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와 국민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19일 발표한 급성중이염 소아 환자 항생제 처방 적정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병의원 10곳 중 9곳이 항생제를 우선적으로 처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중이염이면 무조건 항생제를 써야 하는 게 아니냐는 민원전화를 많이 받았다. 일반 국민은 물론 의사들도 항생제를 써야 한다고 배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다른 나라 중이염 진료지침에 따르면 2~3일은 진통제, 해열제를 쓰면서 지켜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급성중이염은 외래에서 항생제를 처방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항생제 치료는 24개월 미만의 소아에게만 권장하고, 2세 이상 소아는 48~72시간 이내 대증치료를 우선하고 있다. 대증치료를 하면 60%는 증상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적정성 평가들처럼 관련 학회에서 진료지침을 각 병의원에 배포했다고 하지만 이번 평가결과 지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감기와 같은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적정성평가를 실시한지도 10년이 지났는데 75%에서 45~46%까지 떨어졌다. 급성중이염은 이보다는 오래 걸리지 않겠지만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질환들처럼 적정성평가 후 인센티브, 디스인센티브 사업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인 심평원의 판단이다.
현재 심평원은 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처방률을 50% 수준까지 낮추는 게 목표다.
심평원 관계자는 "처방률 적정 수준이 어느 정도 인가에 대한 정답은 없지만 현재 상급종합병원 수준으로 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적정성평가 결과에 따르면 항생제 처방률은 종별 규모가 작을수록 높았다. 상급종합병원 49.9%, 병원 86.3%, 의원 89.2%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 관계자는 "국민과 의료계 모두 2~3일은 아프지만 기다려 봐야 한다는 진료지침에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