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메디칼타임즈 10대 뉴스
다사다난했던 2012년이 저물어가고 있다. 올해 의료계는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등으로 역사의 전환점에 선 한해였다. 올 한해 의료계의 화두를 정리하고, 2013년의 희망을 설계한다. [편집자 주]
제약업계는 지난 4월 시행된 대규모 약가인하를 '폭탄'이라는 단어로 표현한다. 평온하던 일상을 그야말로 쑥대밭으로 만들어났다는 의미에서다.
약하인하 후 매출액 정체은 정체됐고 영업이익은 곤두박질 쳤으며, 직원 감축 등 수많은 부작용을 양산했기 때문이다.
업계 한 임원은 말한다.
재정 안정 차원에서 약가인하가 세계적 흐름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한국 정부의 정책 추진은 너무 급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이래서는 R&D 투자 등 수년간 계획을 짜고 진행했던 것들이 모두 물거품이 될 수 있다고 한탄했다.
약가인하 후폭풍은 고용 불안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은근슬쩍 퇴직을 유도하는 회사도 더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 종사자는 "휴일 미보장, 무리한 실적 요구, 출근 시간 앞당기기 등 자연스레 퇴직을 유도하는 곳이 많다. 특히 국내사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토로했다. 다국적사 희망퇴직은 양반이라는 소리가 이래서 나온다.
약가인하 정책 발표 후 사노피 아벤티스와 파스퇴르, 바이엘, 아스트라제네카, 애보트, 얀센, GSK 등은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화이자는 내년 1월 시행한다.
잠잠하던 M&A설도 약가인하가 몰고온 바람이다.
해당사는 대부분 사업다각화 측면이라고 하지만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약가인하로 미래가 불투명하면서 어쩔 수 없이 내린 결단으로 말이다.
실제 근화제약은 미국 알보젠 회사에 경영권을 넘겼고, 슈넬생명과학은 신재생에너지 개발기업 케이앤텍코리아에 인수됐다. 수년간 수익악화로 고전하던 태평양제약은 모회사 아모레퍼시픽에 흡수됐다.
경쟁력 있는 제약사를 선별하겠다는 미명 아래 시행된 약가인하.
이 정책이 건보 재정 안정화를 위한 급한 불 끄기였음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이렇게 시작된 제도 하나가 제약업계를 뒤흔들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