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만성질환관리 제도(만관제) 고도화를 위해 케어코디네이터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고 뜻을 모으고 그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간호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 대한내과의사회, 대한간호협회, 한국케어코디네이터회는 케어코디네이터 모형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책을 논의하고 있다.
기존의 만관제는 초기 환자 교육와 모니터링을 진행할 때엔 90%의 참여율을 보이다가, 1년이 지나면 그 수치가 30% 미만으로 떨어진다.
의료계는 그 원인을 지속적인 상담의 부재 때문이라는 판단하고 대책으로 케어코디네이터 모형 활성화를 제시했다. 케어코디네이터가 정보통신기술(ICT)를 이용해 실시간 디지털 코칭을 제공하면 환자 이탈을 막고 국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기존 만관제 시범사업에서 환자 관리 계획이 제대로 세워지지 않거나 경과가 좋지 않은 환자에 대한 중간 점검이 어렵다는 애로사항이 드러났는데, 해결책으로 간호사 참여가 대두한 모습이다.
케어코디네이터는 환자와 상담을 진행해 개개인에 적합한 식이방법 등을 수립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앱을 통해 쌍방향으로 이뤄지는데 환자의 혈당 수치 등을 그래프로 도출할 수 있다.또 환자가 잘못된 지식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일례로 인슐린이 함유돼 당뇨병에 좋다고 알려진 돼지감자는 주성분이 탄수화물이어서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오히려 환자 경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케어코디네이터 참여율이 높아지면 환자와의 상담을 통해 이처럼 민간요법에 가까운 식품 섭취로 경과가 악화하는 경우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는 것.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신동수 교수는 이 같은 모형이 환자가 의약품을 수령할 때를 제외하곤 모니터링이 이뤄지기 어려웠던 기존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신동수 교수는 "고혈압·당뇨환자는 약을 타기 위해 1~2달에 한 번씩 동네의원을 방문한다"며"이 기간 중엔 의료진이 모니터링을 진행하기 어려운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ICT를 도입하는 방향이 논의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에게 설명하고 교육해야 될 내용은 개개인마다 다르다. 사람마다 운동량이 다르고 섭취하는 영양분이 다른데 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면 아무런 중재가 되지 않는다"며 "현재 논의 중인 케어코디네이터 모형은 이를 타파하지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케어코디네이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같은 별도 수가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봤다.
개원가는 간호사 고용에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의원급 여건을 고려했을 때 케어코디네이터 출근 일수를 탄력적으로 정하고, 그 임금의 일정부분을 정부가 부담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
대한내과의사회 박근태 회장은 "케어코디네이터 참여가 활성화되면 만성질환자가 받는 의료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 하지만 의원급이 간호사를 고용해 만관제를 끌고 가는 것은 쉽지 않다"며 "정부 역시 케어코디네이터 활성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관련 지원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관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가 쌍방향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만성질환환자 상담과 교육, ICT를 이용한 관리를 간호사가 담당하고 문제가 생길 시 의사에게 알리는 식으로 체계가 잡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윤건호 교수는 정부가 만관제 본인부담금을 기존 10%에서 30%로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을 우려했다. 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사회나 보건소가 케어코디네이터를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봤다.
윤건호 교수는 "케어코디네이터 참여율을 높이기 어려운 것은 수가가 낮기 때문. 이 때문에 개원의들이 간호사를 고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실제 만관제 참여 의원 중 케어코디네이터를 고용한 곳은 2% 수준에 불과해,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선 본인부담금을 10%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원이 케어코디네이터를 일일이 구하는 것은 고용입장에선 좋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라며 "기존 모델처럼 지역의사회나 보건소가 관리하는 방향도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 현재 수가체계에서 케어코디네이터 활성화할 방안이 있을지, 없다면 수가를 어떻게 늘려야 할지 다양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