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의 미래, 같이 만들자."
서울대병원 김연수 병원장이 지난 6월, 취임식에서 노조를 향해 던진 메시지는 허언이 아니었다. 김 병원장은 3일 오전, 파견·용역 등 비정규직 613명을 직접고용한다는 내용의 노사합의서에 서명했다.
앞서 노사간 첨예간 의견차이를 보이기도 했지만 김 병원장은 결국 취임식에서 밝힌 '공유'와 '협력'이라는 의미를 되새기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택했다.
문제는 고용체계 변화에 따른 인건비 등 비용부담. 서울대병원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어떻게 가능했을까.
서울대병원은 기존의 청소 등 환경지원직과 경비 등 시설유지지원직 이외 환자안전유지지원직이라는 별도의 직군을 신설하고 그에 맞는 임금체계도 마련했다.
가장 큰 변화는 '환자안전지원직'의 신설. 기존 청소업무와는 별개로 병실, 중환자실, 수술장 등 환경미화 직무를 환자 감염관리를 위한 행위로 분류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연수 병원장은 3일 전화인터뷰를 통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계기로 환경미화 직군과는 별개로 환자 감염관리라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계획"이라며 "이들은 단순한 청소가 아닌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별도의 직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자회사를 통한 용역 및 파견직에서 병원 직접 고용으로 전환하는만큼 환자안전과 인력의 질을 담보하고 가겠다는 게 그의 설명.
이와 더불어 이들은 환자 감염과 직접적으로 연관있는 직군인 만큼 파업시에도 유지하는 필수 업무인력으로 지정했다.
또한 중요한 것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황에 따른 인건비 상승.
김 병원장은 "파견 및 용역직 채용과 관련한 용역비, 관리비, 수수료 등 비용을 정규직 전환에 따른 인건비 및 처우개선으로 전환하면 당장은 기존 예산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만, 정규직 전환에 따른 근무조건을 적용하면 추가 인력 채용이 불가피해 결국에는 인건비 부담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즉, 국립대병원의 인건비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한 상황.
이에 대해 김 병원장은 "국립대병원은 교육부 소속인만큼 의료의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교육부 고위관계자와의 미팅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바 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 국립대병원은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해 재정 지원 및 세제혜택 등 혜택이 없었지만 앞으로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어느정도 형성됐다는 게 그의 설명.
그는 "교육부 고위관계자와 국립대병원발전협의체를 통해 국립대병원에 대한 교육기관의 지위를 인정해달라고 거듭 요구하고 있다"며 "국민들에게도 안전한 병원을 유지하기 위한 플랫폼을 정립하고 있는만큼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서는 세제혜택 등 교육기관으로서의 혜택을 못받고 있다"며 "추가 인건비에 대한 비용 지원을 정부에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