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을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의학회들이 임상 정보를 모으는 빅데이터 체계를 구축했지만 막상 자료가 모이지 않아 차질을 빚고 있다.
일선 의료진들이 몰려드는 의심자에 대한 검사와 확진자 치료에 집중하느라 막상 자료를 입력할 시간을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의학회들은 회원들을 대상으로 자료 입력을 독려하고 있지만 물리적인 한계는 여전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보이는 모습이다.
24일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등에 따르면 최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대한감염학회와 결핵 및 호흡기학회 등 의학회들이 힘을 합쳐 코로나19 임상 정보 데이터 사업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확진자에 대한 나이와 성별, 지역 등 기본 정보부터 검체 정보, 경증과 중증으로 분류되는 임상 양상까지 하나의 창구로 모아 국내 코로나 환자의 특성과 대응 방안을 찾아보자는 취지다.
실제로 대한감염학회 등 11개 유관 학회들은 앞서 대정부 권고안을 내놓으며 정부 차원의 통합적 임상정보 체계 및 환자 정보 수집 체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지금과 같이 지역별, 개별 병원별 접근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빅데이터를 활용해 양상을 파악하고 가이드라인 등까지 도출해보자는 취지다.
하지만 막상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됐지만 실효성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실제 환자를 검사하고 치료하는 의료진이 이에 접속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대한중환자의학회 임원은 "대구, 경북 지역의 경우 지금 당장 하나의 일손이 없어 의료진 파견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입력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취지는 충분히 공감하고 필요성도 동의하지만 물리적인 한계"라고 털어놨다.
결국 데이터를 모으고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은 구축이 됐지만 실제로 이 곳에 들어올 수 있는 의료진이 없는 셈이다.
특히 대구, 경북지역의 경우 국내 확진자의 대다수가 몰려있지만 지역 의료시스템과 인적 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 사업에 속도가 붙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임상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대구, 경북 지역에 확진자의 85%가 몰려있지만 의료진의 지나친 업무 하중으로 정보가 입력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적극적인 지원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의학회들도 회원들을 대상으로 자료 입력 등을 독려하며 사업의 진행을 도모하고 있다. 당장 여유가 없다해도 어쩔 수 없이 가야할 길이라는 설명이다.
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대표적인 경우. 이 학회는 24일 대회원 공지를 통해 검체 수집과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데이터 수집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학회는 "환자를 보느라 여유가 없겠지만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임상 자료와 검체의 수집은 정책 수립과 치료 및 예방의 근거가 된다"며 "하지만 지금은 이러한 지식과 경험이 공유되지 못해 가이드라인 등 적절한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자료는 추후 논문 출간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 조성되는 연구비가 많은 회원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며 "많은 참여와 협조를 부탁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