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서울대병원 응급실의 기적…고질적 '과밀화'가 사라졌다

발행날짜: 2018-10-12 06:00:58

현장응급실 개선공사 1년 맞은 서울대병원, 공간·시설·인력 과감한 투자가 열쇠

60대 남성환자가 119구급차에 실려왔다. 응급실 입구에는 경비요원 이외 간호사가 1차 예진을 실시했다. 응급실 출입 이전에 중증도와 음압격리 여부를 판단, 음압격리실 혹은 소생실이나 진료를 위해 의사실로 이동한다. 의사의 진료 이후 응급실 내에 검사실에서 필요한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처치를 받고 입원 혹은 귀가 결정을 받는다.

각 영역마다 해당 의료인력이 대기 중으로, 환자는 크게 대기 시간없이 응급처지에 들어갔다. 응급실 내부는 조용하고 한산했으며 베드는 비어 있어 언제라도 응급환자 수용이 가능해보였다.

메디칼타임즈는 최근 응급실 개선공사 1년째에 접어든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직접 찾아가봤다. 결과부터 말하면 천지개벽이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았다.

응급실 입구에서 환자의 상태를 살피고 중증도 및 격리 여부를 판단한다.
과거 보호자대기실 의자에 반쯤 누워 링거 주사를 맞던 환자의 모습은 상상할 수 조차 없을 만큼 쾌적했다. 보호자 대기실과 수납창구에도 빈자리가 더 많고 채혈실 등 검사실 앞에서도 대기환자가 한눈에 들어오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과거 환자와 환자 보호자가 뒤섞여 있던 대기실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또 중증응급환자 구역의 병상은 물론 일반 응급환자 구역의 병상도 절반 가까이 비었으며 복도 곳곳에 앉거나 누워있던 환자의 모습도 온데간데 없었다.

응급실 내에서도 각 구역마다 의료진 카드 혹은 환자 및 보호자 카드를 찍어야 통행이 가능했다. 메르스 등 감염질환이 샐 틈이 안 보였다. 과거 누구라도 오갈 수 있었던 응급실과도 달라진 모습이었다.

국감 단골메뉴 '응급실 과밀화' 100% 해결…여유 병상 유지

서울대병원 응급실 과밀화 지수는 매년 국정감사 단골메뉴. 긴 대기시간은 늘 지적사항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찾아간 서울대병원 응급실은 과밀화를 느낄 수 없었다.

실제로 2018년 10월 현재 서울대병원 과밀화지수는 80% 초반대. 올해 내내 80~9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이상 과밀화 지수 170%까지 찍으며 응급환자 수용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던 서울대병원이 아니었다.

서울대병원 응급실의 과밀화는 일시적으로 환자가 몰려서 발생하는 게 아닌 만성적인 문제로 그래서 더 해결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응급실 환자가 감소한 것일까. 오히려 과거 응급실 내원환자 일 평균 150명에서 200명으로 늘었다.

채혈실 및 예진간호 앞 환자대기하는 모습. 구획별로 업무를 구분해 환자 흐름을 빠르게 하고 있다.
도대체 어떤 마법을 부린 것일까. 일차적으로 성인 응급실 내 병상수를 32병상에서 40병상으로 베드 수를 늘렸다. 비율로 따지면 응급실 병상 규모를 약 20% 늘린 셈이다.

응급실 5, 6구역을 응급 중환자구역으로 따로 배치하면서 기존의 응급중환자구역을 8병상 늘어난 일반 응급환자구역을 여유있게 확보했다.

응급실 내 검사실을 배치하는 등 응급환자 동선을 최적화한 것도 과밀화해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 의사실/검사실 및 예진간호실 바로 옆에 CT검사실, 응급일반촬영 검사실을 배치했고, 중증응급환자구역 내에는 응급수술실과 응급내시경실 및 응급초음파실이 눈에 띄었다.

또한 이밖에도 지하 1층에는 응급중환자실을 3층에는 단기응급병동(38병동)을 별도로 운영, 대기하는 응급환자 없이 치료가 가능했다.

병상 늘리고 전문의 적극 투입…시설 및 인력에 과감히 투자

과밀화 해소의 핵심 열쇠는 공간 및 시설에 대한 투자 이외 인력에 대한 투자에 있었다.

대개 응급실로 환자가 내원하면 인턴이 초진을 하고 다른 전문과로 협진을 의뢰, 해당 과 전공의가 진료하고 필요한 경우 교수 협진을 요청하다보니 의학적 의사결정이 늦어지고 환자들의 대기시간은 길어졌다.

서울대병원은 의학적 의사결정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기존에 없던 전문의 인력을 충원했다. 신상도 응급의학과 과장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3명을 추가로 채용함과 동시에 협진과 전문의(내과 1명, 외과 1명, 신경과 2명, 신경외과 1명, 정형외과 1명 등)를 6명 충원했다"고 말했다.

신 과장은 "내과 전문의 2명을 채용했다가 최근 1명으로 줄이고 신경과 전문의를 2명으로 늘렸다"며 "인턴-전공의 진료를 거치지 않고 응급실 현장에서 즉각 의사결정을 내리면서 협진 속도가 빨라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까지는 주간시간대만 운영 중으로 야간 시간대까지 커버하려면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병원 성인 응급실 구조도

응급실 진료 프로토콜 개선…'입원 전원 전담 간호사' 도입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전공의 주80시간 근무제로 그 공백을 채울 의료인력을 별도로 배치한 부분.

과거 응급실 환자의 입원 및 전원은 전공의가 전담했던 것을 '입원 전원 전담 간호사'라는 새로운 직군의 의료인력이 맡는다.

응급환자가 입원할 때에도 각과에 연락이 어려운 경우가 다반사. 과거에는 전공의 업무 중 하나였지만 입원 전원을 전담하는 간호사를 배치하고, 타 병원으로의 전원도 전담하도록 했다.

응급실 내 여유 병상을 확보한 모습. 과거 복도 및 의자에서 링거를 맞던 환자는 찾아볼 수 없다.
신상도 과장은 "중증이 아닌 환자의 경우는 적극적으로 타 병원으로 전원조치해 계속해서 응급실 환자 진료에 선순환 흐름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응급실의 진료 프로토콜 개선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응급실 환자 대기 시간 단축을 주제로 주3회 이상 운영회의를 실시하고 3개월에 한번씩 권역응급의료센터 안건회의에 13개 진료과장이 참석해 의견을 공유하기 때문.

이처럼 병원 차원에서 전사적으로 뛰어든 결과, 서울대병원 응급실 오전 진료 풍경은 달라졌다. 과거 복도와 보호자 대기실에 누워있는 환자 진료로 시작하기 일쑤였지만 이제는 아침에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한다.

신 과장은 "이전에는 약 50여명의 환자가 병상을 채우고 베드가 부족해 복도까지 누워있는 상태에서 아침을 맞이했다면 최근에는 오전에도 20명의 환자로 시작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의 시스템이 유지, 발전하려면 협진 전문의를 추가로 늘리는 방안과 더불어 해당 의료진 신분보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