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학술
  • 학술대회

"이러다 골절대란 온다"...전문가들 고령화대비 치료환경 강조

원종혁
발행날짜: 2020-10-07 10:41:30

대한골대사학회, 국내 골다공증 정책과제 발간
"초고령 사회 위협, 고령자 취약성 골절 사회적 문제"

국내 골다공증 전문가들이 대표적인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 지속치료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2025년경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골절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나섰다.

최근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이장희, 이사장 김덕윤)는 10월7일 국민의 힘 전봉민 의원(부산 수영구)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초고령사회 건강 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를 발간했다.

해당 정책과제는 ▲골다공증의 개요 ▲초고령화 사회와 골다공증 ▲우리나라 골다공증 관리의 문제점 ▲제외국 정부의 골다공증 관리 정책 사례 ▲골다공증 치료 환경 혁신을 위한 정책 제언의 총 5장으로 구성됐다.

학회 김덕윤 이사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의 공동정책자료집 발간에 부쳐 "한국사회가 오는 2025년경에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되면 대표적인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게 늘어나, 고령자의 취약성 골절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할 수 있다"며 "국가차원에서 적극적인 골다공증 '방역'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골다공증 유병률은 노인인구에 집중돼 있어(70대 이상 여성 골다공증 유병률 68.5%)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집중된 연령층인 '베이비 부머 세대(1955년~1963년)'의 노인 인구 진입이 본격화되면 골다공증 환자수는 더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50세 이상에서 22.4%, 골감소증은 47.9%로 나타나 이미 많은 숫자의 인구가 골다공증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번 정책과제에 따르면, 2019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골다공증 환자는 100만명에 육박한 상황이나, 대한골대사학회가 2018년 핵심 유병인구인 5070 여성 인구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 3명 가운데 1명(28%)만이 골밀도검사를 받았으며, 골다공증검진을 받은 환자 가운데서도 치료를 꾸준히 받는 환자는 극소수로 확인됐다.

골다공증의 저조한 치료율은 골다공증 발생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데, 골다공증성 골절은 2008년 17만건에서 2016년에는 27만건으로 50% 증가했으며 가장 빈번하게 골절이 발생하는 부위인 척추골절은 2016년에서 향후 2025년까지 남성이 63%,여성이 51% 증가하여 각각 3만건 이상, 12만건 이상씩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한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을 방치하면 노인 인구의 취약성 골절로 이어져, 고령자의 기동력 상실로 부양 부담이 증가하고 이는 결국 한국사회 전체의 비용으로 돌아온다"며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하면 정부의 재정수익감소와 세수(稅收) 손실에 까지도 영향이 생길뿐 아니라 골다공증의 이러한 질환 특성상, 질병부담(DALYs)의 측면으로 평가한 경우 골다공증이 당뇨병보다 건강수명을 더 단축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50~80세 인구에서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이 1건 발생할 때마다 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정부의 연금지출은 평균 7,000만원이 증가하고 세금수익은 평균 5,300만원이 감소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데이터를 토대로 장애보정생존년수(DALY)를 산출한 결과에서도, 골다공증과 골다공증 골절은 주요 만성질환인 당뇨병 및 천식과 비교해 질병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환경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낮은 질환 인지도와 치료율, 지속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제한적인 약제 급여기준, 골다공증 골절의 악화를 막지 못하는 통합적 관리시스템의 부재를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심각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급여기준상 투여기간의 개선을 통한 골다공증 지속 치료 환경 조성 ▲진단에서 재골절 방지를 아우르는 단계별 골절 예방 통합 치료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며,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1989년 출범한 대한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 연구와 회원간 교류를 통해 의학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 학술연구단체로, 골다공증 치료 및 연구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과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