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에 대해 국회 보건복지위 보좌진과 제약사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댔다.
메디칼타임즈와 데일리팜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보좌진들을 초청해 '국내 제약산업에 대한 입법부이 바른 이해'를 주제로 제약사 공장 및 R&D연구소 탐방행사를 열었다.
보좌진은 대웅제약, 한미약품, 동아제약의 공장과 R&D연구소를 견학했다.
본격적인 논의는 한미약품 측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을 놓고 시작됐다.
한미약품 박노석 이사는 부가가치가 높은 제약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신성장동력 산업에 제약산업 포함 ▲연 50억원 이상의 대규모 글로벌 신약 프로젝트 과제 지원 ▲의약품 무선인식시스템(RFID) 법제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부가 선정한 혁신형 기업 지원도 해외형, 국내형으로 나눠 선별해야 한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실 여준성 보좌관은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 후속작업이 이뤄져야 할 때다. 어떤 부분의 지원이 필요한지 업계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한미약품연구센터 권세창 소장은 "혁신형 기업 안에서도 진짜 세계시장을 노릴 기업과 국내 시장에 주력할 기업을 나눠서 지원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길리어드는 세계 100위권의 제약사였다. 하지만 타미플루라는 글로벌 신약 개발로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우리나라 상위 열개 제약사 목표는 글로벌 신약 만들기"라고 설명했다.
"R&D 비용 국내시장 아니면 나올 데 없다"
국내시장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이어져 나왔다.
권 소장은 "R&D 비용은 정부 지원 외에는 국내시장 아니면 나올데가 없다. 국내시장을 키워가면서 글로벌로 가는 기업들은 R&D도 적극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종철 정책고문도 "사회가 점차 고령화 되면서 약 소비도 늘고 있다. 그렇다면 신약의 값을 깎을 게 아니라 약값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복제약을 장려할 수록 약값은 떨어진다. 거시적으로 우리가 개발한 약이 외국약보다 싸게 개발될 수 있으면 약값은 싸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미약품 손지웅 부사장도 복지관점에서만 제약산업을 압박하는 정부에 쓴소리 했다.
손 부사장은 "제약산업만큼 과학자를 많이 창출하는 산업이 없다. 큰 제약회사들이 잘 자리 잡아야지 그 지역 작은 네트워크라고 하는 벤처 실험실 등에서 연구가 활성화 된다. 비용은 시장에서 보상받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혁신형 기업을 선정해서 R&D에 몇푼 지원 해주는 것은 비용 규모도 문제일뿐더러 특혜 의혹이 항상 있다. 정부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략적으로 투자를 할 필요는 있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시장에서 가격을 제대로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한쪽으로는 제약산업 키워주겠다고 하지만 시장에서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에 대해서는 굉장히 인색하다. 복지 관점에서 마른 수건도 짜내야 되는 형편이라는 논리로 접근하면 제약산업의 미래는 굉장히 어두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제약사는 지경부에 연구 제안 늘리고, 복지부는 R&D 비용 확충"
정부의 R&D 연구비를 마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도 나왔다.
민주통합당 이목희 의원실 고영상 보좌관은 제약산업 부분과 관계된 연구는 지식경제부와 협의하는 방향을 제안했다.
고 보좌관은 "지경부가 가장 많이 투자하는 융복합 사업에서 지원하는 연구비는 8000억원, 많게는 2조~3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제약사가 융복합 사업에 지원해달라 신청하는 것은 보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융복합 사업에 속하는 기준을 만드는 주체는 지경부가 아니라 대학 연구소다. 하지만 이들은 제약산업 자체를 모른다. 대한민국 R&D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곳은 지경부이기 때문에 많은 제안을 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 R&D 비용을 늘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권세창 소장은 "글로벌 임상을 주관하는 부처는 복지부가 맞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복지부 R&D 비용은 농림수산부 등 다른 모든 부처 중에서 가장 적은 수준이다. 글로벌 기업이 R&D를 하기 위해서는 복지부의 R&D 규모를 늘여야 할 것"이라고 환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