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제약·바이오
  • 국내사

"R&D 예산 중 바이오 11% 불과" 아쉬움 토로한 제약협회

발행날짜: 2022-01-24 12:40:26 업데이트: 2022-01-24 16:34:23

원희목 회장, 신년 간담회 통해 SK바이오 모델 확대 촉구
"언제까지 기업들이 라이센싱 아웃 기대해야 하나" 성토

제약‧바이오 업계가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로 시작된 민‧관 협력 추가 모델 개발을 촉구하고 나섰다.

동시에 현재 정부부처의 R&D 예산 중 '바이오 분야'에 편성된 예산이 극히 적다며 이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은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은 24일 온라인을 통해 가진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과감하고 집중적인 지원을 강조했다.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등 정부부처의 '2022년 R&D 예산'은 총 15조 7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바이오 분야에 편성된 예산은 1조 8000억원, 전체의 11.4% 수준의 불과한 실정이다.

미국과 벨기에 등 해외 선진국의 바이오 분야 예산이 전체 30~40%를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원 회장의 평가다.

원 회장은 "지난해 셀트리온은 코로나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를 개발했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정부 지원에 힘입어 백신을 연내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산업계 역량과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는 "하지만 지원 범위와 규모는 선진국의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난 10년간 보건의료 분야 R&D 투자가 증가했음에도 응용 연구 비중은 오히려 축소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원 회장은 정부의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를 위해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 혁신 위원회' 설치와 '투자펀드' 조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제약바이오 혁신위 구성을 통해 각 부처에 분산된 산업육성 정책을 관리하는 기구를 신설하는 한편, 기업들이 언제든 임상을 도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자금 지원을 할 수 있는 5조원 규모 메가펀드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계가 기초부터 최종 3상 임상단계까지 자금 걱정 없이 진입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의견.

원 회장은 "기초연구·임상시험·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관리 주체도 부재한 상태다. 이견 발생시 부처 간 칸막이 현상 발생하는 것이 문제"라며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 효과적으로 조율하는 대통령 직속의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는 정부가 산업계의 임상 지원을 늘려야 하는 시점이다. 언제까지 기업들이 임상 비용 때문에 글로벌 제약사에 라인센싱 아웃을 시도해야 하나"라고 반문하며 "정부가 임상 전 주기에 걸쳐 일정부분 제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