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제약·바이오
  • 국내사

항체치료제 학계·규제당국간 엇박자…임상 성적표는?

발행날짜: 2021-01-07 05:45:56

셀트리온 임상 데이터 13일 공개 예고에 관심 폭증
대규모·장기간 임상 전까지 효용성 논란 불가피

코로나19 완치자의 항체를 활용하는 항체치료제가 허가 막바지 과정에 접어든 가운데 여전히 신중론과 긍정론으로 엇갈리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와 같은 규제 당국에선 확진자 급증 등의 시급성을 감안해 긴급사용을 승인한 반면 학계에선 여전히 근거 불충분을 들어 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펼치고 있기 때문.

최근 도출된 주요 항체치료제 임상 결과를 토대로 실제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 짚었다.

▲현재 개발 단계 성분들은?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항체치료제의 임상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리제네론(REGENERON)사가 개발중인 항체치료제 REGN-COV2(성분명: 카사리비맙과 임데비맙)는 지난 11월 22일 FDA로부터 긴급사용 승인을 얻었다.

REGN-COV2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진후 치료에 사용되면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다국적 제약사 릴리와 캐나다 생명공학업체 엡셀레라가 공동개발중인 LY-CoV555(성분명 밤라니비맙) 역시 지난 11월 9일 긴급사용 승인을 얻었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항체치료제(성분명 레그단비맙, 코드명 CT-P59)를 개발중이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 2상을 완료하고 12월 29일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글로벌 임상 2상 결과는 오는 13일 발표할 예정이다.

▲학계는 신중론, 규제 당국은 긍정론

FDA의 긴급사용 승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계는 신중론이다. 긴급사용 승인 특성상 대규모, 장기간에 걸친 임상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확실한 효과, 안전성을 논하기 이르다는 게 주요 이유다.

미국 보건부 산하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AID)도 릴리사의 항체치료제 임상 2상과 관련 코로나19 환자에 효용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한 바 있다. 릴리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을 중단하는 한편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임상을 진행한다는 계획.

실제로 3일 소아감염병학회지(Journal of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Society)는 소아와 청소년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치료제 사용에 대한 지침을 공개(doi.org/10.1093/jpids/piaa175)해 소아, 청소년에 대한 항체치료제 사용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자료사진
아직 확실한 근거가 없어 무분별한 투약에는 반대한다는 게 주요 이유다. 다만 이같은 반대 입장 표명이 효과에 대한 완전한 부정을 의미하진 않는다.

적어도 성인에서는 항체 치료제의 이점에 대한 제한된 증거가 있다고 학회도 언급했기 때문이다. 소아, 청소년에 대해서만큼은 무분별한 투약보다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감염학회 관계자는 "같은 성분을 대상으로 임상을 해도 참여 인원 수, 투약 용량, 중등도, 심지어 비만도와 기저질환 여부, 인종까지 다양한 변수가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며 "따라서 같은 계통인 항체치료제라고 해서 다들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단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학술적인 의미에서 항체치료제는 원리상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그 효과의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이냐가 관건으로 남는다"며 "규제 당국의 긴급사용의 의미는 상황의 시급성을 감안한 조치이지 긴급사용 승인만으로 의학적 결과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릴리가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임상을 진행하는 것처럼, 대상자를 바꾸는 것으로 추가 효과가 관찰될 가능성은 남아있다. 중증 환자에서 효과가 없었다고 경증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로 이어진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리제네론사 REGN-COV2

REGN-COV2의 1/2 임상은 다기관에서 위약과의 비교로 설계됐다. 27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은 93명이 위약을, 92명이 저용량을, 90명이 고용량을 투약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799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대규모 임상은 아직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았다.

결과를 보면 위약과 대비해 투약 7일째 체내 바이러스의 양(viral load) 감소 시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다만 추가 분석에서는 고용량을 투약하고 향후 혈청 반응에서 음성을 기록한 환자들에서는 확실한 바이러스 양 감소에 따른 시간 단축이 관찰됐다.

REGN-COV2로 투약군의 치료 목적 의료 방문율은 약 3% 가량 줄었다.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 NNT 개념으로 살폈을 때 REGN-COV2의 수치는 33을 기록했다.

33명에 REGN-COV2를 투약해야 한명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위약과 비교하면 약 9%의 NNT 감소 효과가 있었다. 혈청 반응 음성군에서의 REGN-COV2의 NNT는 11이었다.

응급실이나 입원해야 하는 비율은 REGN-COV2군이 2%(NNT 50), 위약군이 4%였다. 고위험군에서의 NNT는 17이었다.

REGN-COV2 투약은 큰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반응은 주입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에 그쳤다.

감염학회 관계자는 "위약 대비 지표상 수치의 감소가 있긴 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필 정도의 의미있는 결과로는 볼지는 애매한 부분이 있다"며 "가용 의료 자원이 한정적인 상황, 반대로 긴급하게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는 상황에 따라 비용-효과성 판단은 가변적이다"고 말했다.

▲일라이 릴리사 LY-CoV555

LY-CoV555 임상은 미국 41개 센터에서 위약과의 비교로 2상까지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18세 이상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700mg(n=101), 2800mg(n=107), 7000mg(n=101), 위약(n=143)을 투약했다.

주요 평가 지표는 양성 판정 이후 11일째까지의 바이러스 양 감소 여부로, 참여자들의 평균 바이러스 양 감소 시기는 3.81일이었다.

셀트리온 항체 치료제 CT-P59
위약과 비교해 2800mg 용량 투약군은 -0.53일이 감소한 반면 700mg 투약군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7000mg 투약군은 위약 대비 효과는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진 못했다.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 사망로 구성된 주요 임상 결과는 LY-CoV555 투약군이 1.6%에 그쳤고 위약군은 6.3%에 달했다. 추가로 진행된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이며 BMI 지수 35 이상인 환자들의 경우 효과가 더 컸다. 이들의 임상 결과는 4%인 반면 위약군은 15%에 달했다.

부작용은 주입 반응 및 멀미가 보고됐다. 중증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셀트리온 CT-P59

글로벌 임상 2상은 한국 식약처, 미국 FDA, 유럽 EMA와의 사전협의를 통해 디자인됐다. 대한민국, 루마니아, 스페인, 미국에서 총 327명의 환자가 참여해 지난 11월 25일 최종 투약을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이번 임상시험의 상세 데이터를 국내외 전문가 및 자체 평가를 통해 분석 완료하고 CT-P59에 대한 식약처 조건부 허가를 신청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판단해,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CT-P59의 안전성 및 효능과 관련한 상세 임상데이터는 식약처의 요구로 그간 데이터 비공개 처리, 시민단체의 공개 요구에 시달렸지만 13일 자료 공개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셀트리온이 자체적으로 허가에 필요한 근거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언급했다는 점은 허가에 자신감을 표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셀트리온은 CT-P59의 해외 긴급사용승인 절차도 추진한다. 미국 FDA 및 유럽 EMA(유럽의약품청)와 이번 임상 2상 결과 데이터를 상세히 공유하면서 승인신청서 제출 관련 협의를 개시하고 내년 1월중 이들 국가 대부분에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