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은 3일 지난 달 진행한 의·한 협진 2단계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를 오는 7일까지 연장키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시한 의·한간 협진 시범사업은 동일 질병에 대해 의과적 진료와 한의과적 진료를 함께 적용해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1차 시범사업은 전국에서 총 44개 의료기관의 응모를 받아 내부 심의를 거쳐 8개 국공립 병원과 5개 민간병원 등 총 13개 기관을 선정·운영해 왔다.
심평원은 2차 시범사업에서는 근골격계 질환과 신경계 질환, 손상 및 외인성 지환, 신생물 및 대상포진, 당뇨병 등 협진대상 질환 선정한 후 국공립병원과 민간병원을 포함해 약 50개 이내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심평원은 지난 달 17일까지 참여기관 공모를 마치고 11월부터 본격적인 시범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당초 계획과 달리 오는 7일까지 참여기관을 추가로 공모하기로 계획을 수정한 상황.
이와 관련해 최근 의협을 필두로 의료계는 그동안 반대했던 한의학 관련 정책들이 잇따라 추진되자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의·한 협진 시범사업 참여에 보이콧 입장을 밝히기도 해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제기돼 왔다.
하지만 심평원은 참여기관 추가모집은 참여기관 부족이 아닌 지역 간 참여기관 불균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심평원은 의협 등 의료계가 반대했지만 참여를 신청한 의료기관 수는 시범사업 시행에 지장을 줄만큼 적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심평원 수가개발실 관계자는 "자칫 참여기관을 추가로 모집한다고 했기에 신청 의료기관 수가 너무 적다고 볼 수 있는데, 시범사업 시행에 차질을 줄 만큼은 아니다"라며 "다만, 지역별 균형이 맞지 않아 추가모집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범사업의 경우 지역안배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초 50개 이내로 참여 의료기관을 지정하기로 했는데 오히려 그 보다 상회할 수도 있다"며 "의료계의 반대 목소리가 높다는 점은 알지만 현장에서는 의·한 협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의료기관이 적지 않은 것 같다"고 내다봤다.
한편, 의·한 협진 2차 시범사업에 따른 수가는 최초 1차 협진 진료료(1만 5100원), 지속협진 진료료(1만 940원)를 의과, 한의과에 각각 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