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사이 의약품 부작용 발생 보고건수가 약 7.4배 급증한 이면에는 전국 20개 약물감시사업단의 헌신적 노력이 있었다.
약물감시사업단은 약물부작용 신고를 활성화하고 약물역학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9년 출범했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15일 "식약청이 제출한 최근 3년간 의약품 부작용 발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의약품 유형별 부작용은 항생제와 진통제, 조영제 순을 보였다"고 밝혔다.
전체 부작용 보고건수는 2008년 7210건에서 2009년 2만 6827건, 2010년 5만 3854건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식약청은 이처럼 전국 15개 지역약물감시센터가 활발하게 약물 부작용 사례를 수집하자 2011년에는 5개를 더 늘렸다.
그러나 2011년 약물감시사업단의 연구 및 부작용 보고 감시 활동은 끝을 맺어야 한다.
그래서 식약청 약물감시사업단 박병주 단장(서울대 예방의학교실)의 고민은 깊다.
우선, 사업단이 없어지면 약 부작용 보고 건수가 다시 줄어들지도 모른다는 것.
부작용 보고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확산됐다고는 하지만 비슷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박병주 단장은 "정부는 2000년부터 3년 동안 시범사업을 실시했는데 매일 오후 6시가 넘으면 약사가 병동 한 곳을 정해놓고 환자의 차트를 일일이 확인하는 방식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범사업 당시에는 보고건수가 635건 이상으로 기존보다 약 10배 증가했지만 사업이 끝나니까 그 절반인 약 300건으로 급감하는 등 말짱 도루묵이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그의 또다른 걱정은 지역약물감시센터의 존속 여부다.
원칙적으로는 사업단이 만들어지면서 감시센터가 선정됐기 때문에 사업단 활동 종료와 함께 감시센터 활동도 종료하게 된다.
지역약물감시센터는 대학병원들이 선정됐는데 이들은 해당 지역 병의원 및 약국의 약 부작용 보고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서울대병원 약물감시센터는 병원이 있는 지역인 종로구의 병의원 및 약국과 연계되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약물감시센터장이기도 한 박병주 단장은 종로구 의사회 및 약사회 등을 방문해 약 부작용 보고의 중요성에 대해 강의하고 적극 참여를 요청해 왔다.
박 단장은 "연 9000만원이라는 다소 부족한 예산이지만 국민 세금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사명감을 갖고 엄격히 센터를 선정하고 의료기관평가에도 적극 반영하도록 해 경쟁을 하게 했다"고 환기시켰다.
또 그는 "병원장의 센터 지원 의지, 병원내 부작용 보고 모니터링 기록 등을 중점적으로 심사해 선정했다"고 강조했다.
스웨덴은 인구 900만명에 6개의 약물감시센터가 있다. 1개의 센터가 인구 150만명을 감당하는 셈이다. 프랑스는 6100만명의 인구에 31개 센터가 있다. 인구 200만명 당 1개의 센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인구가 약 5000만명인 우리나라도 25~30곳 정도의 센터가 전지역에 골고루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제주도와 전북에는 센터가 없고, 20개의 센터도 전지역을 고르게 커버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사업단의 활동이 종료되면서 없어질 위기에 처해있다.
지역약물감시센터가 살아남기 위한 방법
그러나 다행히 지역약물감시센터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식약청 내부에서는 감시센터는 직접 관리하는 대안이 나오고 있다.
또 대학병원들이 자체적으로 감시센터를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병원과 전남대병원은 작년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를 만들었다. 아주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역시 감시센터를 열었다.
박 단장은 "대학병원의 자체적인 참여는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사업단은 식약청 의약품정보팀이 관리하고 있는데 예산만 확보되면 지역약물감시센터를 직접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 단장은 또 지난 4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설립을 골자로 한 약사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도 부작용 보고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약 부작용의 인과관계 조사·규명, 부작용 보고, 사이트 개설·운영, 의약품안전정보 수집·분석·평가 및 제공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12월 중으로 출범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