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부터 시행된 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DUR : Drug Utilization Review)이 올해 전국 모든 의료기관에서 활용되기까지는 아직 많은 난관이 남아있다.
우선 과제는 의원급 의료기관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지만, 일반약 DUR 점검 시작,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으로 DUR 확대 등 쉽지 않은 과제가 연이어 기다리고 있다.
■ 의원급 의료기관 DUR 전국 확대(3월말) =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일은 3월말까지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에 DUR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의원급 의료기관의 DUR 탑재율은 3%대에 불과하다. 청구소프트웨어 업체들이 DUR 프로그램 배포에 늦장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심평원은 의료계의 DUR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반발을 막기 위해 전국 시군구의사회와 간담회를 진행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는데, 정작 문제는 청구소프트웨어업체에서 터졌다.
결국 복지부와 의사협회까지 나서 이들 업체에 조속히 DUR 프로그램을 배포할 것을 요청했는데, 현재 일정대로 전체 의원급으로 확산시키기에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청구소프트웨어 업체들이 3월 달에 DUR 프로그램을 배포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심평원은 DUR 배포일정을 조율해 갑작스런 확산에 따른 혼란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 일반의약품 DUR 점검 시작(7월초) =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에 DUR이 설치되면 기다리고 있는 것은 일반의약품으로까지 사전 점검 대상 의약품을 확대하는 것이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제주도 일반약 DUR 시범사업과 연구용역 등을 통해 오는 7월부터 DUR 점검 대상 항목을 일반약으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심평원은 점검이 필요한 일반의약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일반약 DUR 확대의 열쇠는 약사가 가지고 있다. 일반의약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약사가 DUR을 설명하고 일일이 신원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약사가 업무부담을 느껴 DUR 점검을 기피할 경우 사업의 실효성이 떨어지게 된다. 실제 제주도 시범사업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심평원 관계자는 "약사들이 업무부담으로 기피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소비자들이 처방전 DUR에 대한 경험을 쌓게 되면 일반약 DUR도 자연스럽게 요구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병원급 의료기관까지 DUR 확대(12월말) = 올해 마지막으로 기다리고 있는 관문은 12월말까지가 유예기간인 병원급 의료기관의 DUR 확대이다.
전문가들은 의원급 의료기관 확대보다 병원급에서의 DUR 확대가 더 어려운 과제라고 입을 모은다.
정형화된 청구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의원급과 달리 병원급의 경우 개별적인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시스템에 DUR 모듈을 적용하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전산관련 별도 인력이 없거나, 영세업체의 처방시스템을 사용하는 중소형 병원들에 DUR을 실시하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
실제 제주도 시범사업 당시에도 한 병원에 DUR을 설치하려 했으나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류한 사건도 있었다.
심평원 관계자는 "병원들이 DUR 설치에 따른 비용문제를 많이 제기하고 있다"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자체가 오류가 있는 병원들이 많아 DUR을 탑재하는 게 만만치 않은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