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1|
환자 A씨는 소화불량으로 한 동네의원을 방문했다. 의사는 처방을 하면서 내시경 검사를 해 볼 것을 권했다. 그러나 A씨는 처방전에 적힌 처방약을 보고 마음을 바꿔 먹었다. 평소 들어보지 못한 제약사 의약품만 처방했기 때문이다. 그는 다시는 그 의원을 방문하지 않았다.
|사례2|
B씨는 심평원이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률 등 병원 평가 정보를 공개한다는 사실을 TV 광고를 통해 알게 됐다. 그는 아이 진료를 위해 다니던 소아청소년과를 검색해보고 경악했다. 항생제 처방률이 너무 높았던 것이다. 아이의 병을 잘 고친다고 소문이 났지만 그 후로는 다른 동네의원을 이용하고 있다.
환자들이 의사를 '선생님'으로 부르며 순응하던 시대는 지나갔다. 의사와 병원을 나름의 평가 잣대 위에 올려놓고 선택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더 나아가 환자들이 진료 문화까지 바꾸고 있다.
무한 선택권 가진 환자들의 반란
환자들이 다양하게 의료기관을 평가하고 있다. 친절한지, 신속하게 진료를 하는지, 첨단 의료장비가 있는지, 의사가 어느 의대를 졸업했는지 모든 게 평가 대상이다.
의사들은 KTX가 운행된 이후 수도권 병원으로 환자들이 더 몰리고 있다며 볼멘소리를 한다. 그러나 환자들은 생각이 다르다. KTX는 단지 환자들의 선택권을 조금 더 보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환자들은 병·의원 뿐 아니라 의료행위와 처방약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유명제약사 의약품 처방을 원하고, 의사에게 특정 의료행위를 요구한다.
서울의 한 개원의는 "환자가 TV 광고에 나온 위장약을 왜 처방하지 않느냐고 묻더라"면서 "의약품 개수까지 줄여야 할 것 같아 부담이 될 때도 있다"고 털어놨다.
환자들에게 진료비 역시 협상 대상이 되고 있다.
피부과의원 김모 원장은 "어떤 환자는 100만원에 피부레이저 3회에다 다른 레이저 시술을 추가해 달라고 먼저 가격협상을 요구한 적이 있다"면서 "요즘 환자들의 적극성에 놀랄 때가 많다"고 말했다.
한국적인 진료 문화를 거부하는 환자들
전통적이고, 관행적인 진료 문화도 도전 받고 있다.
전공의들이 수련을 받기 위해 분만을 참관한 것은 오랜 전통이다. 환자들 역시 대한민국 의료 발전을 위해 당연시 해 왔다.
그러나 환자들이 '인권'을 외치기 시작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전공의들의 분만 참관을 항의하는 글을 올리고, 해당 의료기관에 따지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회까지 환자를 거들고 나서면서 환자 동의 없이 수련교육 참관을 금지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진료실 안에 또 다른 환자가 대기하는 '공개진료'. 이를 논란의 중심에 세운 것도 환자들이다.
3분 진료를 할 수밖에 없는 의료현실. 대학병원들은 빠른 진료를 위해 진료실 안에 다른 환자가 대기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하지만 환자들은 이보다 인권, 개인정보 보호를 더 중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