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자 EMR 설치 여부를 논하던 시절은 끝났다. 이제 다음 페이지, 즉 데이터의 질을 논할 차례다."
복지부 주최, 대한의료정보학회 주관으로 13일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보건의료정보화의 현황과 미래' 강연회에 참여한 의료데이터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강연회는 복지부가 실시한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맞춰 의료데이터 전문가들을 통해 향후 활성화 방안 및 정책 방향을 논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된 것.
"의료데이터, 한단계 도약할 때"
이날 패널로 나선 전문가들은 불과 4~5년전만 해도 상급종합병원 일부만 의료정보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었던데 반해 현재 전국 6천여곳으로 확장시켰다는데 의미를 부여했다.
분당서울대 황희 교수(의료정보센터장)는 "4년전만해도 극소수의 병원만 의료정보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었는데 현재 의료기관 6천여곳이 도입한 것을 상당한 성과"라며 "이는 미국의 경우 10~15년에 걸쳐 일어났던 일을 4년만에 달성한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 성과를 내야하는 시점에 돌입했다"면서 "(EMR 인증 관련)단순히 기술적인 도입 단계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해 일정 비율이상 사용한 병원을 인증해주는 식으로 발전시켜야한다"고 했다.
연세대 윤덕용 교수(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또한 "이제 의료정보데이터의 품질관리를 고려할 시점이 됐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면서 "지금까지는 데이터를 모으는 것에만 투자를 했지만, 앞으로는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병원들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의료데이터를 품질관리할 도구가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전문인력이 많이 필요한데 이부분에 대해서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삼성서울병원 장동경 교수(정보전략실장)도 "앞서 의료정보화 적용은 100%인데 활용은 과연 얼마나 되고 있는지 의문이라는 것에 공감한다"면서 "기존 각자도생 병원 시스템에서는 표준화에 결함을 갖고있어 이부분이 취약한 것 같다"고 표준화 이슈를 언급했다.
"의료정보화 시스템 구축, 보상체계 필요"
또한 일선 의료기관들이 의료정보화에 투자할 만한 정책적 동기를 만들어 줘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울대병원 지의규 교수(정보화실장)는 "후발주자인 의료기관들 입장에서도 투자결정을 할 때 효용성에 의문이 있다"면서 "이를 도입함으로써 진료현장에서 이익을 창출하거나 경영에 도입이 돼야 확신을 갖고 뛰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희 교수는 진료의뢰회송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의 비율이 높은 것을 언급하며 이는 '수가' 체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 참여할 의지가 없다는 의료기관들의 답변의 배경에는 보상체계가 없기 때문일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황 교수는 "정책적 인센티브는 병원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라며 "병원 입장에서도 투자를 망설이지 않게 해준다. 참여할 의지가 없던 병원도 보상체계가 생기면 의지가 생겨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