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밤 11시 서울의 한 주취자 응급의료센터(이하 응급의료센터). 예진실에서 119 구급대원에게 실려 온 주취자를 살피는 간호사의 얼굴에는 고단함이 묻어난다. 반면 호송 침대에서는 술에 취한 환자가 간호사의 말은 듣지 않고 숙면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응급의료센터에서 일상이 돼 버린 지 오래다.
최근 이 같은 서울시 응급의료센터 모델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응급실 의료인 폭행사건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찰이 늘 상주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일부 환자단체는 주취자 폭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도 이 같은 경찰 상주 응급의료센터 모델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메디칼타임즈는 지난 18일 서울의 한 응급의료센터를 찾아 응급실 의료진 및 상주 경찰들의 일상을 들여다봤다.
어색한 의료진과 경찰
기자가 찾은 응급의료센터는 입구에서 경찰이 대기하며, 주취자 및 행려자가 이송될 경우 신원 확인 및 혹시 있을지 모를 난동이나 폭력을 대비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의료진은 경찰이 상주함에도 애써 만든 주취자 대응 프로토콜(Protocol)을 단 한 번도 지켜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
응급실에 상주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노숙인 구호 체계와 주취자 대응 체계를 만들었는데 단 한 번도 이 같은 체계로 해본 적이 없다"며 "경찰이 응급의료센터 입구에 상주하는데 제대로 된 신분확인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주취자 응급의료센터를 운영 중이지만 그동안 경찰의 태도는 문제가 있었다"며 "물론 모범이 되는 경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상주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 같다. 심지어는 경찰이 보는 앞에서 여자 인턴이 주먹으로 얼굴을 맞은 적도 있다"고 경찰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해당 사건으로 인해 이 응급의료센터는 의료진과 상주 경찰 사이의 마찰을 빚어 논란이 된 바 있다. 다만, 의료진은 최근 익산 응급실 의료인 폭행 사건 이 후 경찰이 능동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실제로 이날 밤 11시 이 후부터 119 구급대원이 이송해 온 주취자 여럿이 응급의료센터에 등장하자 경찰은 근처에 머물며 혹시 있을지 모르는 폭력 및 난동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주취자를 두고 의료진과 상주 경찰과의 그 어떤 대화도 볼 수 없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최근 응급실 의료진 폭행 사건을 계기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데 경찰이 상주하는 것은 그래도 도움이 된다"며 "주취자가 의료진은 겁을 먹지 않지만 경찰을 보게 되면 조용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취자 강력 대응, 우리도 하고 싶은데…"
새벽 12시가 지날 무렵. 두부손상 환자를 119 구급대원이 이송해왔다. 술을 마셨냐는 간호사의 질문에 환자는 혀가 꼬인 발음으로 "마시지 않았다"고 간호사와 언쟁을 벌인다.
이를 지켜보는 상주 경찰은 어떤 생각일까.
기자 옆에 있던 한 상주 경찰은 "우리도 테이저건을 소지하고 있다. 그러나 주취자가 난동을 벌이거나 폭력을 할 경우 사용해야 하는데 자칫 민사적으로 휘말릴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보다 능동적인 대응을 펼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적극적이 대응을 펼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해당 상주 경찰은 2016년도부터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지만 단 한 번도 테이저건을 사용한 경험이 없다.
함께 있던 다른 상주 경찰도 "우리가 개입할 때는 첫째로 주취자가 자해 또는 난동을 벌일 경우와 둘째로 병원 시설을 파손할 경우"라며 "마지막으로 기타 경찰의 초동 조치가 필요할 때 인데 이 경우가 경찰이 대응해야 할지 말지 고민이 되는 부분"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당장 주취자가 의료진에게 폭언을 할 때 경찰이 나서 주취자를 제압해야 하는가"라며 "과잉조치로 문제가 될 수 있지 않겠나. 자칫 인권위에 제소가 될 수도 있고 이와 관련된 사례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처지는 병원 자체 보완직원도 마찬가지.
3인 2교대로 운영되는 병원 보안직원들도 주취자가 폭력을 행사해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고 말한다. 더구나 주취자 폭력에 의해 부상을 당해도 치료비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센터 보안직원은 "주취자가 보안직원의 뺨을 때려도 말로 제어할 수밖에 없다. 결국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주취자가 말로 한다고 듣겠나. 이 때문에 보안직원에도 상습 주취자를 일컫는 블랙리스트가 있을 정도"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경찰 상주 모델 발전하려면…"
그렇다면 이들이 바라보는 응급실 폭력 예방 방법은 무엇일까.
의료진은 무엇보다 경찰이 상주하는 만큼 주취자 폭력 발생 시 바로 고소, 고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경찰이 상주하는 응급의료센터 모델이 발전하려면 주취자가 폭언이나 폭력, 난동을 벌일 시 즉시 고소나 고발 절차를 밞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며 "계속 요구하고 있지만 경찰 측은 자체 네트워크를 이유로 어렵다고만 한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상습 주취자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병원 보안직원은 "아침에 수액을 맞히고 돌려보냈던 주취자가 좀 전에 다시 실려 왔다"며 "이들에게는 응급실이 좋은 것이다. 한 여름에 덥지 않고, 수액까지 주사해주니 얼마나 좋겠나"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상습주취자는 이미 중독 상태가 된 분들이다. 이들이 중독치료를 할 수 있는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며 "최근에 노력해서 이들을 보낼 수 있는 시설 한 곳과 연결시켰는데 현재로서는 상당히 부족하다. 정부가 진정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상습 주취자들의 치료비 대부분은 국가에서 납부하는 세금으로 이뤄진다. 국민들이 이 사실을 알면 정말 황당함을 넘어 분노할 것"이라며 "상습주취자에 대한 중독 치료를 할 수 있는 시설 확충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