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진료영역을 도전받고 있는 안과 전문의들이 또 다시 위기감에 휩싸였다.
얼마 전 고용노동부가 선정, 발표한 신직업 100여개 중 정시훈련전문가(orthoptist) 즉,
시력교정사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당장
대한안과학회 측은 "이번엔 시력교정사가 안과의사의 진료영역을 넘보는 것이냐"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신직업 발굴·육성방안은 박근혜 대통령의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적극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안과의사들은 진료영역을 넘보는 안경사들과 갈등을 빚어왔다.
안과의사들은
콘텍트렌즈 처방권을 두고 안경사들과 팽팽한 신경전을 벌인데 이어 안경사들이
타각적 굴절검사까지 넘보면서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
이 문제가 봉합되기도 전에 이번에는 시력교정사라는 새로운 직종이 생겨남에 따라 또 다시 안과 전문의들의 진료영역이 축소되는 게 아닌가 불안감을 제기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미국·일본·영국·독일·호주 등에 있는 직업들을 비교, 분석해 국내 없는 직업 650여개 중 일부를 선정했지만 국내 의료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게 안과의사들의 지적이다.
안과학회 관계자는 "안과 전문의 이외 검안사 제도가 있는 호주의 경우 국가 면적이 워낙 넓은 반면 안과 접근성이 낮지만, 한국은 벽오지에서도 안과의사를 만날 수 있는데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시력교정사(orthoptist)라는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면 현재
안과의 진료영역을 침해할 것이라는 게 안과학회의 우려다.
또한 최근 안과 전문의 감축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분야에 새로운 직업군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안과학회 관계자는 "안구 질병으로 시력이 저하되는 환자의 경우 시력교정사에 맡겨지면 치료시기를 놓쳐 질환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면서 "이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진료권 및 건강권을 침해하는 게 아니냐"고 거듭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