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소아과학회 김동수 이사장이 응당법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공중보건의사를 지역거점 응급기관에 투입하자는 주장을 하자 공보의들이 불편한 속내를 감추지 않고 있다.
소아청소년과를 전공한 공보의도 매년 20~30명에 불과할 정도로 턱없이 부족한 형편에 응당법 시행에 따른 인력 부족을 공보의에게 떠넘기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21일 공보의 커뮤니티에서는 소아 응급실에 공보의를 투입하자는 소아과학회 이사장의 주장을 비판하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광주에 근무하는 모 공보의는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의 의료 공백을 메꾸자는 취지에서 공보의제도를 만들었지만 지금도 적재적소에 배치하지 않고 있는 현실을 소아과학회가 더욱 왜곡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규모가 어느 정도 갖춰진 병원이 당직 인력 부족을 핑계로 공보의 인력을 끌어다 쓰겠다는 생각은 공보의 제도의 취지를 부정하는 것"이라면서 "그저 값싼 인력을 데려다 쓰겠다는 주장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다른 공보의 역시 불편한 속내를 드러냈다.
공보의를 거점병원에 투입하자는 논리는 그저 응당법에 따른 인력 부족 현상을 공보의에게 떠넘기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20~30명에 불과한 소아과 공보의들을 전국에 배치하면 각 병원에 겨우 1~2명이 근무하게 될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공보의는 1년 내내 2~3일 간격으로 당직을 서거나 근처에서 온콜 대기를 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공보의는 배치 근무지의 병원장 지시에 따라 추가 근무를 해야하는 경우도 있어 열악한 환경에 배치되면 당직 인력부족을 그저 몸으로 때우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응당법 자체가 잘못된 제도인데 이를 바로잡지 않고 값싼 인력으로 메꾸자는 건 공보의 취지를 부정하는 미봉책"이라면서 "소아과 공보의가 응급실에 투입되면 결국 내과나 정형외과 등도 투입될 수 있어 반발 목소리가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