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1월부터 건강보험급여 대상에 들어가는 고도비만수술을 두고 의료진은 물론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고 신해철 사망에 이어 고도비만 환자를 상품화하는 프로그램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있었던 만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이유다.
대한위장관외과학회 연관 학술대회 허윤석 조직위원장(인하대병원·비만대사수술학회 전 회장)은 5일 추계학술대회장에서 실시한 인터뷰를 통해 고도비만수술 인증제 도입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허 조직위원장은 "의사에 대한 인증뿐만 아니라 의료기관도 인증이 필요하다"며 "상당수 의료기관이 하드웨어는 갖췄지만 소프트웨어 즉, 시스템을 갖췄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시스템이란, 고도비만 환자의 영양교육부터 재활치료까지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인력 풀을 갖췄는가 하는 점이다.
그에 따르면 고도비만환자는 수술을 결정한 이후 수술을 할 때까지 2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
먼저 가족상담을 통해 고도비만은 질병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가정에서 어떻게 지원하고 도와줘야하는지에 대해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환자에 대해서도 정신과 상담이 들어간다.
이어 고혈압 및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해당 전문의와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다학제 진료가 필수다.
영양사와의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수술 이후 어떤 식단을 유지해야하는지 시뮬레이션 함과 동시에 고도비만환자의 흔한 증상인 수면무호흡 치료를 위한 양압기 사용도 익혀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수술 이전에 진행해야 하는 프로세스로 별도의 교육이 없이는 진행이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
그는 "인증제에 거부감이 높은 것은 알지만 고도비만 분야는 위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이 필요하고, 새로운 분야이다보니 교육이 없이 제대로 된 치료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인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지난 3년전부터 학회 차원에서 의료진에 대한 교육 즉, 인증을 해주고 있으며 이미 80여명의 고도비만수술 인력을 양성한 상태"라며 "이 정도라면 한국 인구 대비 충분한 의료인력일 것이라고 본다"고 내다봤다.
허 조직위원장이 우려하는 것은 급여화 이후 고(故) 신해철씨 사망 사건과 유사한 검증 안 된 수술로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것.
그 대안으로 학회가 인증한 의사에 한해 수가를 적용하거나 차등 수가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그는 "고도비만수술로 수익을 내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의료기관들이 적어도 인증받은 의료진을 고용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최근 고도비만수술을 급여화한 것을 두고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봤다.
한가지는 환자가 1000만원 이상의 고가의 수술비용 부담을 덜었다는 점이고 또 한가지는 고도비만이 질병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이다.
그는 "고도비만을 더이상 미용과 연계하지 않았으면 한다. 고도비만은 약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자의 최후에 방법"이라며 "이를 정부가 인정하고 인식 전환 계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다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