시장에서도 높은 시너지가 기대된다.루프원은 현재 국내 출시된 류프로렐린 제제 중 유일하게 일본 다케다제약의 오리지널 제품 '루프린'과의 생물학적 동등성(BE)을 입증한 제품으로 일본 외 지역에서는 최초로 선진국 기준의 약물동력학(PK) 동등성까지 맞춘 의약품이다.루프원은 루프린 대비 약물의 입자 크기 및 주사 게이지를 줄여 품질과 투약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기존 경쟁 제품 대비 뛰어난 안정성을 확보하여 최대 36개월의 유효기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의료 현장에서의 공급 안정성과 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다케다제약의 루프린은 세계적인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으로, 출시 후 30여년간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생물학적 동등성까지 재현한 제네릭 의약품은 아직까지 없는 상황이다.이에 펩트론은 국내 시장을 넘어 연간 2조 7000억원 규모의 루프린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들과 해외 판권 논의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펩트론 관계자는 "이번 루프원의 품목허가 획득은 펩트론이 독자 개발한 '스마트데포(SmartDepot)' 플랫폼 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상업적 대량생산 단계로 성공적으로 전환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특히, 루프원의 본격적인 생산 준비를 마친 오송바이오파크 공장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기반이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펩트론의 근본적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루프원의 글로벌 시장으로의 수출과 주요 파이프라인의 기술수출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2025-07-15 11:59:53바이오벤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