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따로따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예보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부처간 협업을 중시하는 박근혜 정부의 '정부 3.0' 기조와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양측은 서비스가 어떻게 다른지 강조하기 바쁘다.
심평원은 16일 '빅데이터 활용과 미래전략'을 주제로 심평포럼을 개최하고 자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다양한 활용방법을 공개했다.
여러가지 방안 중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통한 질병 예보, 감시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심평원은 과거 5년간의 건강보험 청구자료와 기상청의 날씨자료를 활용해 날씨와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질병 예보를 할 계획이다.
일별로 온도, 습도, 일조량, 황사 등 환경 요인에 따른 대표적 계절성 질병들의 위험도를 파악해 질병 예측 알림 서비스를 한다는 것.
또 실시간 의약품처방조제지원(DUR) 시스템상의 약 사용정보를 활용해 질병 주의보 모델도 개발할 예정이다.
실시간 의약품 처방 모니터링으로 질병 발생 상황을 감시하면 지역별, 연령대별로 예측해서 질병 위험도를 준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5단계로 구분해 예방 및 대처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발표에 나선 심평원 심사평가연구소 통계정보센터 김록영 주임연구원은 "임상 및 의약 분야별 워킹그룹을 통한 질병감시 시스템 영역을 확대하고 질병관리본부와 질병감시 협력체계 및 단계별 대응체계를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중순, 공단은 다음소프트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민건강 주의 예보'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시점의 주요 유행성 질병에 대한 위험도 예보 및 지역별ㆍ연령별 위험도 예보 등 주의 예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단이 보유한 건강정보 DB와 다음소프트가 보유한 다음카페 및 트위터 정보를 융합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투자비만 9억 8200만원에 달한다.
공단은 건강주의 예보가 발동되면 지역별·집단별(가족, 학교, 직장 등) 맞춤형 건강관리 안내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희망자에게 개인별 맞춤형 모바일 건강서비스도 제공한다는 생각이다.
"정보 활용법만 다를 뿐…조율 필요"
이처럼 심평원과 공단은 질병 예보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자체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질병을 예보한다는 궁극적인 목적은 같다.
하지만 서로가 어떻게 다른지를 얘기할 뿐이었다.
김록영 연구원은 "공단은 실시간 검색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종합해 질병을 예측하는 것으로 사후적인 성격이 강하다면, 심평원은 5년간의 자료로 상관관계를 분석해 미리 알려주는 사전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건보공단 건강관리실 곽순근 부장은 "심평원의 방안은 이미 축적돼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트렌드를 잡아나가는 것이라면, 공단은 트위터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개념으로 반영하는 것"이라고 차이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결국 두 기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같기 때문에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정형선 교수는 "양 기관은 정보를 활용하는 포인트가 다르다고 하지만 근본적인 차이는 아닌 것 같다. 국민의 입장에서는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다. 조율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