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응급실 현장 불만이 커지고 있다. 별다른 효용성 없이 감염 확산 우려만 키운다는 지적이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방역 관련 응급실 운영지침을 개정해 이번 주부터 적용하고 있다. 기존엔 응급실 진료를 받으려면 반드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했는데 이 같은 제한이 사라진 것. 환자의 응급실 내원 시 진료를 우선하고 의료진 판단 하에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를 진행하도록 바뀌었다.
또 확진자와 의심환자 모두 1인 격리 병상에서만 치료 받아야 했던 규정을 바꿔 의심환자는 일반 병상에서 치료가 가능하도록 했다.
응급실 의사들은 이 같은 지침이 현장엔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하는 보여주기 식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응급실 기준을 완화해도 병동 기준은 똑같아 환자가 입원이나 수술을 받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라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한 응급의학과 의사는 "방향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다. 방역 완화로 병원 이용을 더 쉽게 만들어주는 것은 맞지만, 입원·수술이 필요한 경우에서의 격리 등 이후 단계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응급실만 푸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라며 "확진자만 격리실에 수용하라는 것이 변화기는 한데 어차피 다음 치료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다. 결국 현장은 달라질 게 아무것도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무런 효용성 없이 감염 확산만 부추기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격리 병상 규정이 완화된 것과 관련해서도, 어차피 감염 위험으로 의심환자도 격리 병상에서 진료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것.
이와 관련 한 의료계 관계자는 "감염병 확산은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것보다 병원에서 일어나는 게 훨씬 더 문제다. 실제로 입원했다가 코로나19 병동에 퍼지는 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하는 단계에선 확진자를 반드시 걸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대응에서 제대로 된 우선순위를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료전달체계에서 응급실과 병원은 마지막 단계인 만큼 최후까지 방역 조치를 유지해야 하는데, 정부는 이전 단계 방역은 조이면서 최종 단계는 완화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올 겨울 트윈데믹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에 별도로 대응할지, 아니면 묶어서 대응할지 등 큰 틀만 정해주고 나머지는 각각의 병원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것.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중증환자가 신속하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마지막 변이 이후 새로운 변이가 유행할 조짐이 아직 없고 1000만 명의 국민이 확진된 바 있는 만큼, 덜 중요한 방역과 중요한 방역을 구분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모든 환자를 무조건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입원·수술 환자에 한해 진행해야 한다. 응급실에서도 의심환자와 일반 환자 간 최소한의 분리 조치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