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경증질환 약제비 차등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각 병원들이 손익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그러나 대형병원들은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표정인 반면 반면 지방대병원과 종합병원들은 상당한 우려를 표하며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에 따라 10월부터 고혈압 등 경증질환으로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에 방문시 현재 30%의 약제비 본인부담률이 상급병원은 50%, 종합병원은 40%로 인상됐다.
이에 대해 대형병원들은 경증환자 비율이 그리 높지 않을 뿐 아니라 해당 질환으로 방문해도 비용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환자가 많아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A대병원 관계자는 4일 "사실 우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암 등 중증질환자"라며 "정부가 발표한 경증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10%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병원비 등을 생각한다면 그런 질환으로 우리 병원을 찾겠냐"며 "아마 약제비 차등제가 실시되더라도 환자수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B대병원도 느긋하게 제도 시행을 바라보고 있다. 자체적인 분석 결과 약제비 차등제로 인한 경영 타격이 6억원 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 병원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분석해보니 생각보다 타격이 크지 않다"며 "최악의 경우를 고려해도 6억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특히 외래 대기 환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만약 환자가 이탈된다 해도 그 정도 상황까지 몰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환자들이 혹여 오해로 항의할까 우려되는 부분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방대병원들은 상당히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다. 환자 이탈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책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환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의견도 많다.
지방에 위치한 C대병원 보직 교수는 "지역내 2차 의료기관이 많지 않아 의원급에서 감당하지 못하는 환자들을 우리 병원이 커버해왔다"며 "이제 이 환자들은 어디로 가야 하냐"고 성토했다.
그는 이어 "결국 우리 병원에서 빠져나간 환자들이 의원에서 병을 악화시키거나 다시 우리 병원으로 오는 결과가 벌어질 것"이라며 "대학병원도, 의원도, 환자도 피해를 보게 생겼다"고 지적했다.
종합병원들은 직격탄을 맞을 위기에 놓였다. 이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 절치부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하소연이다.
지방의 D종합병원 원장은 "사실 암 등 중증질환을 빼면 의원이나 종합병원이나 숙련도와 설비 차이일 뿐이지 보는 질환은 엇비슷하다"며 "1차 의료기관 살리자고 2차 의료기관 다 죽이는 꼴"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