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정원 구조 합리화를 명분으로 단행한 대규모 감축 정책이 휴지조각으로 전락할 위기에 직면했다.
메디칼타임즈는 28일 전국 수련병원 68곳을 대상으로 '2013년도 레지던트 1년차' 원서접수 마감 결과를 조사했다.
분석 결과, 서울 대형병원의 기피과 현상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지방 대학병원의 양극화는 더욱 뚜렷했다.
복지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2013년 전공의 모집계획' 정책방향과 정면 배치된 셈이다.
복지부는 의사국시 합격자보다 전공의 정원이 800명 많은 비합리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원 감축'이라는 칼을 빼들었다.
2013년 247명을 시작으로 2014년 300명, 2015년 의사배출 인력과 전공의 정원 일치 등 향후 3년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1차년도 감축규모(당초 350명) 축소 이유로 의료현장의 충격 완화와 필수진료 기능 위축 예방, 육성지원과 선발기회 보장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형병원 내과와 소아청소년과, 정신과, 정형외과, 영상의학과 등 소위 인기과를 중심으로 대폭 감축해 기피 진료과 지원을 유도했다.
하지만 전공의들의 선택은 냉정했다. 소위 필수 진료과로 물리는 내과와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에서도 명암은 분명했다.
가톨릭의료원의 경우, 외과는 17명 정원에 13명만 지원했으며, 산부인과는 10명 정원에 4명 지원에 그쳤다.
서울대병원도 외과는 15명 정원에 13명이 지원했고, 산부인과는 11명 정원의 절반도 안 되는 5명 지원에 머물렀다.
서울삼성병원과 세브란스 역시 외과와 산부인과 미달 사태가 이어졌으며 서울아산병원을 제외한 '빅 5' 병원 모두 비뇨기과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경우도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다.
경북대병원은 외과 6명 정원에 2명, 산부인과 3명 정원에 2명, 전북대병원은 외과 5명 정원에 2명, 산부인과 3명 정원에 1명 등에 그쳤다.
충남대병원의 경우, 내과조차 10명 정원을 모두 채우지 못했으며, 4명 정원의 외과는 지원자가 전무했다.
중증외상 등 육성지원 방침에도 흉부외과와 응급의학과의 명암은 엇갈렸다.
서울삼성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을 제외한 대부분 병원에서 흉부외과 미달 사태가 가속화됐다.
반면, 응급의학과의 경우 세브란스 8명 정원에 8명, 강원대병원 2명 정원에 3명, 충남대병원 3명 정원에 3명 등 대부분 정원을 채워 기피과 대열에서 점차 멀어지는 형국이다.
대학병원 모 교수는 "의대생 수와 전공의 수를 단기간에 맞추는 성과주의 정책은 현실에서 의미가 없다"면서 "외과와 산부인과 등의 육성책이 없다면 국가의 필수진료 기능 유지조차 불투명해 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