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보호자 없는 병원 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했다.
보호자없는병원 지자체형 모델을 만들기 위한 시범사업 대상이었던 서울시 산하 8개 시립병원이 사업 참여를 거부하거나 사업을 추진할 환경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보건시민단체로 구섣된 서울 보호자 없는 병원 실현을 위한 연석회의(이하 연석회의)는 9일 서울 공공의료기관은 소극적 태도를 바꾸고 간병인들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8개 시립병원의 간병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요구했다.
모세종 기획단장은 "8개 병원 중 서울의료원, 북부병원, 동부병원 등 3곳이 보호자없는병원 사업을 거부하고 있다. 사업 계약을 완료한 서울어린이병원, 은평병원, 서북병원, 보라매병원은 사업과 전 취지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연석회의는 보호자 없는 병원의 핵심 원칙으로 질높은 간병서지스, 간병인의 근로조건 보장, 사업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채임이 높은 간병기관 참여를 주장하고 있다.
모 기획단장은 "한 병원은 전체병원에 입원 환자수는 수백명인데 간병인 수는 열댓명 밖에 안된다. 또 다른 병원은 환자 간병은 자원봉사자가 하고 간병인은 간호사 보조 일을 하고 있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연석회의는 사업이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참여병원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석회의는 "보호자 없는 병원 사업이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서울시가 정책 방향의 설정과 조례 제정 및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호자 없는 병원을 실제적으로 운영하게 될 병원에서도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원칙을 분명히 하는 등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시민단체의 주장에 대해 서울시는 보호자 없는 병원은 이미 계속 추진해왔던 것으로 서울형 보호자 없는 병원을 모델화 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의견차이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간병 근로자의 근무환경 같은 디테일한 부분에서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사업은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며 서울시, 병원, 시민단체 모두 잘 해낼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