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가 오는 3월 3일 총파업을 결의한 가운데 주요 일간지 등 각종 매체에서 이에 대한
부정적인 사설을 쏟아내고 있다.
대다수 언론들이 의료계가 국민을 볼모로 수가인상을 위한 명분없는 싸움을 하고 있다며 여론몰이를 하고 있어 주목된다.
13일 사설을 통해 총파업 선언을 논평한 주요 일간지들은 대부분 파업을 밥그릇 지키기로 치부해 명분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먼저 중앙일보는 "우리 사회의 지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의사들이 환자의 생명을 볼모로 진료를 거부하겠다니 심히 유감스럽다"면서 "실행 여부와 관계 없이 결의만으로도 '의사사회=집단이기주의'라는 비판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고 꼬집었다.
중앙일보는 "의협 집행부가 여러갈래 해석이 가능한 의료민영화를 악용하고 있다"면서 "의료민영화 프레임을 씌워 국민을 현혹하고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를 우군으로 끌어들이려는 얄팍한 술수를 부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파업 출정식을 앞두고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도 우려섞인 사설을 내보냈다.
동아일보는 '밥그릇 지키려는 의사 총파업, 국민이 외면한다'는 사설을 통해 "의사들은 정부 방침이 국민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반대 투쟁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동아일보는 "제한된 분야에서의 원격진료는 환자 불편을 해소하고 규제 빗장을 살짝 건드리는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전국 개원의가 파업을 한다면 철도파업보다 더한 욕을 먹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일보도 "원격의료 규제 완화와 같이 의료계가 국민 건강을 위해 앞장 서야 할 개혁에 여전히 어깃장을 놓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면서 "의료수가에 불만이 있다면 그것에 집중해야지, 국가적 개혁을 통째로 가로막은 채 실력행사 따위를 벼르는 것은 어리석다"고 꼬집었다.
세계일보는 "의협이 흉금을 털어놓고 국민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면서 출구를 찾지 않는다면 대화의 수레바퀴는 제대로 굴러가기 힘들다"면서 "설혹 3·3 파업을 결행한다 해도 손에 쥐는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른 언론 역시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파업은 어떤 명분으로도 박수 받기 힘들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최근 '의사들 철밥통 지키기 파업, 설득력 없다'는 사설을 썼던 매일경제는 이번엔 더욱 강도를 높였다.
매일경제는 "(의정협의체 제의를 거절한 것은) 국민 목소리를 배제한 채
기득권을 챙기려는 시도"라면서 "의협은 건강보험 수가 인상으로 실속을 챙기려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매일경제는 "건강보험 수가를 인상하면 건강보험에 가입한 국민 부담은 늘어난다"면서 "의협은 이 때문에 건강보험 가입자 대표를 배제하고 정부와 1대1 대화를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매일경제는 "철도노조는 민영화 반대 논리를 내세우며 자신들 철밥통을 지키려고 파업에 나섰으나 평균 연봉과 근무시간 등이 밝혀지자 국민 분노만 초래했다"면서 "의사들도 의사면허 하나로 평생을 보장받으려 하면 국민은 인내하지 않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서울신문도 "생명을 볼모로 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어떤 이유로도
명분이 부족하다"면서 진짜 '속내'를 드러내놓고 대화하라고 훈수를 뒀다.
서울신문은 "실제 의사들의 더 큰 불만은 낮은 의료수가에 있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동네의원 급여비가 건강보험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년 새 10% 이상 감소한 데서 의사들의 속내를 읽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신문은 "수가를 올리는 것은 건강보험료 인상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대화로 해결책을 찾는 게 순리"라면서 "겉으론 국민을 위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밥그릇을 챙기려 들면 정당한 요구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서울경제 역시 "혹여 누적액이 11조원에 이른다는 건강보험수지 흑자를 수가인상에 끌어들이려는 생각이라면 솔직하게 밝히고 사회적 논의를 거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도 "우리는 국민의 건강을 볼모로 한 의료계 파업이 명분 없다는 것을 누차 지적해 왔다"면서 유감을 드러냈다.