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원인이 확인돼 한 차원 높은 항암제 개발이 예상된다.
서울아산병원 폐암센터(이재철, 김상위 교수)는 16일 "콜롬비아대학, UC 샌프란시스코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AXL'이라는 인산화효소수용체가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AXL'은 인산화효소 수용체의 한 종류로, 세포의 외벽에서 외부 신호를 받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 소멸 그리고 암 생성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 군이다.
연구진은 비소세포성폐암 성인 환자 35명(43~80세)을 대상으로 폐암 표적치료제인 '이레사'와 '타세바'를 투여한 후 내성이 생긴 환자 조직에서 'AXL'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내성 전후 비교결과, 총 35명의 내성 보유 환자 중 7명(20%)에서 'AXL'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 중 2명에서 기존 내성기전으로 밝혀진 '1790M'까지 함께 반응을 보였다.
이는 'AXL'이 내성의 또 다른 원인이라는 사실을 반증한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현 폐암 표적치료제는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의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높은 치료반응을 보여주고 있으나, 평균 1년 후 내성이 발생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암센터 김상위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성기전인 AXL과 기존 EGFR 신호를 동시에 차단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면 암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아산병원에서 AXL과 관련된 표적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향후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한계를 극복해 나가는데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저널인 네이처 제네틱스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