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비만학회(EASO)가 동반질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목표 감량 범위를 제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유럽비만학회가 개정한 '2019년판 성인 비만 가이드라인'에는 주요 만성질환 동반에 따른 최소 체중 감량 목표가 포함돼 있다(Obes Facts 2019;12:40–66)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비만환자들은 비만 환자들은 자기 체중의 10%를 줄여야 제2형 당뇨병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 제2형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 환자들은 최소 5%에서 최대 15%까지 줄일 것을 권고했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혈중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와 당뇨병 치료 약물의 감량이다. 또한 단기간에 당뇨병 관해(치료)도 가능하다.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비만 환자 또한 5~15%까지 낮춰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래야 중성지방과 LDL-콜레스테롤이 개선되며,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고혈압 동반 비만 환자도 5~15%를 낮출 것을 권고했다.
비알코올성지방간을 갖고 있는 비만 환자는 최소 10%에서 최대 40%까지 낮출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지방간이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특성상 다른 동반질환보다도 더 많은 목표치를 제시한 것이다. 기대효과는 간세포 지질과 염증 개선이다.
아울러 다낭성난소증후군 동반 비만환자는 5~15%를,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7~11%를, 천식환자들은 7~8%를 낮춰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밖에 위식도역류질환이 있는 환자들도 최소 10% 이상은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이드라인 위원회는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비만의 위험성은 매우 커지는 반면에 체중을 줄임으로서 얻는 기대효과는 매우 크다"면서 "환자들이 치료효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비만의 기준도 새롭게 제시했다. 분류 기준은 우리나라와 동일한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1, 2, 3단계)로 같지만 수치가 다르다.
유럽은 정상 범위를 18.5~24.9㎏/㎡로, 과체중을 25.0~29.0㎏/㎡으로 정의했다. 또 비만기준은 30㎏/㎡으로 설정했다. 1단계 비만을 30.0~34.9㎏/㎡, 2단계 비만을 35.0~39.9㎏/㎡, 고도비만에 속하는 3단계 비만을 40㎏/㎡ 이상으로 정의했다.
반면 지난해 대한비만학회가 빅데이터 분석을 반영해 만든 우리나라 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 25㎏/㎡부터다. 1단계, 2단계, 3단계는 각각 25.0~29.9㎏/㎡, 30.0~34.9㎏/㎡, 35㎏/㎡ 이상이다. 또 정상 범위는 18.5~24.9㎏/㎡다.
또다른 비만 판단 기준인 허리둘레도 우리나라는 남성 90㎝, 여성 85㎝이지만 유럽은 94㎝와 80㎝로 차이가 있다.
강북삼성병원 강제헌 교수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유럽의 경우 유전적으로 체형이 크고 식습관이 달라 비만 기준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비만의 기준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유럽에서 제시하고 있는 약물치료는 리라글루타이드, 오르리스탯, 부프로피온/날트렉손 복합제 등 3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