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개된 병원별 위암·간암·대장암의 사망률에 대해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논란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절차와 방법론 등 "신뢰도에 자신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망률 통계 분석 방법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 통용되는 데다가 중증도 보정 작업에 학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다는 것이다.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 사망률 통계 분석에 참여했던 위원은 "암 사망률 공개에 의료계가 신뢰할 수 없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하지만 사망률을 집계한 방법론과 절차 모두 미국, 캐나다, 영국 등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인 것이다"고 전했다.
현재 논란이 되는 것은 크게 ▲사망률에 대한 중증도 보정의 신뢰성 ▲기관별 사망률 등급의 변별력 등이다.
의료계는 중증 환자를 많이 치료하는 기관일 수록 암 사망률이 높게 나올 수 있다며 사망률 공개에 비판 목소리를 내고 있다.
먼저 심평원은 중증도 보정 작업이 상당히 정밀하게 이뤄졌음을 강조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관련 학회와 수차례 자문회의를 거쳐 중증도 보정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며 "암 환자 중 응급환자나 과체중 환자, 고령자를 제외해 사망 가능성이 큰 환자를 치료한 기관이 높은 사망률을 기록할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시켰다"고 강조했다.
그는 "심평원에 소속된 각 외과 파트 위원들의 의견뿐 아니라 학회에 공문을 보내 중증도 보정에 의견을 받았다"며 "여기에 통계학자와 중앙평가위 등의 목소리도 모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사망률을 집계하기 위해 각 병원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굉장히 질이 좋은 데이타로 주민번호로 사망 일자를 확인하는 등 신뢰도가 높은 자료로 통계 분석을 했다"고 밝혔다.
의료계의 의견을 구하지 않은 채 독단적으로 사망률 등급 선정 기준을 마련한 것이 아니라는 해명이다.
95%로 설정한 신뢰도 구간도 합리적이라는 것이 심평원의 판단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95%의 신뢰도는 과학적 합리주의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선거에서도 사용되는 등 상당히 객관적인 신뢰 구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망자 1명 차이로 등급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신뢰도 구간을 한참 벗어난 기관만 2등급으로 선정했다"며 "우연히 사망률이 높게 나올 가능성은 다 배제한 셈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뢰도 논란에 억울한 측면이 있지만 공인된 방법론을 사용했기 때문에 결과물에는 자신있다"며 "향후 보완 계획으로 대장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항암제 사용률과 방사선 치료율 등의 지표를 분석, 공개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