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0일 예정된 의사총궐기대회의 성공을 위해 시도의사회가 자체적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중앙 비대위에 힘을 싣고 있다.
회원 관심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초기지'를 자처하고 나선 것.
하지만 궐기대회 개최 장소, 운영력 등에 대해서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높아 궐기대회까지 남은 한 달여의 시간 동안 비대위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울산시의사회를 시작으로 전국 시도의사회가 자체적으로 비대위를 구성하고 나섰다.
비대위 운영 방식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던 16개시도의사회장단이 의협 비대위 방침에 적극 협조하기로 결정하면서 자체적으로 비대위를 구성하고 적극 지원을 약속하고 있는 것이다.
울산시의사회 변태섭 회장은 "처음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하겠다는 계획만 발표됐는데, 결국 인원 동원은 시도의사회가 해야 할 일"이라며 "회원도 뭐 때문에 서울까지 가야 하는지 납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1순위는 홍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직을 구성해서 적극적으로 도와주자는 쇄신의 의미로 비대위를 구성했다"며 "홍보자료를 정리해서 이번 주부터 우편 발송하고 홈페이지, 전화를 통해서도 적극 관심을 촉구하려고 한다. 일주일 뒤부터는 반 모임을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문재인 케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회원도 알고 있지만 세세한 내용은 잘 모를 수 있다"며 "최대한 문제점이 뭔지 의사회에서 알려 회원들이 문제의식을 갖고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의사회도 8일 시군회장단을 비롯해 의장단, 감사단 등 지도부가 모여 문재인 케어의 문제점 등에 대해 스터디를 가진 후 다음 주부터 반 모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의사회 역시 7일 자체 비대위를 발대식을 갖고 본격 대회원 홍보에 나설 예정이다. 이 밖에도 서울시의사회, 대전시의사회, 부산시의사회 등에서 비대위 구성을 계획 중이다.
경북의사회 김재왕 회장은 "의협 비대위 구성 초반에는 어떤 방향이 좋을지에 대해 난상토론도 있었지만 지금은 총궐기대회가 결정된 만큼 한목소리를 내는 게 맞다"며 "문재인 케어에 대해 집행부가 먼저 깊이 있는 공부를 한 뒤 구체적인 궐기대회 참여 경비, 운송수단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명칭은 시도의사회 비대위지만 사실상 의협 비대위의 지원 역할을 위한 조직인 셈이다. 각 시도의사회 비대위는 12월 10일 총궐기대회 성공을 위해 분위기를 '붐업'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예정이다.
중앙 비대위에 우려 목소리도 여전 "꼼꼼한 준비가 관건"
시도의사회 지원 분위기에도 마냥 분위기가 고무적이지만은 않다. 총궐기대회 개최 준비 과정에서 미숙한 부분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A의사회장은 "성공적인 집회가 되려면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도록 장소가 확실해야 한다"며 "지방에서 가는 사람들은 접근성이 좋아야 하는 만큼 고려 사항에 들어가야 하는데, 12월 10일 궐기대회 장소로 예정된 곳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B의사회장도 "행사라는 게 중앙을 향해 모든 사람이 집중할 수 있어야 하는데 (비대위가 공표한 장소는) 몇 사람을 위한 곳"이라며 "전국에서 올 관광버스를 주차할 곳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상과 투쟁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는 의협 비대위의 모습도 불안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C의사회장은 "시도의사회에서는 중앙 비대위 지원을 약속했지만 정작 중앙에서 협상과 투쟁을 놓고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며 잡음이 나오고 있다"며 "어디서나 협상과 투쟁은 함께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D의사회장 역시 "투쟁을 외치는 쪽이나 협상을 이야기하는 쪽이나 속을 들여다보면 같은 결론"이라며 "의료계 요구안을 정부가 0과 100사이에서 수용할 텐데 최종 결정할 때까지는 반대 의지를 강하게 보여줄 필요는 있다. 투쟁 속에서도 협상은 공존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