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이 요양기관 대상 질병군 적정성 평가 항목을 줄이고 입력을 효율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이 깊다.
최근 보건복지부 임채민 장관까지 나서 "병원들이 내야 할 자료가 너무 많다. 너무 부담을 주지 말라"고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4일 "프로세스 개선 차원에서 끊임없이 검토하고 있다. 간편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새로운 항목을 최소화 시킨다거나 사전에 알려준다든지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평원은 현재 자료수집을 간편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 관계자는 "요양기관이 편하고 힘들지 않게, 자료를 수집하는 차원에서 시간을 지체하지 않는 방법이 없는지 연구하고 있다"며 "연말에 결과가 나오면 종합해서 전산화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평원은 현재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급성심근경색증, 대장암 등 질환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하고 있다.
이들 질환의 조사항목 수를 모두 더하면 총 525개다. 구체적으로 급성심근경색증은 9개 지표에 조사항목 수가 115개, 뇌졸중은 11개 지표, 116개 조사항목. 대장암은 23개 지표에 조사항목이 294개나 된다.
요양기관들은 여기에 항생제, 혈액투석, 제왕절개분만 등의 적정성평가도 더해진다. 내년에는 유방암 적정성평가 자료도 내야 한다.
정부는 간암, 위암 적정성 평가지표를 개발중이며 천식, 폐암 적정성 평가 추가도 논의하고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대장암의 경우 한명의 환자가 여러번 수술을 하거나 하면 최대 711개까지 내는 경우도 있다. 조사항목이 많은 것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항목의 축소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심평원의 적정성 평가에 대한 의료기관의 불만은 폭발 직전이다. 인력도 모자라는 판에 자료를 만들어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울며 겨자먹기로 하고 있다. EMR이 구축되지 않았고, 인력이 적은 중소병원은 더 어렵다. 월급을 주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사람을 더 뽑아 달라고 할 수도 없다. 갈수록 헉소리만 난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수백개의 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인력이 부족한 게 가장 큰 문제다. 평가항목 수를 줄이면 그만큼 일이 더 쉬워지겠지만 인력에 대한 고민이 우선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아니면 적어도 EMR을 구축하도록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