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이 노레보정 등 사후피임약을 일반의약품으로, 사전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재분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산부인과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부인과 의사들은 사후피임약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일반의약품 전환을 반대해 왔다.
뿐만 아니라 현재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사전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식약청이 피임약 재분류를 '전문-일반의약품 스위치'로 방향을 잡으면서 현실적으로 사전피임약 혹은 사후피임약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일단 현재 식약청이 가닥을 잡은 것처럼 사후피임약을 일반의약품으로 내주고, 대신 사전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가져온다면 동네 산부인과의원에서는 피임약 처방건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사후피임약 처방 수요보다는 사전피임약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오피스 지역에 개원한 산부인과의 경우 하루에도 10여건의 사후피임약 처방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반대할 가능성 높다.
즉, 같은 산부인과 의사임에도 피임약 재분류를 두고 입장이 갈릴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여성 및 환자단체에서 사전피임약이 전문의약품으로 재분류됨에 따라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불만도 풀어야할 숙제로 남게 된다.
산부인과 모 개원의는 "어떤 피임약이라도 부작용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의사의 관리 아래 복용하는 게 맞다"면서 "일단 사후피임약이 일반의약품으로 재분류된 것은 불만이지만 사전피임약의 전문의약품 전환이 함께 논의된다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산부인과의사회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닌 만큼 의사회 차원에서 논의를 해 봐야할 것 같다"면서 "장기적으로 볼 때 사전피임약의 전문의약품 전환이 의사들에게는 안정적인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와 관련해 식약청은 30일 해명자료를 내고 피임약 재분류 논의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