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 사태로 화두에 오른 공공의료 문제를 '조직'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직원들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마인드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22일 시청에서 '공공의료 발전 방안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는 "공공의료가 화두에 올랐다고는 하지만 진주의료원 사태에 국한돼 있다. 각 공공병원과 보건소에서 이번 일을 계기로 공공의료 알리기, 공공의료 소셜 마케팅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하고 있나"고 반문했다.
이어 "시민들이 내가 낸 세금이 좋은 공공의료로 돌아온다고 생각하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 교수가 지난해 서울시 보건소 직원 1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에 따르면 직원들의 책무 1위가 시민이 아닌 보건복지부였다.
유명순 교수는 "직원들은 공공서비스 마인드에 대한 현황 파악도 안돼 있다"고 지적하며 "병원장은 조직이 책무성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직원들이 흔히 바꾸기 힘든 사고를 재정비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 중심으로 투자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이건세 단장도 앞선 주제발표를 통해 책임경영시스템 구축 방안을 공개했다.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서울시립병원장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 병원장들은 자율성이 낮고 책임성이 부족한 것이 진료 성과를 못내는 원인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병원장들은 '원장이 독자적으로 조직개편을 못한다', '인력을 운영하기 너무 어렵다', '직원 인사에 원장이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등의 의견을 쏟아냈다.
이 단장은 책임경영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병원장의 권한강화 ▲위탁병원 직원인사 독립성 강화 ▲병원장 경영계약 및 평가제도 도입 ▲경영공시제도 도입 ▲직영병원 진료부 위상 강화 등의 안을 내놨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경영이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감시 기능도 제대로 작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강세상네트워크 조경애 고문은 "병원의 혁신 관리 핵심은 시민의 참여다. 시민들이 병원장이다 라는 생각으로 구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 우석균 정책실장도 "시민의 직접 참여가 힘들다면 개방형 이사제를 도입해 시민단체 추천인사로 감시위원회, 심의위원회를 꾸려 감시하는 방안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