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응급의료센터와 응급의료정보센터가 통합함에 따라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중앙센터는 정책 개발, 연구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모든 것에 중심에 있어야하며 이 모든 것은 신뢰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31일 국립중앙의료원 대강당에서 열린 '중앙응급의료센터-응급의료정보센터 통합 기념 심포지움'에 참석한 연자들은 각 센터 통합에 따라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역할 확대를 주문했다.
즉, 두 센터가 통합된 만큼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위상과 역할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앞으로 응급의료체계를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인 요소라는 게 이날 심포지움에 참석한 연자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정은경 과장은 "복지부 공무원은 부서이동이 잦아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복지부의 정책파트너로서 주도적으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 국내 응급의료 관련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사업을 기획하는 등 싱크탱크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응급의료 정책을 제안, 집행하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이를 평가하는 것에서도 보다 전문성을 갖추고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해야한다"고 했다.
정 과장은 "응급의료의 비전은 국민 중심의 믿을 수 있는 응급의료 즉,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빠르고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서 국민과 정부, 정부와 응급의료기관, 복지부와 지자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서울시 보건정책과 이병철 담당관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독립적인 기구로서의 역할을 기대했다.
그는 "일선에서 일하다보면,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서울시에 보내는 공문이 국립중앙의료원장 이름으로 내려오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서울시가 관리하는 병원장 이름으로 보내온 공문이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겠느냐"고 꼬집었다.
다시 말해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제역할을 하려면 국립중앙의료원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기구가 돼야한다는 얘기다.
이병철 담당관은 이어 서울시가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사업에 대해 중앙응급의료센터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한 항목은 응급의료정보수집 관리, 지역별 응급환자 등록체계 및 통계관리, 의료기관평가 및 기금관리, 응급처치 교육, 무선통신망 사업, 응급의료만족도 조사사업, 자동제세동기 관리, 구급차 관리, 재난의료지원팀(DMAT) 사업, 서울응급의료 10대 사업, 서울 시민서포터즈 운영, 응급의료정보센터 파견직원 관리 등이다.
전남대병원 허탁 교수는 상당수 의료기관들이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관을 갖고 있다면서 가장 문제는 신뢰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단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해 납득할 수 없고, 응급의료 정보망에 대한 신뢰도가 굉장히 낮다"면서 "국고보조사업 수행에 대해 돈이나 받으면 그만이라는 인식이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개편을 통해 중앙-광역-기초 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응급의료관리체계 관리기능을 확대하는 등 응급의료 전담 관리운영기관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허 교수는 응급의료기관평가 역할에 대해서도 변화를 당부했다.
그는 "평가의 필요성을 알려줘 동기를 부여하고 개선된 지표를 적용해 단순한 평가에 그치는 게 아니라 기능수행평가를 도입하는 등 성과평가 기능을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건강세상네트워크 조경애 고문 또한 "응급의료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등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특히 응급의료에 대한 평가를 전담해 함량미달인 병원은 응급의료기관 지정을 취소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역할 강화 및 확대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