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개원가

"현장 통제 안 된 이태원 참사"…밤새 무슨 일 있었나

발행날짜: 2022-10-30 22:47:38 업데이트: 2022-10-31 12:29:24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 핼로윈 압사 사태 현장 진단
미흡했던 초기대응 "보여주기 아닌 실질적인 준비해야"

대한응급의학의사회가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30일 오후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의료계 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지난밤 발생한 이태원 참사 관련 현장 상황을 전반적으로 조명했다. 재난대응팀과 응급실 의료진이 최선을 다했지만, 초기대응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다는 진단이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

■현장 대응 명과 암은…"출동 시간과 현장 정리는 적절"

이 회장은 지난밤 현장 대응이 전반적으로 어땠는지에 대한 질문에 출동 시간이나 현장 정리는 적절했지만, 통제를 벗어나 문제가 생겼다고 답했다.

그는 "밤새 재난관리팀과 현장 상황 파악하느라고 잠을 못 잤다. 재난대응에서는 초기대응이 제일 중요하다"며 "어제 상황에서 잘된 부분을 짚어보면 서울을 담당하는 서울대·한양대·강동경희대병원 권역응급센터 재난대응팀 출동 시간이 적절했다. 재난대응팀이 도착한 이후에도 현장 정리가 잘된 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부분은 이전까지 매년 훈련하고 했던 부분이고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다고 본다. 재난 현장이 서울의 한복판이었던 만큼 갈 수 있는 병원도 많았다"며 "덕분에 환자들이 서울 전역으로 잘 배분됐다고 본다. 이런 부분은 이전과 비교했을 때 진일보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전했다.

■중환자 우선순위 못 지켜…순천향서울병원 가득 차

위급하지만 생존 가능성이 큰 환자를 가장 가까운 병원인 순천향서울병원으로 먼저 보내는 조치는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또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 이유로 현장 통제를 벗어난 인원이 있었던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하지만 초기대응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재난 현장에서는 심폐소생술을 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 심정지 환자는 초기 우선순위에서 빠져주는 것이 맞다"며 "재난 상황에서 1번 순위는 중환자다. 아직 숨이 붙어 있고 응급조치를 취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가장 큰 사람이 우선순위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환자가 순천향대병원을 가야 하는데 초기에 심정지 환자들을 심폐소생술하는 와중에 사망한 사람들이 모두 순천향서울병원으로 갔다"며 "이는 중환자 처치의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해야 할 가장 가까운 병원이 그 역할을 할 상황이 안됐다는 뜻이다"라고 지적했다.

■지휘관 없었던 현장…통제 벗어난 환자 이송

순천향서울병원이 있는 한남동부터 이태원까지의 도로가 차량에 막혀서 중환자 이송이 어려웠던 상황도 조명했다.
이 회장은 "초기대응에서는 현장 통제가 가장 중요하다. 초기에 환자들이 빠질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 주고, 일반인을 배제하고, 중환자를 우선적으로 구조하고, 이런 초기 현장 대응이 아쉬웠다"며 "특히 현장 통제율이 최소한 60~70%는 돼야 하는데, 당시 상황을 보면 100명 이상의 사상자 중 80명 이상은 통제를 벗어나 멋대로 병원에 갔다"고 설명했다.

현장을 컨트롤할 적절한 지휘관의 부재도 문제로 지목했다. 올바른 재난 상황은 시민이 환자를 심폐소생술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민이 현장을 보지 못하도록 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현장에 출동한 인력이 누구한테 뭘 허락을 받아야 하는지를 몰랐다. 이게 제일 큰 문제다. 현장을 컨트롤하기 위해선 주변을 비워야 한다"며 "일반인은 CPR을 하고 해서 환자를 들쳐 매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CPR을 할 때 벽처럼 둘러싸서 다른 이들이 현장을 못 보게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나라 재난 매뉴얼은 세계에서 최고로 좋다. 하지만 이 매뉴얼이 지켜지지는 않는다"며 "현장이 통제되려면 주변을 물려 구급차를 일렬로 들여보내고, 중요한 환자를 순서대로 딱딱 구조해서 나가는 것들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인파가 몰린 이태원의 모습

■다음날 오후 응급실 상황 정리…"초기 혼란 심했다"

이 회장은 인터뷰 당시 병원 응급실 현장이 어느정도 정리된 상황을 전했다. 하지만 사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환자들이 주변 병원에 몰리면서 초기엔 혼란이 발생했다가 짚었다.

그는 "몇 개 병원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는데 지금쯤(30일 오후 기준) 좀 정리가 됐다고 본다. 재난에서 사망자 관리가 중요한데 의료적으로 이런 현장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다"며 "대응을 잘 했더라도 사망자 숫자는 눈에 띄게 줄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 다만 살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진료를 받을 기회를 한 번이라도 더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인력 몰리면 다른 지역 공백"…시스템 고민해야

구조인력이 이태원에 몰리면서 다른 지역의 공백이 커진 상황도 지적했다. 각기 다른 재난에 유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회장은 "2015년 백중 추돌 사고 당시, 10여 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현장에 출동했는데 할 일이 없었다. 이미 환자들이 사방으로 이송돼 통제가 안 됐기 때문이다"며 "이 때문에 막상 주변 병원은 의사가 없어서 문제가 되고 현장에 나가 있는 의사들은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르는 문제가 생겼다"고 회상했다.

이어 "매번 똑같은 재난은 없다. 그 재난 상황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고 컨트롤하려면 의학적인 활동이 주가 돼야 한다"며 "최소한 보건복지부나 의료인이 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 중계에 그친 언론…"비우기에 일조해야"

재난 상황에서 언론은 현장을 비우는 것에 일조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현장 상황을 중계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주변을 비워 달라고 방송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이 회장은 "재난 상황에서 방송에서 알려야 하는 것은 '현장에 가지 마세요'다"라며 "빨리 주변을 비우고 현장에 있더라도 주변에 건물에라도 들어가야 한다고 알렸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김윤성 학술이사는 "시민들도 인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재난 상황에선 현장을 찍을 일이 아니고 빨리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변을 비워줘야 한다"며 "구급팀과 재난대응팀이 도착한 뒤에도 시민들이 계속 CPR을 했는데, 관련 인력이 충분한 상황에선 뒤를 맡기고 돌아서서 벽을 쳐준다든지의 행동을 교육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안전은 돈이다…그래도 나가야 할 길"

이 회장은 1만 명의 인파가 몰리면 보통 20건의 의료 상황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선 60~70명의 경증·중증환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관련 대비가 미흡하다고 우려했다.

그는 "안전이라고 하는 게 사실은 돈이 드는 일이다. 그렇다고 해도 이는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며 "보여주기식 지침만 만들어 놓고 헬기를 태우거나 연기 뿌리는 등 눈에 보이는 연습만 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